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lora of Three Mountains in Ganghwa Island, Korea

강화도 지역 3개 산지의 관속식물상

  • Kim, Sang Ju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Shin, Hyun Tak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Heo, Tae Im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Yoon, Jung Wo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Kwon, Yeong Ha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An, Jong Bi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김상준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신현탁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허태임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윤정원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권영한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안종빈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Received : 2016.08.01
  • Accepted : 2016.10.13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at Byeollipsan(Mt.), Bongchunsan (Mt.) and Gucksoosan(Mt.) in Ganghwa is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or each season from March 2015 to October 2015. The flora of study area were found to be of 455 taxa, 93 families, 280 genus, 392 species, 4 subspecies, 53 varieties and 6 forma. Rare plants were found to be of 3 taxa. Among them, rare plant species consisted of endangered species (EN degree):1 (Thalictrum simlex var. brevipes Hara), vulnerable species (VU degree): 2 (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Scorzonera albicaulis Bunge), respectively. In all the surveyed areas, a total of 6 taxa (Clematis brachyura Maxim. etc.) were found to be endemic to Korea.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found in the surveyed areas were 1 taxa of grade Ⅴ, 4 taxa of grade Ⅳ and 8 taxa of grade Ⅲ, respectively.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29 taxa and included Fallopia dumetorum (L.) Holub, Ambrosia artemisiifolia L., Aster pilosus Willd. etc..

본 연구는 강화도내의 3개 산지인 별립산, 봉천산, 국수산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지조사는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6회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총 93과 280속 392종 4아종 53변종 6품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3분류군, 특산식물 6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Ⅴ등급 1분류군, Ⅳ등급 4분류군, Ⅲ등급 8분류군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2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 6.4%, 도시화지수 9%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455분류군을 유용도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03분류군(44.6%), 목초용 178분류군(39.1%), 약용 157분류군(34.5%), 관상용 50분류군(11%), 목재용 17분류군(3.7%), 염료용 10분류군(2.2%), 섬유용 3분류군(0.7%), 공업용 4분류군(0.9%)의 순으로 나타났고, 용도를 알지 못하는 식물은 88분류군(19.3%)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서 언

강화군은 한반도의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역상으로는 서울시를 기점으로 북서쪽의 북한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다섯번째 큰 섬으로 강화대교 및 강화초지대교를 통하여 내륙과 연결된다. 강화도는 한강, 임진강, 예성강 하류를 경계로 복한의 연백군과 개풍군이 인접하여 있으며, 동쪽은 염하를 사이에 두고 있다. 또한 김포시와 서쪽은 서해바다 그리고 남쪽은 대규모 해안의 갯벌을 지나 옹진군의 여러 섬들이 위치하고 있다(Ganghwa-gun, 2015).

본 연구 대상지인 별립산(416 m), 봉천산(291 m), 국수산(193 m)은 행정구역상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하고 있고, 별립산과 봉천산은 양사면과 하점면 일대에 걸쳐 위치하고 있고, 국수산은 내가면에 바다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별립산 북위 37° 45′ ~ 37° 48′, 동경 126° 21′ ~ 126° 24′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Kim et al., 2015), 봉천산 북위 37° 46′ ~ 37° 47′, 동경 126° 24′ ~ 126° 26′, 국수산 북위 37° 42′, 동경 126° 21′ ~ 126° 22′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강화도 일대의 최근 5년간(2010~2014년) 기상개황은 평균기온 10.9℃, 평균 최고기온 26.1℃, 최고극값 30.1℃, 평균 최저기온 6.4℃, 최저극값 −13.6℃, 평균강수량 1,410.1 ㎜, 상대습도 71.5%, 평균풍속 2 ㎧이다(Ganghwa-gun, 2015).

강화도 일대 산지의 식생 및 식물상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마니산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때죽나무군집, 서어나무군집, 쉬나무군집 등으로 보고된바가 있다(Shin et al, 2014). 그리고 식물상에 관한 문헌으로는 강화도 일대의 혈구산, 퇴모산, 봉천산 등 5개 산지를 대상으로 215분류군(Woo et al., 2007)이 보고된 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대상지에 포함되는 별립산을 대상으로 116과 355속 505종 8아종 52변종 7품종 2교잡종 574분류군이 보고되었고(Kim et al., 2015), 고려산 85과 231속 298종 4아종 29변종 6품종 337분류군(Kim, 2012), 길상산 122과 359속 529종 7아종 51변종 2품종 3교잡종 595분류군(Kim and Kim, 2013), 진강산 114과 336속 495종 7아종 53변종 4품종 1교잡종 560분류군(Kim et al., 2016)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 대상지 3개 산지 중 별립산, 봉천산 2개 산지는 식물상이 보고된바가 있으나, 국수산은 보고된바가 없다.

