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re Strain and Depression Among Mother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ildren: The Role Of Resilience As a Moderator

발달장애인 자녀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수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배종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 한세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김소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Received : 2018.10.08
  • Accepted : 2018.11.02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care strain and depression among mothers of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participants was 200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programs related to developmental disability of 15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15% of mothers of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epression risk group. Second, mother's strain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the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strain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should expand intervention program not only for alleviating care strain but also improving mother's resilience to prevent depression of mothers with childr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자녀 어머니의 양육부담감과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경기 지역 15개소의 지역사회복지관 및 치료센터에서 발달장애인 관련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어머니 200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인 자녀 어머니의 우울 수준을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우울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이 15%로 나타나 우울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인 자녀 어머니의 양육부담감은 우울에 영향을 미쳤고, 탄력성은 양육부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우울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서 양육부담감을 완화시키는 지원 외에도 어머니의 탄력성을 강화하는 개입이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2_57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8_v18n12_579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탄력성의 조절효과

표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8_v18n12_579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CCTHCV_2018_v18n12_579_t0002.png 이미지

표 3.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부담감

CCTHCV_2018_v18n12_579_t0003.png 이미지

표 4.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CCTHCV_2018_v18n12_579_t0004.png 이미지

표 5. 양육부담감과 우울 관계에서 탄력성의 조절효과

CCTHCV_2018_v18n12_579_t0005.png 이미지

표 6. 조절변수 조건적 값에 따른 조절효과 크기

CCTHCV_2018_v18n12_579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통계청, 장애인 통계, 2017.
  2. 통계청, 장애인 통계, 2016.
  3. 김진우, "장애, 시민권, 민주주의; 시민권과 발달 장애인의 배제 및 참여, 장애연구에의 참여수준 제고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제30권, pp.10-51, 2014.
  4. 김향지, "장애아동 부모지원을 위한 내용 구성 방안,"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1권, 제2호, pp.301-319, 2005.
  5. 성치상, 오봉욱, "발달장애인 가족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사회복지리뷰, 제16권, pp.5-24, 2011.
  6. M. M. Seltze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in mothers of youths with autism, down syndrome, orfragile X syndrome,"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Vol.109, No.3, pp.237-254, 2004. https://doi.org/10.1352/0895-8017(2004)109<237:PWACIM>2.0.CO;2
  7. George H. S. Singer, "Meta-Analysis of Comparative Studies of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Vol.111, No.3, pp.155-169, 2006. https://doi.org/10.1352/0895-8017(2006)111[155:MOCSOD]2.0.CO;2
  8. 고정선,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부담감,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상호 관계: 정신지체와 자폐 아동 어머니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9권, 제1호, pp.1-17, 2008.
  9. 이숙자, 임성욱,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10권, 제1호, pp.100-118, 2006.
  10. 손재익,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 연구, 제10권, 제3호, pp.89-109, 2010.
  11. 임은경,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성격 특성,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2. Miodrag, Hodapp, "Chronic stress and health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Vol.23, pp.407-411, 2010. https://doi.org/10.1097/YCO.0b013e32833a8796
  13.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igin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g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13, pp.39-101, 1980.
  14. Ec. Klohn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 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pp.1067-1079,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15. R. C. Pianta and D. J. Walsh, "Applying construct of resilience in schools: Cautions from a developmental systems perspective," School Psychology Review, Vol.27, No.3, pp.407-417, 1998.
  16. 양옥경, 최명민, "한국인의 한(恨)과 탄력성," 정신보건사회사업, 제11권, pp.7-29, 2001.
  17. 박지혜, 이하나, 정현주, 이기학,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제1호, pp.474-475, 2005.
  18. V. Bitsika, Christopher F. Sharpley, and R. Bell, "The Buffering Effect of Resilience up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Parents of a Child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Vol.25, pp.533-543, 2013. https://doi.org/10.1007/s10882-013-9333-5
