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s Between Goodness of Fit Between Mother-child and Self-esteem Among Preschoolers: A Moderating Effect of Quality of Home Environment (HOME)

어머니-유아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가정환경자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Seo, So Jung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
  • Kim, Yeon Ju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
  • Ha, Ji Yo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oosong University)
  • 서소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김연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하지영 (우송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10.29
  • Accepted : 2018.12.10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Objectiv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goodness of fit between mother and child, child's self-esteem and quality of home environment.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quality of home environment among preschoolers were investigated in the relation of interest in this stud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95 children who attended preschools, located in Seoul. The preschoolers' self-esteem was tested by the trained researcher, and both of levels of goodness of fit between the mother-child and quality of home environment were rated by the mothers of this study.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levels of preschoolers' self-esteem were positively related to goodness of fit between the mother-child, and quality of home environment. Furthermore, the effects of goodness of fit between mother-child on preschoolers' cognitive, physical, and emotional self-esteem were moderated by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Conclusion/Implications: Along with those finding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어머니와 유아 간의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가정환경자극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195명과 그 어머니였다. 어머니가 어머니-유아 조화적합성, 가정환경자극에 대한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연구자가 유아와 일대일로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유아 조화적합성과 가정환경자극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자극은 어머니-유아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정서적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조화적합성과 가정환경자극을 높일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한나, 박혜원(2003).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특성 및 하루 일과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1(6), 613-622.
  2. 고진영, 이경화(2001). 유아.아동기 자아존중감의 발달적 특성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25, 327-351.
  3. 고현경(2010). 만 4, 5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경향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고현경, 이승연(2010). 만 4, 5세 유아와 부모의 자아존중감 분석. 육아지원연구, 5(1), 27-50.
  5. 곽금주, 유제민, 김정미(2007). 빈곤 아동에 대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탐색: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 1-19.
  6. 김영숙(1999). 유아의 자아 존중감과 가정환경 변인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3(1), 69-98.
  7. 김은주, 이시자(2015).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281-300.
  8. 김정미, 곽금주(2007). 3-6세 유아를 위한 가정환경자극 척도(EC-HOME)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1), 115-128.
  9. 김지영, 곽아정, 김유화(2010). 저소득 가정 유아의 그림책 읽어주기 가정방문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보육학회지, 10(2), 113-142.
  10. 김희정, 임유경(2014). 유아의 다중지능과 자아존중감의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 상호작용 효과 및 상관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7, 233-261.
  11. 문영보, 최복기(2009). 가족-보육시설 연계활동에 대한 부모참여 실태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9(2), 35-52.
  12. 민미희(2017).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4), 97-117.
  13. 박근주(2014).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놀이성, 어머니 - 유아간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근주, 서소정(2014). 유아의 자기결정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유아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25-42.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025
  15. 박미정, 손장희(2007).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따른 저소득 부모의 포괄적 보육서비스 만족도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7(3), 17-34.
  16. 박민지, 김민진(2016). 또래 유능성, 자아존중감, 교사-유아관계와 유아 행복간의 구조 관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1), 217-240.
  17. 박윤조, 김성현(2016). 유아의 자아존중감, 탄력성 및 문제행동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227-244.
  18. 박희숙, 이승은(2007).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치원 적응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337-356.
  19. 배경숙, 조희숙(2004).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기질요구도 및 유아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논총, 13(2), 137-152.
  20. 안영혜, 서현아, 허수윤, 한희정(2015). 영유아 부모의 육아종합 지원센터 참여 실태 및 요구조사. 아동교육, 24(1), 229-246.
  21. 유경훈, 강순미(2013). 창의적 가정환경,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모형 관계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419-436.
  22. 유구종, 김현주(2017).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401-423.
  23. 유종남, 오인수(201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6(2), 79-103.
  24. 윤진, 김정민(1991). 인간 발달과 기질과의 관계 - "조화의 적합성" 모델의 이론적 기초와 그 유용성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0(1), 43-60.
  25. 이선애(2009). 영유아보육.교육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육학회지, 9(3), 69-86.
  26. 이순복, 김문숙(2011).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및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0(2), 171-186.
  27. 이시자(2013). 유아의 성별, 기질, 유아-어머니 간 기질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3(5), 257-278.
  28. 이인구, 오선진(2016).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과 유아가 지각한 유아-교사관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97-120.
  29. 이주연, 이사라(2018).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기질, 어머니 요구도 및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의 영향. 생애학회지, 8(1), 37-56.
  30. 임현주(2017).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9(4), 39-56.
  31. 임현주, 최항준, 김현정(2015). 유아의 성별과 출생순위, 어머니변인 및 가정환경,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6), 247-264.
  32. 장영은(2015a).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모 온정성과 교육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6(6), 1-21. https://doi.org/10.5723/KJCS.2015.36.6.1
  33. 장영은(2015b). 유아기 어휘발달을 예측하는 보육경험 및 가정환경의 영향력: 소득수준에 따른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3), 115-139.
  34. 장유진, 이강이(2011). 유아의 기질,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지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2(3), 59-76. https://doi.org/10.5723/KJCS.2011.32.3.59
  35. 조성연(2002).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가정환경(HOME)과 성격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103-111.