현재 강화도는 교량 및 휴양시설 건설에 따른 관광객 증가 및 최근 강화나들길 조성으로 인하여 산림식생의 교란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화도 내의 3개 산지인 별립산, 봉천산, 국수산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을 파악하여 기존연구와의 비교고찰 및 식물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총 6회 조사하였으며, 조사대상지는 강화도 내에 위치한 3개 산지인 별립산, 봉천산, 국수산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Fig. 1, Table 1).

Fig. 1.Location of study area and investigated routes.

Table 1.The investigate routes and date of Byeollipsan(Mt.), Bongchunsan(Mt.), Gucksoosan(Mt.) in Ganghwa island

관속식물상 조사는 3개 산지일대의 모든 분류군을 채집하는 것과 야장작성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종의 동정은 현지에서 수행하거나, 동정이 어려운 식물은 채집 후 실험실에서 동정을 실시하였다.

분류 및 동정은 Lee (2003 a; b), Lee (2006 a; b), 일부 양치류의 동정은 Korean Fern Society (2005) 등의 문헌을 활용하였으며, 채집된 식물의 표본은 국립수목원 분원인 국립 DMZ자생 식물원에 보관하였다. 식물목록은 증거표본과 디지털 사진 등 동정된 종만을 대상으로 작성하였으며, 분류군의 배열은 Engler(Melchior, 1964)의 체계에 따라 작성하였다.

식물의 학명 및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http://www.nature.go.kr/kpni/)을 따라 작성하였다.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에 따라 작성하였고, 특산식물은 Oh et al. (2005), 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Kim (2000), 귀화식물은 Lee et al. (2011)에 따라 작성하였다. 특히 귀화식물은 Lee et al. (2011)에 따라 원산지, 귀화도, 이입시기를 구분하였고, 귀화도는 Kariyama and Kobatake (1988)의 문헌을 따랐다. 귀화율(NI: Naturalized Index)과 도시화지수(UI: Urbanized Index)는 Yim and Jeon (1980)의 문헌을 따라 분석하였다. 자원식물의 유용도 분석은 Lee (1976)에 따라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강화도에 위치한 별립산, 봉천산, 국수산 3개 산지의 관속식물상은 총 93과 280속 392종 4아종 53변종 6품종 455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양치식물 7과 13속 18종 3변종 21분류군(4.6%), 나자식물 2과 3속 6종 6분류군(1.3%), 피자식물에서 쌍자엽식물 74과 211속 291종 4아종 40변종 5품종 340분류군(74.7%), 단자엽식물 10과 53속 77종 10변종 1품종 88분류군(19.3%)이 출현하였다(Table 2). 과별로 구분하면 국화과 49분류군(10.8%), 벼과 32분류군(7%), 장미과 26분류군(5.7%), 사초과 21분류군(4.6%), 콩과 20분류군(4.4%), 백합과 17분류군(3.7%), 마디풀과와 제비꽃과 15분류군(3.3%), 석죽과와 십자화과 13분류군(2.9%) 등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Appendix 1).

Table 2.Classification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Byeollipsan(Mt.), Bongchunsan(Mt.), Gucksoosan(Mt.) of Ganghwa island

본 연구 대상지중 별립산과 봉천산을 대상으로 보고된 식물상 문헌은 확인하였으나, 국수산을 대상으로 수행된 문헌은 확인되지 않았다.

