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20년대 영화소설의 이미지 텍스트 연구

The Theory of the Image of the "Cinema-novel" in 1920s

  • 공성수 (서강대학교 글쓰기센터)
  • 투고 : 2017.09.26
  • 심사 : 2017.11.10
  • 발행 : 2017.11.28

초록

1920년대 영화소설은 영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효과를 활용해 구성된 서사물이며, 독서 과정에서 끊임없이 영화의 이미지를 환기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영화 매체의 흥행과 함께 나타난 이 독특한 장르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는 근대적인 예술매체의 형식을 고민하고, 그에 걸맞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1920년대 예술의 시대적인 특성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본고는 혼종의 매체 시대, 파격적인 장르 실험의 한 사례로서 '영화소설'에 주목하고, 영화소설이 어떻게 하나의 장르로서 수렴해갔는지 살피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이 과정에서 영화, 소설, 사진, 그리고 삽화가 결합된 융합 텍스트의 미학적 원리를 규명하는 일은, 본고의 중요한 목표가 될 것이다.

The 1920s 'cinema-novel' is composed of various media effects based on cinematic imagination, and it is designed to constantly evoke the image of the film during the reading process. This article focuses on 'cinema-novel' as an example of an unprecedented genre experiment. It is because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is unique genre is filled with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of the 1920s art that strived to create a content suitable for the modern art mediu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수, "한국 근대소설과 영화의 교섭양상 연구 : 근대소설의 형성과 영화체험," 서강어문, 제15권, pp.159-196, 1999.
  2. 전우형, 식민지 조선의 영화소설, 소명출판, 2014.
  3. 강옥희, "식민지 시기 영화소설 연구," 민족문학사연구, 제32호, pp.181-213, 2006.
  4. 한정선, "1920년대 문학과 영화의 영향관계에 관한 고찰 : 영화소설의 등장과 그 배경," 일본학연구, 제33집, pp.329-347, 2011.
  5. 김기진, "영화소설 <전도양양> 예고," 중외일보, 제4면, 1929.9.24.
  6. 강현구, "1920, 30년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굿.배드.맨과 변사의 목소리," 국어국문학, 제134호, pp.343-375, 2003.
  7. 주인, "영화소설 정립을 위한 일고 : 심훈의 <탈춤>과 영화 평론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34권, 제2호, pp.261-284, 2006.
  8. 최성민, "근대 서사 텍스트의 매체와 대중성의 문제," 한국근대문학연구, 제7권, 제1호, pp.65-91, 2006.
  9. 전우형, 1920-1930년대 영화소설 연구 : 영화소설에 나타난 영상-미디어 미학의 소설적 발현 양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0. 정종화, 조선 무성영화 스타일의 역사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1. 조희문, "일제강점기 시대 '조선키네마'의 설립과 영화제작 활동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29호, pp.321-346, 2006.
  12. 공성수, 근대소설의 형성과 삽화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