  19. 전병주, "아동의 장애유형에 따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복지서비스 인식 및 삶의 질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492-50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492
  20. 김정진, 김미옥, "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연구:자존감의 향상과 우울감의 감소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14호, pp.7-36, 2002.
  21. Ada C. Mui, "Caregiver Strain Among Black and White Daughter Caregivers: A Role Theory Perspective," The Gerontologist, Vol.32, No.2, pp.203-212, 1992. https://doi.org/10.1093/geront/32.2.203
  22. Jennifer M. Kinney, Mary Ann Parris Stephens, Melissa M. Fanks, and Virginia Kline Norris, "Stresses and satisfactions of family caregivers to older stroke patients,"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14, No.1, pp.3-21, 1995. https://doi.org/10.1177/073346489501400101
  23. H. Zarit and M. Zarit, "Families under stress: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senile dementia patient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 Practice, Vol.19, No.4, pp.461-471, 1982. https://doi.org/10.1037/h0088459
  24. Horowitz, "Family caregiving to the frail elderly,"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 geriatrics, Vol.5, pp.194-246, 1985.
  25. M. Thornton,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the Modified Caregiver Strain Index,"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58, No.2, pp.127-132, 2003. https://doi.org/10.1093/geronb/58.2.S127
  26. R. Montgomery, J. Gonyea, and N. Hooyman,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The Family and Health Care, Vol.34, No.1, pp.19-62, 1985.
  27. J. Hoenig and M. Hamilton, "Extramural psychiatric care and the elderl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13, No.497, pp.435-443, 1967. https://doi.org/10.1192/bjp.113.497.435
  28. 임은경, 김정규,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성격특성,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게슈탈트심리상담학회, 제4권, 제1호, pp.49-67, 2014.
  29. C. Hoffman, D. Sweeney, M. Lopez-Wagner, D. Hodge, C. Y. Nam, and B. Botts, "Children with autism: Sleep problems and mother's stress,"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23, pp.155-165, 2008. https://doi.org/10.1177/1088357608316271
  30. 박순옥, 신현균, "심리건강 향상에 초점을 둔 부모역할 프로그램이 중도, 중복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존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4권, 제3호, pp.329-345, 2009.
  31. 김정자, 오명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비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187-196, 2015.
  32. 이임숙,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변인들 간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미간행), 2006.
  33. 한영란, 이명희, 방미란, "장애아동 양육을 위한 어머니의 건강관련 교육요구," 아동간회학회지, 제12권, 제1호, pp.44-56, 2006.
  34. 어용숙, 안혜경, 김영희,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 중심 서비스에 대한 요구 및 사회적지지 정도," 아동간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98, 2008.
  35. 이지수, "장애아동 가족의 자녀 양육부담 및 서비스 욕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8권, pp.71-100, 2008.
  36. 남연희, 정신지체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 경감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37. A. Crine, N. Feiedrich, and T. Greenberg, "Adaptation of families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A model of stress, coping, and family ecology,"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Vol.88, No.2. pp.125-138, 1983.
  38. 오혜경, 전혜연, "장애아동 부양가족의 양육부담감 및 가족지원 욕구," 한국가족복지학, 제9권, 제1호, pp.79-100, 2004.
  39. M. B. Olsson and C. P. Hwang, "Depression in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45, No.6, pp.535-543, 2001. https://doi.org/10.1046/j.1365-2788.2001.00372.x
  40. Richard P. Hastings, author, Hanna Kovshoff, Nicholas J. Ward, Francesca degli Espinosa, Tony Brown, and Bob Remington, "Systems Analysis of Stress and Positive Perceptions in Mothers and Fa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35, No.5, pp.635-644, 2005. https://doi.org/10.1007/s10803-005-0007-8
  41. Bitsika, Sharpley,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ticle in Australian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Vol.14, No.2, pp.151-161, 2004. https://doi.org/10.1017/S1037291100002466
  42. 문영경, "영아의 기질, 발달수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원이 영아 어머니의 자기효 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1권, 제1호, pp.59-70, 2012. https://doi.org/10.5934/KJHE.2012.21.1.59
  43. A. C. Gerdes, B. Hoza, L. E. Arnold, W. E. Pelham, J. Swanson, T. Wigal, and P. S. Jensen, "Matern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parenting behavior: Exploration of possible mediat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5, No.5, pp.705-714, 2007. https://doi.org/10.1007/s10802-007-9134-3
  44. 김미예, 박동영,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언어적 학대," 아동간호학회지, 제15권, 제4호, pp.375-382, 2009.
  45. 김미량, 이연주, 이정호,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여가제약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366-375,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366