봉천산은 대부분 리기다소나무로 조림된 조림지이고, 물오리나무, 떡갈나무, 개구리미나리 등의 분류군이 분포한다고 보고한바 있다(Woo et al., 2007). 또한 별립산을 대상으로 보고된 기존문헌 Kim et al., (2015)에 의하면 116과 355속 505종 8아종 52변종 7품종 2교잡종 574분류군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별립산의 관속식물은 총 76과 192속 227종 4아종 32변종 5품종 26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기존문헌 결과와 본 연구 결과가 다소 차이나는 이유는 조사 경로, 횟수, 시기 및 여러 환경요인에 의한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된다. 별립산을 대상으로 기존연구에 비해 본 연구에서 추가 된 종은 진고사리, 개면마, 묵밭소리쟁이, 으아리, 좀꿩의 다리, 털고광나무, 털개벚나무, 장구밤나무, 가는네잎갈퀴, 큰메꽃, 버드쟁이나물 등 52분류군이 추가 조사되었다. 한편 기존 문헌에서 보고된 구상나무, 시호, 개지치, 멱쇠채, 범부채, 모새달, 은사시나무, 키버들, 외대으아리, 벌개미취, 늦등굴레 등 358분류군은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희귀식물

강화도에 위치한 별립산, 봉천산, 국수산에 분포하는 희귀식물은 별립산을 제외하고 긴잎꿩의다리, 산닥나무, 쇠채 3분류군이 봉천산, 국수산에 각각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Table 3). 이 중 위기종(EN)은 긴잎꿩의다리 1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취약종(VU)은 산닥나무, 쇠채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긴잎꿩의다리는 봉천산의 등산로에서 다소 떨어진 곳에 몇 개체가 생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닥나무는 국수산 인근 덕산산림욕장의 산책로 부근 임연부에 많은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차량통행이나 산책로 이용객으로 인한 훼손이나 인위적 교란을 받을 우려가 있어 보호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쇠채는 국수산의 등산로 초입부에 소수의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3.z1: Bongchunsan(Mt.), y2: Gucksoosan(Mt.), xEN(Endangered, 위기종), wVU(Vulnerable, 취약종).

특산식물

본 연구대상지에서 확인된 특산식물은 키버들, 외대으아리, 산이스라지 등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4). 키버들은 봉천산의 등산로옆 계곡부 주변에서 몇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외대으아리는 봉천산과 국수산의 등산로 주변과 임연부에서 소수의 개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대부분의 특산식물은 외래식물로부터 자생지를 위협받기 쉬운 마을 근처와 등산로 초입부 보다는 임연부에 대부분 서식하는 것으로 보아 훼손정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4.z1: Byeollipsan(Mt.), y2: Bongchunsan(Mt.), x3: Gucksoosan(Mt.).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어느 특정 지역 및 공간의 자연환경 우수성의 정도와 종보존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결정하기 위해 제시된 목록으로써 Kim (2000)에 의해 보존가치가 높은 Ⅴ등급부터 Ⅰ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연구대상지에서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42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5). Ⅴ등급은 긴잎꿩의다리 1분류군이 확인되었고, Ⅳ등급은 개벼룩, 등, 고로쇠나무, 산닥나무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Ⅲ등급은 개부처손, 구슬갓냉이, 큰꿩의비름 등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Table 5.z1: Byeollipsan(Mt.), y2: Bongchunsan(Mt.), x3: Gucksoosan(Mt.).

귀화식물

본 연구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소리쟁이, 돌소리쟁이, 미국자리공, 흰명아주 등 2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조사된 귀화식물 중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 야생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5)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Lee et al., (2011)에 의하여 원산지, 귀화도, 이입시기를 구분한 결과, 원산지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분류군이 13분류군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귀화도는 5등급이 돼지풀 등 17분류군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이입시기는 1기 17분류군, 2기 5분류군, 3기 7분류군으로 각각 나타났다.

Table 6.zByeollipsan(Mt.), yBongchunsan(Mt.), xGucksoosan(Mt.), wOrig.: Origin, vN.D.: Naturalized degree, uInt.-p.: Introduced period, tEu:Europe, sEu-As: Europe-Asia, rnA: north America, qEu-Af: Europe-Africa, psA: south America, oAf: Africa, ntA: tropical America.

