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acticability of the Sample Course Evaluation System through Simulation

모의실험을 통한 표본 강의평가제의 실현 가능성 탐구

  • 김용태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
  • 김성윤 (배화여자대학교 경영과) ;
  • 이상준 (세명대학교 정보통신학부)
  • Received : 2017.11.02
  • Accepted : 2017.12.13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current system of making course evaluations mandatory in universities in Korea in order to supplement low participation levels is a major hindering factor for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results due to students' insincere responses. This study points out the problems in course evaluations that are in the form of surveys and instead proposes a sample course evaluation system that utilizes a sample mean to deduce a population mean, attempting to prove through simulation that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small, medium, and large scale courses as well as cyber courses that were available in S University in the fall 2016 semester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each course's evaluation average grade was set as the population mean. Furthermore, we used the average grad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ame courses from the previous year in order to decide the sample number, the reliability level was set as 95%, and the margin of error was set as ${\pm}0.25$.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 simulation using the data analysis tool R, all the courses (small scale, medium scale, large scale, and cyber) showed to have a reliability level close to 95% including the population mean, and consequently practicality of the representative sample course evaluation system was proven.

현재 국내 대학들이 강의평가의 저조한 참여율을 보완하기 위해 부가한 강제성은 학생들의 불성실한 응답을 야기하여 평가결과의 타당성을 크게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수조사로 진행되는 강의평가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표본 강의평가제를 그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표본평균을 이용해 모평균을 추론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다는 것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2학기 S 대학에서 개설된 강좌의 소형, 중형, 대형, 사이버 강좌를 모집단으로 가정하였고, 각 강좌의 강의평가 평균점수를 모평균으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표본수의 결정을 위하여 직전년도 동일 교과목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신뢰수준은 95%, 오차한계는 ${\pm}0.25$로 하였다. 데이터 분석도구인 R을 이용한 모의실험 시행결과 소형, 중형, 대형, 사이버 강좌 모두 모평균을 포함하는 신뢰수준이 95% 이상 근사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표성 있는 표본 강의평가제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신일, 김혜정, 이정연, "한국대학의 강의평가실태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3권, 제3호, pp.379-403, 2005.
  2. 김명화, "강의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아시아교육연구, 제6권, 제3호, pp.1-24, 2005.
  3. 하오선, 정민호, "강의평가 응답분석을 통한 강의 평가도구 개선방안," 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pp.273-294, 2014.
  4. 양길석, "대학 강의평가 일관적 응답의 경향성과 영향력 분석," 제27권, 제2호, pp.255-278, 2014.
  5. 홍경선, "대학교 강의평가에 나타난 일관적 응답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2권, 제2호, pp.97-127, 2006.
  6. 신소영, 권진희, "강의평가결과의 신뢰성 제고 방안 연구: 강의평가제도의 운영을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35권, 제4호, pp.115-145, 2016.
  7. 오숙영, "강의평가점수 영향력 요인에 대한 사후조정 연구," 교육평가연구, 제28권, 제4호, pp.1225-1254.
  8. W. Hoy and C. Miskel,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Mcgraw Hill, 2005.
  9. 이원석, 이현우, 정영근, "대학 강의평가에서 실시방식이 학생들의 불성실한 응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3호, pp.547-561, 2012.
  10. 최보금, 김재웅,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평가 관련 요인 탐색: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pp.77-100, 2013.
  11. 김성숙, 김학일, "학기중 적용을 위한 강의진단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제21권, 제1호, pp.55-78, 2008.
  12. 안수현, 이상준, "교육수요자 만족도조사의 신뢰성 제고방안 탐색: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2호, pp.71-77,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71
  13. 한경수, 최숙희, 박재철, "강제적인 대학 강의평가의 문제점," 한국통계학회논문집, 제18권, 제1호, pp.35-45, 2011.
  14. M. Milton, Head First Data Analysis: A Learner's Guide to Big Numbers, Statistics, and Good Decisions, O'Reilly Media, 2009.
  15. D. Griffiths, Head First Statistics: A Brain-Friendly Guide, O'Reilly Media, 2008.
  16. 서민구, R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분석 실무, 길벗, 2014.
  17. M. J. Crawley, The R book, John Wiley & Sons, 2012.
  18. P. Teetor, R Cookbook: Proven Recipes for Data Analysis, Statistics, and Graphics, O'Reilly Media,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