  46. S. S. Luthar and D. Cicchetti, "The construct of resilience: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and social policy," Development and Psychopath ology, Vol.12, pp.857-885, 2000.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4156
  47. P. Hengudomsub, "Resilience later life," Thai Pharmaceutical and Health Science Journal, Vol.2, No.1, pp.115-123, 2007.
  48. L Ryan and M. L. Caltabiano,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Resilience in Midlife Scale (RIM Scale)," Asian Social Science, Vol.5, No.11, pp.39-51, 2009.
  49. Friborg, Hjemdal, "Resilience as a measure of adaptive capacity," Journal of the Norweg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41, pp.206-208, 2004.
  50. F. Walsh, "The resilience of the field of family therapy," Journal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24, No.3, pp.269-271, 1998. https://doi.org/10.1111/j.1752-0606.1998.tb01084.x
  51. Peer, Hillman, "Stress and Resilienc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Review of Key Factor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tioners," Journal of Policy and Practice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Vol.11, No.2, pp.92-98, 2014. https://doi.org/10.1111/jppi.12072
  52. 임현승, 김범준, "지적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주는 연구-자아 탄력성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매니지먼트학회, 제22호, pp.73-92, 2017.
  53. 강효경, 유장순,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초등상담연구, 제11권, 제3호, pp.427-446, 2012.
  54. 김덕주, 용미현, "장애아동 부모의 작업수행능력과 여가만족이 장애아동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7권, 제9호, pp.587-596,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587
  55. S. Cohen and C. MacKay,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A theoretical analysis," In A. Baum, J. E. Singer, & S. E. Taylor (Eds.), Handbook of psychology and health, Vol.4, pp.253-268, 1984.
  56. Ana Maria, Brannan, "The Caregiver Strain Questionnaire: Measuring the Impact on the Family of Living with a Child with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Vol.5, No.4, pp.212-222, 1997. https://doi.org/10.1177/106342669700500404
  57. Kurt Kroenke, Robert L. Spitzer, and Janet B. W. Williams,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16, No.9, pp.606-613, 2001. https://doi.org/10.1046/j.1525-1497.2001.016009606.x
  58. 최홍석, 최지호, 박기호, 주규진, 가혁, 고희정, 김성열, "주요우울장애의 선별 도구로서 한국판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의 표준화," 가정의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14-119, 2007.
  59. 박승진, 최혜라, 최지혜, 김건우, 홍진표, "한글판 우울증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불안의학회지, 제6권, 제2호, pp.119-124, 2010.
  60. O. Friborg and O. Hjemdal, "Resilience as a measure of adaptive capacity," Journal of the Norweg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41, pp.206-208, 2004.
  61. 유창민, 강상경, "발달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의 돌봄스트레스 과정모델 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8권, pp.29-48, 2015.
  62. 백종남,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뇌성마비 등 발달장애아 부모 양육부담감의 구성요인 탐색 및 확인: 부모의 정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간접 및 총효과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6권, pp.79-100, 2015.
  63. 임원균, 오은경,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예측 요인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제11권, pp.173-200, 2014.
  64. 최해경, "성인발달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의 보호 부담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2호, pp.243-263, 2010.
  65.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2013.
  66. 김고은,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의 우울: 가족관계 만족의 중재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8권, pp.237-259, 2011.
  67. 심석순, "성인발달장애인 어머니의 돌봄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8권, pp.1-23, 2013.
  68. 김영란, 김고은, 김소영,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 및 관련 변인 연구: 양부모 가구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제88권, 제1호, pp.117-164, 2015.
  69. 보건복지부.삼성서울병원, "2016년도 정신질활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연구용역 사업보고서.
  70. 심석순, 남정휘, "어머니의 개인.사회적 대처자원이 성인발달장애인 자녀의 돌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제20권, 제1호, pp.43-64, 2016.
  71. 이성민, 학령기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대처기술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72. 이윤화, 김동기, 최은화,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 응집력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양육부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1호, pp.159-180, 2016.
  73. 장휘숙, "정신병리를 차단하는 요인으로서의 탄력성," 한국심리학회지:발달, 제14권, 제1호, pp.113-127, 2001.
  74. 이규용, 송정수, "심리적자본이 임파워먼트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전경영학회지, 제12권, 제4호, pp.289-300, 2010.
  75. 양심영, "학령 전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적응유연성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280-29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280
  76. Dyer & McGuinness,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10, No.5, pp.276-282, 1996. https://doi.org/10.1016/S0883-9417(96)800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