Yim and Jeon (1980)이 제시한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귀화율 6.4%, 도시화지수 9%로 각각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평균 귀화율 10.3%(Koh et al., 1995)에는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지 중 별립산은 기존문헌과 귀화율을 비교했을 때 8% (Kim et al., 2015)로 본 연구에서 비교적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조사된 관속식물의 분류군수, 조사경로 및 시기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 대상지 인근 산지인 길상산 10.7% (Kim and Kim, 2013), 고려산 8.5% (Kim, 2012), 진강산 7.9% (Kim et al, 2016)와 비교했을 때 다소 낮게 나타났다. 환경부 지정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인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2분류군은 대부분의 조사산지에 출현하였으며, 돼지풀의 경우 국수산, 봉천산에 다소 많은 개체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는데 주변 산림에 교란을 시키는 정도는 아니었다. 추후 종의 확산 여부, 개체군 증감 등의 주기적인 조사를 통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 대상지 중 별립산은 주변환경과의 인접성을 봤을 때 다소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교동도와의 교량건설로 인해 별립산을 찾은 관광객 및 등산객의 증가로 인해 귀화식물의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Kim et al., 2015). 또한 국수산의 경우 강화도 인근 도서인 석모도와의 교량건설로 인해 향후 인위적인 교란을 많이 받아 산림식생에 영향을 많이 끼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최근 강화도에 강화나들길이 조성되었는데 본 연구 대상지인 봉천산과 국수산이 포함되어있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대상지 내의 강화나들길 주변으로 등산로 구획을 보다 면밀히 하여 귀화식물 확산방지 등의 보전관리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 으로 판단된다.

유용식물

본 연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455분류군을 대상으로 유용식물(Lee, 1976)의 경제적 가치기준에 따라 구분한 결과 식용 203분류군(44.6%), 목초용 178분류군(39.1%), 약용 157분류군(34.5%), 관상용 50분류군(11%), 목재용 17분류군(3.7%), 염료용 10분류군(2.2%), 섬유용 3분류군(0.7%), 공업용 4분류군(0.9%)의 순으로 나타났다. 용도를 알지 못하는 식물은 88분류군(19.3%)으로 나타났다(Table 7).

Table 7.zE: Edible, yP: Pasture, xM: Medicinal, wO: Ornamental, vT: Timber, uS: Stain, tF: Fiber, sR: Industrial raw material, rU: Unknown use

References

  1. Ganghwa-gun. 2015. Incheon Metropolitan City Ganghwa-gun Basic Statistics. 2015. pp. 36, 48-51 (in Korean).
  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3.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4.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 Korean J.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5. Kim, Jh. and S.Y. Kim. 2013. The vascular plants in Mt. Gilsangsan (Ganghwa-Isl.), Korea. Korean J. Plant Res. 27(3): 280-304 (in Korean).
  6. Kim, J.H., S.A. Park and C.Y. Yoon. 2016. Floristic study of Jingangsan (Ganghwa-gun), Korea. Korean J. Plant Res. 29(2): 189-203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6.29.2.189
  7. Kim, J.H., S.Y. Kim, C.Y. Yoon, S.A. Park and Y.H. Kim. 2015. Floristic study of Mt. Byeollipsan (Ganghwa-gun), Korea. Korean J. Plant Res. 28(4):441-455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5.28.4.441
  8. Kim, N.A. 2012. A study on vascular plants of Mt. Gorye. M.S. Thesis, Univ. of Kongju, Korea. p. 9 (in Korean).
  9.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332 (in Korean).
  11.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 1:1-137 (in Korean).
  12. _______.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13. _______.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0 (in Korean).
  14.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https://doi.org/10.11110/kjpt.2011.41.1.087
  15.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 Vol. I. Gyohaksa, Seoul, Korea. pp. 1-975 (in Korean).
  16. _______. 2006b. New Flora of Korea. Vol. II. Gyohaksa, Seoul, Korea. pp. 1-885 (in Korean).
  17.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p. 1-666.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http://www.me.go.kr/
  19. 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Daesin Pulishing Co., Seoul, Korea. pp. 1-205 (in Korean).
  20. Shin, H.S., J.K. Shin, H.J. Kim, S.H. Han, W.H. Lee and C.W. Yun. 2014.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ructure for forest vegetaion on Manisan, Ganghwado. Korean J.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1):11-21(in Korean). https://doi.org/10.5532/KJAFM.2014.16.1.11
  21. Woo, K.B., C.S. Chang, K.S. Chang, J.K. Eo and E.H. Lee. 2007. Flora of Kanghwa area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Bull. of Seoul Nat’l Univ. Arboretum. 26:47-85 (in Korean).
  22.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Botany 23(3-4): 69-83 (in Korean).

Cited by

  1. 덕정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vol.31, pp.2, 2018, https://doi.org/10.7732/kjpr.2018.31.2.149
  2. 마니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vol.21, pp.6, 2018, https://doi.org/10.13087/kosert.2018.21.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