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rogram for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on Teaching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10.29
  • Accepted : 2018.12.09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rogram for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on teaching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Methods: In the study, 12 day care teachers in 4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12 teachers in 5 day 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Teacher education is carried out through group education, such as understanding of developmental area, curriculum modification,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cooperative learning, direct teaching,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behavior support, family support. Individual teacher education provided counseling on the reality of child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reflects the needs of teachers for integrated child care for handicapped children. Teacher's Efficacy in Inclusive Practices (TEIP) was used as a pre post test to measure teacher's efficacy change.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two independent sample t tests were conducted on the difference between pre-post test of teacher 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ost change of teacher 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 support program provided immediate feedback in integrated child dayc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child care teachers improved their integrated handicapped children care expertise, provided responsive teacher support program to the actual needs of the site, teacher support program reflected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integration, and emphasize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 and child daycare center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ctual data of field where lack of support for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is lacking.

본 연구는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서울과 경기 지역 4개 어린이집 12명의 어린이집 교사가 실험 집단에 선정되었고, 5개 어린이집 12명의 교사가 통제 집단에 선정되었다. 교사 지원은 교사 교육과 현장 관찰 및 자문, 온라인 자문을 통해 실시되었다. 교사 교육은 집단 교육을 통해 발달 영역의 이해, 교육과정 수정, 활동중심삽입교수, 협동 학습, 직접 교수, 장애 이해 교육, 행동 지원, 가족 지원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개별 교육을 통해 각 교사들의 장애유아 통합보육의 요구를 반영한 장애유아 보육의 실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자문을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어린이집 당 10회씩 현장 관찰 및 자문을 실시하였고, 이메일과 핸드폰 자문을 통해 교사들의 수업을 지원 하였다. 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장애 통합에 대한 일반 교사의 교사 효능감 척도(Teachers' Efficacy in Inclusive Practices: TEIP)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을 위해 두 집단 간 교사 효능감의 사전-사후 검사 간 차에 대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결과 두 집단 간 교사 효능감과 하위 영역인 통합교육 효능감, 협력 효능감, 행동관리 효능감의 사전 사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장애 유아 통합보육 현장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어린이집 교사들의 통합보육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교사들의 실제적 요구에 반응적이고, 장애 유아 통합의 다양한 변인을 반영하고, 참여자들 간의 대등한 협력적 관계를 강조한 교사 지원을 제공한 점이 연구 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 유아 통합보육 지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장의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심(2013).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장애학생의 교수적 수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5(4), 39-56.
  2. 강현자, 홍순옥(2012). 보육시설 보육컨설팅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 만족도 및 요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309.
  3. 곽현주, 구수연, 한남주(2007).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지원 프로그램 개발. 아동과 권리, 11(3), 413-447.
  4. 교육인적자원부(2007a).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교육인적자원부(2007b).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서울:교육인적자원부.
  6. 김다애(2012).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공.사립유치원교사들의 인식비교.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령(2011). 유치원 통합학급 역할수행에 대한 일반학급 담임교사의 인식: 인천광역시 공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미정, 정계숙(2011). 장애유아 통합교육과 관련된 교사 요인 및 전문성지원환경과 통합교육 임파워먼트와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7, 19-42.
  9. 김병주, 이임숙, 민병조(2008). 컨설팅장학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초등교육연구, 21(1), 347-369.
  10. 김순남(2000). 유치원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따른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순자(2007).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안나(2014).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4(3), 153-175.
  13. 김영은, 조윤경(2007).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만족도 및 지원욕구 비교. 특수교육, 6(2), 67-85.
  14. 김영한, 서영(2013). 통합유치원 교사의 교직문화인식, 교수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2), 93-115.
  15. 김진희(2010)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서울, 경기지역 공립유치.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태영(2010).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실행 과정 속에서 생기는 사립유치원 교사의 고민과 해결 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현정, 홍혜경(2007). 유아교사 요구에 기초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연수프로그램이 교사 효능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167-193.
