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Teachers' Training Course about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to Enhance Informatics Teaching Efficac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 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EPL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이소율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7.07.28
  • Accepted : 2017.09.26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elementary teacher training course for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based on TPACK in order to mak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lly equipped with teaching efficacy for SW education. As a result, the informatics teaching efficacy of th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EPL training course developed based on TPACK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han the teachers in the control group(t=4.13, p<.001). The dependent sample 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ith t=4.57 (p< .001). It proved that TPACK-based teachers' training course is effective to improve teachers' informatics teaching efficacy.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SW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urse should be systematically structured considering TPACK framework.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SW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 EPL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TPACK 프레임워크의 요소를 고려하여 개발하였고, 실험집단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정보 교수효능감 사후검사의 t검정 결과, t=4.13(p<.001)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의 종속표본 t검정 결과 t=4.57(p< .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다. 실험집단은 SW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을 이론적인 습득만 하는 것이 아니라,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와 실습 기회가 연수 과정 전반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정보 교수효능감 함양에 효과적이었다고 분석된다. 이는 향후의 SW교육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서도 TPACK 프레임워크 요소를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고시. 교육부.
  2. 교육부(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교육부.
  3.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4. 정영식(2013). 교육대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개선 방안.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7(2), 157-166.
  5. 안상진, 이영준(2015). SW 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방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1), 133-134.
  6. 박만재, 이철현(2016). 초등 교사들의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11-227.
  7. 김갑수(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1), 47-56.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1.47
  8. 한상준, 정남용(2015). 실과교육에서의 소프트웨어교육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전략. 실과교육연구 21(3), 115-130.
  9. Shulman, L. S(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2307/1175860
  10.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84.x
  11. 소연희(2013). 초등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학적 지식(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TPACK)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종합연구 11(1), 157-175.
  12. 최현종, 이태욱(2015). TPACK 모형에 기반한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지식 교육 프로그램 적용과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2), 231-239. https://doi.org/10.9708/jksci.2015.20.2.231
  13. Bandura, A.(1977).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4. Gibson, S., & Dembo, M. H.(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15. Ashton.(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16. 정경희.(2001). 유아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2(4), 225-241.
  17. 김효남(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 분석. 교육과학연구 41(1), 97-118.
  18. 이상은, 김현수(2014). 유아교사의 음악구성에 대한 교수 실제와 음악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9(2), 53-76.
  19. 심지은(2000). 유치원 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 김랑, 심숙영(2013). 구성주의에 대한 유아교사 신념을 통한 교사개인특성변인, ICT 교수효능감, ICT 불암감과의 관련성 분석. 아동교육 22(1), 143-161.
  21. 소연희(2013). 초등교사들이 지각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학적 지식(TPACK), 교수효능감과 수업전문성 인식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4(4), 125-147.
  22. 이진원, 이영준(2016). 현직 초등 교사들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에 관한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2), 183-184.
  23. Resnick, M., & Silverman, B(2005). Some Reflections on Designing Construction Kits for Kids. Proceedings of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conference, Boulder, Co.
  24. 김수환, 이원규, 김현철(2009). 개정된 정보교육과정에서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교육적 적용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2), 23-31.
  25. Bleicher, R. E. (2004). Revisiting the STEBI-B: Measuring Self-Efficacy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4(8), 383-391.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4.tb18004.x
  26. Teti, D, & Gelfand, D(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s: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 efficacy. Child Development, 62, 18-29.
  27. 황해익, 송연숙, 최혜진, 손원경(2014). 개정 영유아.아동 연구에서의 SPSS 자료분석. 서울: 창지사.
  28. 이진원, 이영준(2016). 초등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 검사도구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2), 119-122.
  29. 김수환(2015). 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시스템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6), 13-22.
  30. 양혜지, 김자미(2017). 교육대학원의 중등 정보교사 양성 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 현황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2), 23-34.
  31. 황준영, 김자미(2017).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과 교수 가능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1), 6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