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Concept Knowledge on Inclusion Education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교사의 개념지식

  • Kim, Jeong Mi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 Lim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8.10.30
  • Accepted : 2018.12.10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concept knowledge on inclusion education and to compare concept knowledge by teacher types (general teachers with experience of inclusion, general teachers without experience of inclusion, and special teachers). Methods: The subjects, sixt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 were asked to draw concept maps illustrating their understanding of inclus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concept map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s utilized by Novak and Gowin (1984) as well as You and Kim (2018).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209 superordinate concepts were shown,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13 representative superordinate concepts. Second, 1,585 subordinate concepts were shown. Among them, partial inclusion, complete inclusion, and teacher cooperation were frequently used. Third, contents of concept knowledge on inclusion education varied by teacher types. Conclusion/Implications: Discussions were included to support and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on inclus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개념도를 통해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개념지식을 알아보고, 교사유형(통합교육무경력 일반유아교사, 통합교육유경력 일반유아교사, 유아특수교사)에 따른 차이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립유치원 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개념도 작성을 실시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총 209개의 상위개념이 나타났으며 유사한 내용으로 범주화한 결과 13개의 대표용어(교육과정, 장애유아이해, 통합유형, 통합개념, 통합주체, 교수전략, 사회적상호작용 지원, 가정 및 지역사회 연계, 개별화교육 지원, 교사협력, 교육환경, 행정 지원, 시설 지원)가 나타났다. 둘째, 총 1,585개의 종속개념이 나타났으며, 부분통합, 완전통합, 협력교수가 상위 빈도를 보였다. 셋째, 교사 유형에 따라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개념도를 고찰한 결과 상위개념 및 종속개념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논의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숙(2007). 장애학생의 질적 통합을 위한 관련변인 고찰. 한국교육, 34(1), 119-158.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3. 김경숙(2006).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들의 개별화 교수목표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6(2), 109-128.
  4. 김경화, 김경희, 이미정(2009). Current statu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integrated daycare for disabled children. 한국보육학회지, 9(2), 85-104.
  5. 김민석(2010). 장애유아통합교육 실태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성현, 이승주(2018).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 교사의 장애이해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2), 231-246.
  7. 노은호, 박인숙, 손상국(2003).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과 상호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3(1), 167-190.
  8. 박승희(2002).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일반학교의 학교수준 교육과정계획 모형. 특수교육학연구, 37(1), 199-235.
  9. 박은혜(2002).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유아교사의 지식. 서울: 창지사.
  10. 송연숙, 황해익(2004).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지식의 변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87-105.
  11. 안수현, 김상림(2018).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지식체계 고찰: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8(3), 91-104.
  12. 원영미, 전지혜(2018).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1), 169-192.
  13. 유진선, 김상림(2018). 유아창의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27(3), 179-190. https://doi.org/10.5934/kjhe.2018.27.3.179
  14. 이소현(2007). 유치원 통합교육을 위한 개별화 교육과정의 개발 및 실행 방안 고찰. 유아특수교육연구, 7(2), 111-135.
  15. 이소현, 박은혜(2005). 장애유아 통합유치원 교육과정: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활동 중심의 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16. 이소현, 최윤희, 오세림(2007).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행요소: 국내 연구에 나타난 요소들을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7(3), 1-27.
  17. 이순자, 오숙현(2009). 보육시설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 및 교사의 지원 요구 조사: J도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149-179.
  18. 인천광역시교육청(2017). 유치원 통합교육 가이드북 개발 연구.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교육청.
  19. 조현근, 이병인(2017). 유아통합교육의 연구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2007-2016년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8(3), 271-296.
  20. 최미화(2011). 종일제 프로그램에서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행 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1(4), 143-165.
  21. Novak, J. D.,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