  36. 조준오, 김영연, 나정(2016).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가정환경(HOME)과 성격과의 관계. 아동교육, 25(1), 261-276.
  37. 지성애, 김영옥, 박희숙(2003). 유아의 자아 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7(1), 43-67.
  38. 최명희, 김희진(2017).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의 시대적 변화 추이. 유아교육연구, 37(5), 151-175.
  39. 최미경(2010). 아동과 어머니의 조화적합성 및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아동학회지, 31(5), 151-165.
  40. 최지현, 박혜원(2010). 가정환경 변인 및 아동 개인특성이 취학전 아동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1), 113-124.
  41. 최현미(2013). 유아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기질, 어머니와 애착, 유아-교사관계,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5), 67-87.
  42. 최현미, 신동주(2012). 유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 변인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1), 133-158.
  43. 한세영, 박성연(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조화/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 아동학회지, 17(1), 245-258.
  44. 허미경, 이소은(2010).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과 조화적 합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353-373.
  45. 허순영, 이경옥, 김영희(2005).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방식 및 아동의 문제행동. 놀이치료연구, 9(2), 1-17.
  46.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4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8. Bradley, R. H., & Corwyn, R. F.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 371-399.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3.100901.135233
  49. Bradley, R. H., Whiteside, L., Mundfrom, D. J., Casey, P. H., Kelleher, K. J., & Pope, S. K. (1994). Early indications of resilience and their relation to experiences in the home environments of low birthweight, premature children living in poverty. Child Development, 65(2), 346-360. https://doi.org/10.2307/1131388
  50. Brown, G. L., Mangelsdorf, S. C., Neff, C., Schoppe-Sullivan, S. J., & Frosch, C. A. (2009). Young children's self-concepts: Associations with child temperament,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and triadic family interaction. Merrill-Palmer Quarterly, 55(2), 184-216. https://doi.org/10.1353/mpq.0.0019
  51. Caldwell, B. M., & Bradley, R. H. (2003). Home inventory administration manual: Comprehensive edition. Littie Rock, AR: University of Arkansas for Medical Science.
  52. Chess, S., & Thomas, A. (2013). Goodness of fit: Clinical applications from infancy through adult life. New York, NY: Routledge.
  53. Crampton, A., & Hall, J. (2017). Unpacking socio-economic risks for reading and academic self-concept in primary school: Differential effects and the role of the preschool home learning environmen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7(3), 365-382. https://doi.org/10.1111/bjep.12154
  54.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6), 1969-1982. https://doi.org/10.2307/1129772
  55. Howe, M. L., & Courage, M. L. (1997). The emergence and early development of autobiographical memory. Psychological Review, 104(3), 499-523. https://doi.org/10.1037/0033-295X.104.3.499
  56. Jambunathan, S., & Hurlbut, N. L. (2000). Gender comparisons in the perception of self-competence among four-year-old childre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1(4), 469-477. https://doi.org/10.1080/00221320009596725
  57. Jensen, M. A. (1983). Self-concept and its relation to age, family structure, and gender in head start children. The Journal Of Psychology, 113(1), 89-94. https://doi.org/10.1080/00223980.1983.9923561
  58. Marsh, H. W. (1990). A multidimensional, hierarchical model of self-concept: Theoretical and empirical justifica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2), 77-172. https://doi.org/10.1007/BF01322177
  59. Marsh, H. W., Craven, R. G., & Debus, R. L. (1991). Self-concepts of young children aged 5 to 8: Their measurement and multidimensional structur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3), 377-392. https://doi.org/10.1037/0022-0663.83.3.377
  60. Marsh, H. W., Craven, R. G., & Debus, R. L. (1998). Structur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elf-concepts: A multicohortmultioccasion study. Child Development, 69(4), 1030-1053.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59.x
  61. Marsh, H. W., Ellis, L. A., & Craven, R. G. (2002). How do preschool children feel about themselves? Unraveling measurement and multidimensional self-concept structure. Developmental Psychology, 38(3), 376-393. https://doi.org/10.1037/0012-1649.38.3.376
  62. Robins, R. W., & Trzesniewski, K. H. (2005). Self-esteem development across the lifespa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3), 158-162. https://doi.org/10.1111/j.0963-7214.2005.00353.x
  63. Stipek, D. J., Gralinski, J. H., & Kopp, C. B. (1990). Self-concept development in the toddler years. Developmental Psychology, 26(6), 972-977. https://doi.org/10.1037/0012-1649.26.6.972
  64. Talwar, R., Nitz, K., & Lerner, R. M. (1990). Relations among early adolescent temperament, parent and peer demands, and adjustment: A test of the goodness of fit model. Journal of Adolescence, 13(3), 279-298. https://doi.org/10.1016/0140-1971(90)90019-4
  65.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Oxford, England: Brunner/Mazel.
  66. Verschueren, K., Doumen, S., & Buyse, E. (2012). Relationships with mother, teacher, and peers: Unique and joint effects o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14(3), 233-248. https://doi.org/10.1080/14616734.2012.672263
  67. Windle, M., & Lerner, R. M. (1986). The "goodness of fit" model of temperament-context relations: Interaction of correlation? In J. V. Lerner & R. M. Lerner (Eds.), Temperament and social interaction during infancy and childhood: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Vol. 31, pp. 109-120). San Francisco: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