  18. 나윤미(2013).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남춘단(2007).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내러티브 탐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노진형(2008). 보육교사의 장애아 통합보육에 관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3), 49-66.
  21. 문영경, 최선녀(2015).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5(2), 1-20.
  22. 박민희(2016). 효율적인 유아통합교육 시행을 위한 사립유치원 일반교사의 행정지원에 관한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영옥(2014).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사 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박정란(2012). 만3세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조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지영(2006). 장애유아통합교육에서 유치원 일반학급 교사의 지원 요구 조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진영(2018). 완전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사립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실태 및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희주(2009).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가톨릭 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배성옥, 김경미, 이영숙(2013). 유치원 수업컨설팅 운영 실태 분석. 사고개발, 9(3), 63-86.
  29. 백지혜(2011).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과정 수정 노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보건복지부(2012).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서울: 보건복지부.
  31. 성태제, 시기자(2014). 연구방법론 2판. 서울: 학지사.
  32. 신성옥(2014). 공립유치원 컨설팅 장학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인천시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안상미(2002).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양진희(2011).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6(2), 311-342.
  35. 엄미애, 방명애(2011). 초등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학생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통합교육연구, 6(1), 137-161.
  36. 원종례(2009).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이 유아 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 및 교수 수행과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효과. 유아특수교육연구, 9(2), 95-115.
  37. 원종례, 엄수정(2007). 장애 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한 원장 및 교사들의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7(2), 47-81.
  38. 유강숙(2009). 유치원 통합학급의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유은연(2004). 장애유아의 통합에 있어서 효과적인 일반유아교사 지원 방법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재활복지, 8(1), 144-183.
  40. 유은연(2007). 장애 유아 통합 관련 교사교육이 일반 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교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윤향숙(2007). 통합 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전문능력에 관한 연구-유치원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경례, 문혁준 (2013).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 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3), 163-182.
  43. 이난희(2008). 유아 교육 기관의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실태 및 지원 요구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명희, 김지영, 이지연(2011). 장애 유아 통합 프로그램의 실제. 서울: 학지사.
  45. 이미정(2011). 장애아 통합보육시설 교사 임파워먼트와 통합보육프로그램 질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519-543.
  46. 이소현(2003). 유아특수교육. 서울: 학지사.
  47. 이소현, 김지영(2008). 통합어린이집 순회 자문 프로그램이 장애전담보육교사의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7(2), 103-118.
  48. 이소현, 부인앵(2004). 장애 유아의 유치원 통합교육 현황 및 프로그램 지원 욕구. 특수교육학연구, 39(1), 189-212.
  49. 이소현, 최윤희, 오세림(2007).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행요소: 국내연구에 나타난 요소들을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7(3), 1-27.
  50.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2011).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51. 이순자, 오숙현(2009). 보육시설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 및 교사의 지원요구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149-179.
  52. 이순주, 이효신(2015). 유치원 일반학급 순회교육 지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1), 197-220.
  53. 이승연(2007).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필요여건과 효과 및 적응과정. 유아교육학논집, 11(4). 103-133.
  54. 이은경(2008). 유아통합교육 방해요인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이정림, 강경숙, 김은영, 엄지원(2013). 장애영유아 통합보육.교육기관의 실태 및 관리자와 교사의 요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3(1), 201-234.
  56. 이현주(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57. 임송희(2008). 사립유치원에서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원장과 교사의 지원 요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장진희, 김성애(2013).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원장.장학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3(4), 27-52.
  59. 전은영(2015).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교사들의 학급운영 실태 및 지원 요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정명숙, 김은정, 조준오(2014). 유아교사의 유치원컨설팅에 대한 의지, 운영방법, 활용방안 인식. 한국영유아보육학, 84, 209-234.
  61. 정현화, 정은희(2007). 유치원 통합교육 실태 및 지원요구 조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4), 581-614.
