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Trends on Public Libraries in Korea

국내에서의 공공도서관 연구동향 - 2007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회지 논문을 대상으로 -

  • 이혜영 (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7.08.19
  • Accepted : 2017.09.2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at research trends on public libraries in Korea. This performed a content analysis of the articles from 2007 to 2016 on major four academic jour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total 2,134 researches, 405 researches, 19% was the research on public library, of 405 researches, many articles were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The concernment themes of public library research were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 and 'Library Management'. Major research method applied to public library research was survey research method, especially, questionnaire investigation. In survey research method, surveyee was librarian, general user in order.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Gyeonggi were mostly investigated for survey and then those in Busan and Daegu. The researcher dispersion was professor (172 researches, 40.7%) and was professor/graduate (50 researches, 11.8%) in order. Also, there were researchers of different fields.

본 연구는 국내에서의 공공도서관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함이 목적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문헌정보학 4개 학회지에 수록된 공공도서관 주제 논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4개 학회지에 수록된 전체 건수 총 2,134건 중 총 405건(19%)이 공공도서관 연구 건수이며 이 중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에 가장 많은 연구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 연구주제로는 '참고정보봉사'와 '도서관운영'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조사연구이며 이 중에서도 질문지 조사이며 조사연구방법 시 피조사자 대상은 사서, 일반 이용자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으로 많이 선정된 공공도서관 소재지역은 서울, 경기이고 이 두 지역을 제외한 지역으로는 부산, 대구 소재 공공도서관이다. 연구자별 분포는 단독이 공동보다 많으며 단독은 교수, 공동은 교수/대학원생이 많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별 분포를 통해 나타난 사실 중 한 가지는 타학문 분야의 연구자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7.7.4].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online]. [cited. 2017.7.4]. .)
  2. 문경민. 1993.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Moon, Kyeong-Min. 1993. An Analysis of the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Dept. of Library Science.)
  3. 오세훈. 2005.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및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3): 379-408.(Oh, Se Hoon. 2005.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by Analyzing Journal Articles and the Cited Literat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3): 379-408.) https://doi.org/10.3743/KOSIM.2005.22.3.379
  4. 이두영, 김성희, 이명희. 1997. 문헌정보학 연구방법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Lee, Too-Young, Seong-Hee Kim, and Myeong-Hee Lee. 1997. 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5. 이명희. 2002. 내용분석법에 의한 문헌정보학 학술지 연구논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287-310.(Lee, Myeong-Hee. 2002. "Recent Trends in 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ntent Analysis of the Journal Artic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3): 287-310.) https://doi.org/10.4275/KSLIS.2002.36.3.287
  6. 이석형, 곽승진. 2013. 전문용어 활용주기 기반의 연구 동향 분석 연구: 문헌정보학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4): 355-375.(Lee, Seok-Hyeong and Seung-Jin Kwak. 2013. "A Study on the Technical Term Utilization Cycle based Research Trend Analysis: Focused on LIS Field."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4(4): 355-375.)
  7. 이혜영. 2015. 한국에서의 대학도서관 연구동향. 정보관리학회지, 32(2): 153-165.(Rhee, Hey Young. 2015. "A Trend of Research Topics on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2): 153-165.)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153
  8. 이혜영, 박현영. 2016. 국내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 연구동향. 정보관리학회지, 33(3): 219-238.(Rhee, Hey Young and Hyun Young Park. 2016. "Research Trends in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219-238.)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219
  9. 정재영, 박진희. 2011.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장연구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71-191.(Chung, Jae Young and Jin Hee Park. 2011. "Analysis of the Trends in the Field Stud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171-191.)
  10. 조재인. 2011.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 최근 연구 경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8(4): 65-83.(Cho, Jane. 2011. "A Study for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Network Tex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65-83.)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065
  11. 조찬식, 조미아 공저. 2011. 공공도서관의 이해와 분석. 서울: 에듀컨텐츠.(Cho, Chan-Sik and Miah Cho. 2011.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Public Library. Seoul: Edu-Contents.)
  12.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2003년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3.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2003.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3.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2013년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3.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2013.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4. 한국도서관협회. 2015.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5. Korea Library Year Book.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5. 한국도서관협회. 2016.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6. Korea Library Year Book.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Cited by

  1. 한국 도서관경영 연구의 동향과 과제 - 2014~2020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vol.55, pp.1, 2017, https://doi.org/10.4275/kslis.2021.5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