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Teacher'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Director and Co-worker on the Childcare Efficacy of Infant Teacher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원장과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정꽃님 (르노삼성연구소 어린이집) ;
  • 문혜련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Received : 2018.09.27
  • Accepted : 2018.12.09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er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director and co-worker on the childcare efficacy of infant teachers. Methods: In this study, 169 Infant teachers of childcare centers have participated, where 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test and one way ANOVA to confirm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also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ir effects. Results: Study outcome according to study subjects is as follows. First, we foun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and career by the differences of childcare efficacy depending o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fant teachers. Second, childcare efficacy of infant teachers showed the most evident correlationship with co-workers support followed by the director's support. Third, the data also revealed that childcare efficacy of infant teachers was influenced by co-workers' support, their careers, marital status and their directors' support in order.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higher levels of childcare efficacy were shown by the experienced and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motional support of co-workers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ir childcare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교사 169명이다. 자료는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보육효능감을 살펴보면 결혼여부와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은 동료교사 지지와 가장 큰 양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그 다음 원장 지지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동료교사 지지, 경력, 결혼여부, 원장 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경력이 많고 기혼인 교사의 보육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에는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슬, 김민경(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25-352.
  2. 권미성(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정윤, 정미라, 박수경(2013). 유치원의 조직특성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7(5), 251-266.
  4. 길현주(2015).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경희(2010). 유치원 원장의 리더행동과 상황변수와의 적합성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0(2), 97-112.
  6. 김기철(2016). 영아교사의 전문성, 민감성, 행복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6(2), 57-82.
  7. 김순애(2014). 영아반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영미(2007).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정주, 박형신(2010). 보육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전문성 인식과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4(4), 145-164.
  10. 김지민(2016).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신한대학교 생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지은, 안선희(2007). 영아교사의 개인적 배경 및 근무여건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3), 149-162.
  12. 김혜리(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혜윤(2010). 유치원 교사의 인간관계 이야기. 현상해석학적 교육연구, 7(3), 51-70.
  14. 김희수(2016). 보육교사의 인간관계(원장.동료교사.학부모), 업무보상, 근무조건과 심리적 소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나석희, 이현진(2012). 어린이집 교사들이 보육경험과정에서 겪는 인간관계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유아 교육학논집, 16(1), 69-94.
  16. 노수진, 이경님(2015).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3), 92-113.
  17. 류민영(2014).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민혜영, 윤미정(2011).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47-168.
  19. 박영신(2011).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유치원 조직에서의 인간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1), 183-203.
  20. 박은미(2011).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4), 263-290.
  21. 박은주(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박은주, 문태형(2011).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2), 75-99.
  23. 박정빈, 김은심, 유선희(2010). 영아반 교사가 직면하는 어려움.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2), 65-87.
  24.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박효진(2013). 영아반 교사의 교사 효능감 관련변인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백지숙, 권은주(2018). 영아기 인지.의사소통 발달 관련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8(1), 103-123.
  27. 변길희, 김나림(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0(4), 21-34.
  28. 서문희(2013). 2013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9. 서미정(2016).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대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지지, 교직선택동기, 셀프리더십 및 보육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서미정, 이경님(2017).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대한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지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셀프리더십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2), 1-28.
  31. 서정임(2000). 어린이집의 질과 교사의 교사효능감간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서지영(2002).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송선화(201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1), 133-151.
  34. 송송(2010).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송순옥, 김하종, 성연정(2015).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5(3), 89-107.
  36. 송순옥, 성연정(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 및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영유아보육학, 100, 203-224.
  37. 신건호, 김상수(201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1), 403-412. https://doi.org/10.14400/JDC.2017.15.1.403
  38. 오정윤(2011). 보육교사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25-47.
  39. 윤기영, 박상님(2000).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17(1), 379-404.
  40. 이경례, 문혁준(2013).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 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3), 163-182.
  41. 이고미(2003). 유치원 교사들간의 인간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금란(2004). 유치원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기영(2007).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 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이명순(2004).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 향상에 관한 연구.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병록(2011).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직무환경을 통제변수로 하여. 한국영유아보육학, 67, 1-18.
  46. 이분려(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순영(2009).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 근무유형, 학력, 경력, 연령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1), 301-307.
  48. 이승미, 김순환(2010). 영아반 교사들이 인식한 일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1, 175-196.
  49. 이용주(2015).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 보수와 승진에 대한 인식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과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231-250.
  50. 이은숙, 이경님(2015).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21-238.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221
  51. 이정미(2015). 보육교사의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구조모형분석.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2. 이현주(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53. 임새로와(2017). 유아교사의 교직적성 및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정덕희(2014).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양상. 아동교육, 23(1), 321-343.
  55. 정보옥(2014).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 조직헌신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정순희(2013).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주은지(2012).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한민좌(2001). 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효능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현정환(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6), 117-131.
  60. 황은진(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의사소통능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三木知子.櫻井茂男(1998). 保育專攻短大生の保育者效力感に及ほす敎育実習の影響. 日本敎育心理學硏究, 46, 203-211.
  62.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Y: Lomgman.
  63. Billheimer, B. C. (2006). Perceived Teacher Self-efficacy in early childhood settings: Differences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candidates. Electronic thesis and dissertations. Paper 2200. http://dc.etsu.edu/etd/2200
  64. Brazelton, T. B., & Greenspan, S. I. (2000). The irreducible needs of children: What every child must have to grow, learn, and flourish. New York: Perseus.
  65.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 Addison-Wesley.
  66. Jorde-Bloom, P. (1989). Factors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2), 107-122. https://doi.org/10.1080/02568548809594933
  67. Schaufeli, W. B., & Greenglass, E. R. (2001). Introduction to special issue on burnout and health. Psychology and Health, 16(5), 501-510. https://doi.org/10.1080/08870440108405523
  68. Torquati, J. C., Raikes, H., & Huddleston-Casas, C. (2007). Teacher education, motivation, compensation, workplace support, and links to quality of center- based child care and teachers'intention to stay in the early childhood profess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2), 261-275. https://doi.org/10.1016/j.ecresq.2007.03.004
  69. Wittmer, D. S., & Peterson, S. H. (2011). 영아 발달과 반응적 교육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A relationshipbased approach](이승연, 김은영, 강재희, 문혜련, 이성희 공역). 서울: 학지사(원전 2006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