  62. 조윤경, 김수진(2009). 장애아보육지원센터 순회자문 역할 수행에 대한 통합보육시설장과 장애전담교사의 만족도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9(3), 41-59.
  63. 조윤경, 이소현(2002). 장애유아의 사회성 촉진을 위한 중재가 통합학급 유아들의 장애유아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2(2), 173-194.
  64. 조은아(2003).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정도 분석: 교사 배경변인별 차이와 상관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조현정, 이병인(2015).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보육컨설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2), 215-240.
  66. 조현정, 이병인(2017).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보육컨설팅 효율화 방안 연구-보육교직원의 인식 및 요구를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17(4) 187-216.
  67. 최명순(2008).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유치원 교사와 일반유아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최애경(2011). 통합교육 컨설테이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305-331.
  69. 최애경, 강영심(2010). 유아교육기관을 위한 통합교육 컨설테이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123-153.
  70. 최한옥(2008). 장애유아 완전통합학급 교사들의 내러티브 탐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한국보육진흥원(2017). 보육통계.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72. 허계형(2008).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신념, 실제, 지원 요구도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8(3), 1-20.
  73. 홍은숙, 박경옥(2011).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 영.유아 지원현황 및 역할 중요도에 대한 전담교사의 인식과 효율적 지원방안. 유아특수교육연구, 11(2), 87-114.
  74. 황해익, 조준오, 김병만(2012a). 보육교사의 보육컨설팅에 대한 인식, 요구도 및 활성화방안. 교육혁신연구, 22(1), 47-66.
  75. 황해익, 조준오, 김병만(2012b). 보육컨설턴트의 역할과 자질 및 보육컨설팅 요구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회지, 16(3), 187-208.
  76. Andrews, J. E., Carnine, D. W., Coutinho, M. J., Edgar, E. B., Forness, S. R., Fuchs, L. S. Jordan, D., Kauffman, J. M., Patton, J. M., Paul, J., Rosell, J., Rueda, R., Schiller, E., Skrtic, T. M., & Wong, J. (2000). Briding the special education divide.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1(5), 258-267. https://doi.org/10.1177/074193250002100501
  77.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78. Bailey, D. B., & Wolery, M. (2003).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교육(이소현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원저 출판연도 1992).
  79. Brennan, E. M., Bradley, J. R., Allen, M. D., & Perry, D. F. (2008). The evidence base for mental health consult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Research synthesis addressing staff and program outcome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9(6), 982-1022. https://doi.org/10.1080/10409280801975834
  80. Brownell, M. T., & Pajiares, F. M. (1996). The influence of teachers' efficacy beliefs on perceived succession mainstreaming students with learning and behavior problem: A path analysi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09661).
  81. Buell, M. J., Hallam, R., Gamel-McCormick, M., & Scheer, S. (1999). A survey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inservice needs concerning inclu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46(2), 143-156. https://doi.org/10.1080/103491299100597
  82. Buysse, V., Schulte, A. C., Pierce, P. P., & Terry, D. (1994). Models and stlyles of consultation: Preference of professionals in early intervent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8(3), 302-310. https://doi.org/10.1177/105381519401800305
  83. Buysse, V., & Wesley, P. W. (2001). Models of collaboration for early intervention: Laying the groundwork. In P. Blasco (Ed.). Early intervention services for infants, toddlers, and their families. Boston: Allyn & Bacon.
  84. Buysse, V., & Wesley, P. (2005). Consult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Baltimore, MD: Paul H. Brookes.
