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Perceptions After Participating in Parent Counseling Education Combining Physical Contact Play Activities

신체접촉놀이를 통합한 부모상담교육 참여에 따른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및 인식 변화 연구

  • 심미경 (인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및 교육연구센터)
  • Received : 2018.10.30
  • Accepted : 2018.12.09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Objectiv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perceptions of parenting and play after participating in parent counseling education program which is combined physical contact play activities with client-centered counseling technique. Methods: The subjects were 6 mothers and their child who attended more than 7 out of 8 times in the program, which carried out totally 8 sessions, once a week for 90 minutes. Marschak Interaction Method (MIM)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bout parenting and play were used to assess the change. Results: First, mothers' interaction with their child was become more nurturable and mutual engaged, and facilitated their child's challenge simultaneously providing structure. Second, child-directed interaction was increased rather than mother-directed, and the waiting time for their child's attempt became long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parent counseling education program changed the mother-child interaction more positively.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 in terms of combining play with education and counseling, but there is the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due to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limited cases.

본 연구는 신체접촉놀이와 공감적 소통능력을 위한 상담교육을 통합한 부모상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모-자 상호작용, 양육 및 놀이에 대한 모의 인식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그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공감적 소통능력으로 반영하기, 나-전달법과 제한설정, 서로 승자되기를 상담과 병행하여 교육하였으며, 신체접촉놀이를 통한 즐거움을 공유하는 경험을 포함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A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1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매회기 90분간, 매주 1회씩 총 8회기 부모상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7회기 이상 참석한 어머니 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자 상호작용은 취학전/학령기 아동용 Marschak Interaction Method(MIM)로 평가하였으며, 양육 및 놀이에 대한 인식변화는 반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상담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후 모-자 상호작용에서의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보다 양육적이고 개입적으로 변하였으며, 구조를 제공하면서 유아의 도전을 촉진하는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지시나 가르치려는 상호작용보다는 유아 주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였고, 기다려주는 시간이 늘고 유아의 노력을 격려하는 반응이 증가하였다. 한편, 프로그램 참가 후 양육에 대한 행복감, 가치감, 자신감이 높아졌으며, 놀이에 대한 인식이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놀이와 상담과 교육을 통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사례중심의 질적 변화를 비교분석했다는 점에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순, 박윤조(2016).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3), 27-44.
  2. 김순희, 김경숙(2017). 신체접촉놀이 활동이 유아의 또래상호 작용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3), 83-101.
  3. 김진숙(2013). 애착이론의 내적 작동 모델과 상담적 적용점. 상담학연구, 14(4), 2485-2507.
  4. 김효정, 이희선(2015). 어머니 양육행동 및 유아의 의도적통제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5(4), 113-134.
  5. 박미라(2015). 상담에서 부모교육을 통한 정서적 의사소통 및 공감기법의 필요성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95(1), 263-288.
  6. 박은희(2009). 모-아 집단치료놀이가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만족도 및 모-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아동복지연구, 7(2), 51-69.
  7. 박창옥, 이성희(2012). 유아를 위한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자아개념,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325-349.
  8. 백승선, 곽경화, 안연경(2017).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정서반응 태도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1(3), 289-313.
  9. 백승선, 안연경, 곽경화(2017).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2), 1-24.
  10. 성영혜(2004). 치료놀이를 통한 모-아 상호작용 증진 효과: MIM을 이용한 효과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9(4), 375-390.
  11. 성영혜(2009). 치료놀이, 육아정책실현의 한 방법. 육아정책포럼, 13, 36-37.
  12. 양승희(2016). 부모와 영아 간 상호작용 행동 평가를 위한 부모의 반응성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129-147.
  13. 이주연, 성영혜(2008). 그룹홈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을 위한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 효과. 아동학회지, 29(1), 189-205.
  14. 전은옥, 최나야(2017).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 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의 군집 예측가능성. 한국보육학회지, 17(1), 75-98.
  15. 정계숙, 김정혜, 김미정(2004). 모-자 치료놀이를 적용한 사회적 유능성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또래관계가 어려운 초등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0(4), 169-205.
  16. 정인희(2014). 신체접촉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7(4), 471-489.
  17. 정지나, 한준아, 김지현, 김태은, 윤상인(2018). 부모교육. 파주: 양서원.
  18. 조희연, 이화도(2017). 아동정신분석학적 관점에 기초한 프랑스 육아법 연구: Francoise Dolto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1), 51-73.
  19. 주세진(2007). 어머니가 제공한 치료적 신체접촉놀이가 아동의 자폐증상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6(2), 181-189.
  20. 최영희, 김영희, 심희옥, 심미경(2016). 아동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1. 최은비, 정미라(2015). ADHD 아동의 공격성과 반항성 및 모-자 상호작용을 위한 치료놀이 사례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31(4), 359-392.
  22. 한명숙(2016). 부모의 인성 리더십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 인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6(1), 121-140.
  23. 홍나래, 방희정(2018). 양육 민감성과 안정 애착 증진을 위한 애착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9(2), 91-108.
  24. Booth, P. B., & Jernberg, A. M. (2013). 테라플레이 놀이치료(윤미원, 김윤경, 신현정, 전은희, 김유진 공역). 서울: 학지사(2010 원저 발간).
  25. Bowlby, J. (1988).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Y: Basic Books.
  26. Brown, S. L., & Vaughan, C. (2010). Play: How it shapes the brain, opens the imagination, and invigorates the soul. NY: Avery.
  27. Elkind, D. (2007). The power of play: Learning what comes naturally. Cambridge, MA: Da Capo Lifelong.
  28. Glynn, M. A., & Webster, J. (1992). The adult playfulness scale: An initial assessment. Psychological Reports, 71(1), 83-103. https://doi.org/10.2466/pr0.1992.71.1.83
  29. Miller, E., & Almon, J. (2009). Crisis in the kindergarten: Why children need to play in school. College Park, MC: Alliance for Childhood.
  30. Schieffer, K. (2017). Sunshine circles: Interactive playgroups for social skills development and classroom management (2nd ed.). IL: The Theraplay Institute.
  31. Siegel, D. J., & Solomon, M. (2003). Healing trauma: Attachment, mind, body and brain. NY: WW: Norton & Company.
  32. The Theraplay Institute (2017a). Marschak Interaction Method pre-school/school age, prenatal, infant, toddler and adolescent activities cards. IL: The Theraplay Institute.
  33. The Theraplay Institute (2017b). Sunshine circles: Nurture your classroom with play. IL: The Theraplay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