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Korea Wave on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to Korea by age

한류가 연령별 외국인 관광객 방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Lee, Yun-Ja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him, Kieu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ong, Hye-Jeong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윤재 (부산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 ;
  • 심기은 (부산대학교 무역학부) ;
  • 홍혜정 (부산대학교 무역학부)
  • Received : 2017.04.18
  • Accepted : 2017.05.19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Korea Wave has been spread out all over the world since 1990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Korea wave phenomenon is one of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for Korea in addition to the macro factors such as population, GDP per capita, exchange rate, distance, etc.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impacts of the Korea wave on the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for Korea by using the aggregated data. However, the impacts of the Korea wave inducing tourism vary in different age groups. In this study, we conduct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explore how different the effects of Korea wave on the demand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to Korea in different age groups are.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Korea Wave influences most on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for Korea in the age group of the under-20s. Noticeable is that the estimated effects of the Korea Wave on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for Korea in the age group of the over-50s are higher than those in the 30s and 40s. This indicates that the parent generations visit Korea together with their young children who are most affected by the Korea Wave.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for tourism marketing linked to children and parents, and to develop tourism products to increase the number of foreign visitors to Korea in the 30s and 40s.

1990년대 이후 중국에서부터 시작된 한류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 외국인 관광객 증가 흐름을 살펴보았을 때 방한 수요를 결정하는 거시적인 요인 외에 한류현상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방한 수요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이 연령별 차이를 두지 않고 전 세대를 포괄하거나 특정 세대만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연령에 따라 한류에 영향을 받는 정도가 다르며 따라서 한류로 인한 방한수요가 연령별로 차이가 존재한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류가 외국인 관광객 방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류지수를 이용하고 분석대상을 연령별로 세분화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류에 쉽게 영향을 받는 20대 이하가 한류로 인한 방한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50대 이상의 한류지수 추정계수가 30~40대 보다 높게 나왔다는 점이다. 이는 부모세대가 한류에 영향을 받은 어린 자녀와 함께 한국으로의 동반 입국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방한 선택에 있어 한류의 영향이 연령별로 차이가 존재하고, 세대별로 적절한 관광 마케팅 전략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녀여행 상품처럼 한류에 영향을 받은 20대 이하의 자녀뿐만 아니라 함께 방한한 부모세대가 같이 즐길 수 있는 관광 상품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한류로 인한 방한이 적은 30~40대의 경우 다른 세대보다 본인에 대한 투자가 많은 세대이므로 한류를 통해 소개된 한국의 뷰티, 패션, 문화, 레저 등과 연계된 관광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수.이경희(2013), 다변량 BEKK모형을 이용한 방한 외래 관광객의 변동성에 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2(3), 1-23.
  2. 김미주.김성섭.박제은.김도윤(2010), 한국 대중가요 선호이유에 따른 한류문화관광 상품이 한국 국가이미지와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연구, 관광레저연구, 22(5), 441-461.
  3. 김성섭.김미주(2009), 태국사회에서 한류대중문화 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3(4), 101-125.
  4. 김영실.주하연(2013), 한류로 인한 공중파방송 프로그램 수출이 방한 아시아 관광객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연구, 16(2), 155-178.
  5. 김주연.안경모(2012),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지, 12(1), 516-524.
  6. 김한주(2015), 실현율을 이용한 관광 수요 예측 :부산 송도해상케이블카 설치를 사례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4(3), 179-190.
  7. 김휘정(2014), 한류지수의 개선방향과 정책활용도 제고 방안, 문화정책논총, 29(1), 216-243.
  8. 박성현(2014), 한류 소비자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2002-201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류비즈니스연구, 1(1), 49-71.
  9. 박소언.이군희.이인혜(2015), 경제변수 및 미디어데이터를 이용한 관광객의 방한 요인분석, 관광연구저널, 29(7), 57-72.
  10. 박창규(2006), 한류의 한국관광지 이미지 영향 분석, 관광연구저널, 20(2), 19-31.
  11. 변상우(2015), 관광지 선택 동기가 고나광지 이미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감천문화마을을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4(3), 197-213.
  12. 송기문.신성아.서헌(2014), K-POP을 통한 한류관광 활성화 방안, 관광레저연구, 26(3), 63-76.
  13. 오미숙(2007), 한류관광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연구저널, 21(3), 485-497.
  14. 윤지환.정효숙.이영진(2012), 베트남 잠재 관광객의 한국 선택 영향요인 분석, 기업경영연구, 19(2), 259-273.
  15. 이충기.송근석.송학준(2006), 일본인 관광객의 방한 수요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8(4), 7-25.
  16. 조준현.강홍중(2012), 한류문화 확산에 따른 문화상품 수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14(1), 271-296.
  17. 채지영(2011), 신한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8. 최경은(2007), 중국인의 방한관광에 대한 한류의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42(4), 526-539.
  19. 최광식(2013), 한류백서: 세계인과 공감하는 K-컬처를 말하다, 문화체육관광부.
  20. 한상완.백다미(2015), 외국인 관광객 증가와 경제적 파급효과 전망, 경제주평, 15(4), 1-13.
  21. 홍미영.임은순(2010), 여행업체 수: 내국인 항공수요 결정의 새로운 요인에 대한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통한 분석, 호텔경영학연구, 19(2), 135-152.
  22. 홍미영.임은순.김순하(2011), 아시아 주요국의 방한수요 변동성 연구, 관광학연구, 35(6), 139-157.
  23. Li, G., Song, H. and Witt, S. F.(2005), Recent developments in econometric modeling and forecasting, Journal of Travel Research, 44, 82-99. https://doi.org/10.1177/0047287505276594
  24. Mercile, J.(2005), Media effects on image: The Case of Tibet, Annals of Tourism Research, 32(4), 1039-1055. https://doi.org/10.1016/j.annals.2005.02.001
  25. Song, H., Romilly, P. and Liu, X.(2000), An empirical study of outbound tourism demand in the U.K, Applied Economics, 32(2), 611-624. https://doi.org/10.1080/000368400322516
  26. Riley, R., Baker, D. and Van Doren, C.(1998), Movie induced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25(4), 919-935. https://doi.org/10.1016/S0160-7383(98)00045-0
  27. Woodside, A.G., Lysonski, S.(1989), A General Model of traveler destination choice, Journal of Travel Research, 27(4), 8-14. https://doi.org/10.1177/0047287589027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