  85. Campbell. P. H. (2009). Participation-based services: promoti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natural setting. Young Exceptional Children, 8(1). 20-29. https://doi.org/10.1177/109625060400800103
  86. Coladarci, T., & Breton, W. A. (1997). Teacher efficacy, supervsion, and special education resource-room teacher.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0(4), 230-239. https://doi.org/10.1080/00220671.1997.10544577
  87. Conners-Burrow, N., McKelvey, L., Sockwell, L., Ehrentraut, J. H., Adams, S., & Whiteside-Mansell, L. (2013). Beginning to "unpack" early childhood mental health consultation: Types of consultation services and their impact on teacher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34(4), 280-289. https://doi.org/10.1002/imhj.21387
  88. DeVore, S., & Russell, K. (2007).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acilitating iInclusive pract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5(2), 189-198. https://doi.org/10.1007/s10643-006-0145-4
  89. Dinnebeil, L. A., McInerney, W., & Hale, L. (2006). Understanding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itinerant ECSE teachers through Delphi research.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6(3), 153-166. https://doi.org/10.1177/02711214060260030301
  90. File, N., & Konots, S. (1992). Indirect service deliverly through consultation: Review and implc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6(3), 221-233.
  91.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173-184. https://doi.org/10.1086/461441
  92. Green, B. L., Everhart, M. C., Gordon, L., & Gettman, M. G. (2006).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mental health consult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Multi-level analysis of a national survey.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6(3), 142-152. https://doi.org/10.1177/02711214060260030201
  93. Hegarty, S. (1994). Keys to integration. In C. Meijer, S. J. Pijl, & S. Hegarty (Eds.), New perspectives in special education: A six-country study of integration (pp. 79-94). NY: Routledge.
  94. Hundert, J. P. (2007). Training Classroom and Resource Preschool Teachers to Develop Inclusive Class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9(3), 159-173. https://doi.org/10.1177/10983007070090030401
  95. Hwang, Y. S., & Evans, D. (2011). Attitudes towards Inclusion: Gaps between belief and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6(1), 136-146.
  96. Klein, L., & Knitzer, J. (2006). Pathways to early school success: Effective preschool curricula and teaching strategies (Issue brief no. 2).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National Center for Children in Poverty.
  97. Nancy, M. J., Bonnie, J. H., & Susan, M. A. (2009). (영.유아) 캐롤라이나 교육과정: 3-6세(한경근 역) 서울: 핑키밍키: 굿에듀북.
  98. Ottley, J. R., Cooglle, C. G., Rahn, N. L., & Spear, C. F. (2017). Impact of bug-in-ear professional development on early childhood co-teacher us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36(4), 218-229. https://doi.org/10.1177/0271121416631123
  99. Peltier, G. L. (1997). The effect of Inclusion on non-disabled children: A Review of the Research. Contemporary Education, 68(4), 234-238.
  100. Purcell, M. L., Horn, E., & Palmer, S. (2007). A qualitive study of the initiation and cotinuation of preschool inclsion programs. Exceptional Children, 74(1), 85-99. https://doi.org/10.1177/001440290707400105
  101. Reynolds, M. (2001). Education for inclusion, teacher education and the teacher training agency standards. Journal of In-service Education, 27(3), 465-476. https://doi.org/10.1080/13674580100200188
  102. Sachs, J. (1988). Teacher preparation, teacher self-efficacy and the regular education initiative.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23(4), 327-332.
  103. Sachs, J. (1990). The self-efficacy interaction between regular educators and special education students: A model for understanding the mainstreaming dilemma.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13, 235-239. https://doi.org/10.1177/088840649001300321
  104. Sandall, S., & Schwartz, I. (2008). Building blocks for teaching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2nd ed.). Baltimore, MD: Paul H. Brookes.
  105. Sharma, U., Loreman, T., & Forlin, C. (2012). Measuring teacher efficacy to implement inclusive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al Needs, 12(1), 12-21. https://doi.org/10.1111/j.1471-3802.2011.01200.x
  106. Tschannen-Moran, M., Hoy, A. W., & Hoy, W. K. (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https://doi.org/10.3102/00346543068002202
  107. Weiner, H. M. (2003). Effective inclusion: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the classroom.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5(6), 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