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연료가스 매몰배관용 과류차단밸브와 성능시험 장치 개발

Excess Flow Valves for Underground Gas Pipeline and their Performance Testing Equipment Development

  • 이우귀연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 주유경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 이진한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Lee, Ugwiyeon (Institute of Gas Safety R&D,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
  • Joo, Yukyung (Institute of Gas Safety R&D,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
  • Lee, Jinhan (Institute of Gas Safety R&D,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 투고 : 2018.01.11
  • 심사 : 2018.08.24
  • 발행 : 2018.08.31

초록

도시가스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 낮은 가격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20114년부터 LP가스 배관망사업을 추진하였다. LP가스 배관망은 일반 도시가스 배관망과는 다르게 준저압(25kPa~75kPa)로 운용되고 있다. 이는 도시가스의 운용압력보다 최소 10배에서 최대 40배 높은 압력이므로, 타공사 등에 의한 배관파손 시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은 2018년 매몰배관용 과류차단밸브와 이를 시험할 수 있는 성능시험 평가 장치를 개발 완료 하였다. 과류차단밸브는 배관 내 과류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가스공급을 순간적으로 차단한다. 과류차단밸브는 일반적으로 주 배관이 아닌 분기배관 최 전단에 설치되며, 분기배관과 연결된 세대나 시설의 최대 가스사용량에 따라 과류차단밸브가 차단되는 기준점인 Trip Flow가 결정된다. Trip Flow는 과류차단밸브 설치의 핵심 기준이며, 이를 시험하기 위한 성능시험 설비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ceeded petroleum gas pipeline construction business since 2014 for rural districts. The operating pressure of petroleum gas pipeline are from 25kPa to 75kPa which are different from that of natural gas pipeline. Petroleum gas pipeline pressure is ten or forty times higher than natural gas operating pressure. For this reason, petroleum gas pipeline has higher probability of accident occurrence from massive gas leakage.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begins to development excess flow valves and their performance testing equipment since 2017. The excess flow valves stop the gas flow when a overflow happened in gas pipeline. The excess flow valves are generally not installed in main pipeline, because that may block massive gas supply. So, the valves are installed in starting points of branch pip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 and amount of gas use, a shut-off point of exxcess flow valve is determined called as Trip Flow. The trip poin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of excess flow valve, so, it is required a equipment testing the performances of excess flow valve as trip point.

키워드

참고문헌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LPG산업협회, 소형 LPG 저장탱크 보급사업 추진계획, (2013)
  2. 산업통상자원부, 마을단위 LPG 배관망 지원사업 운영지침, (2016)
  3.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7-117호, 액화석유가스 배관망공급에 대한 안전관리 및 운영기준, (2017)
  4.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AICHE), Guidelines for Consequence Analysis of Chemical Releases, CCPS, (1999)
  5. The Code of Federal Regula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49 parts 100 to 177, Chapter I-Research and Special Programs Administration, 173.33, (1984)
  6. Code of Federal Regulation(CFR), Title 49, Transportation, PT. 178-199, Revised as of October 1, (2011)
  7. Institution of Chemical Engineer, Hazard XV: The Process, Its Safety and the Environmentgetting it right, (2000)
  8. 산업통상자원부 가스산업과 2016년 3월 16일 (화) 보도자료, 2016년도 LPG저장탱크 및 배관망 지원 사업 추진 방향, (2016)
  9. Pipelife社, Product Catalog 2016 - Enhanced Safety for Gas Supply Networks, (2016)
  10. 한국가스안전공사, 액화석유가스 배관망공급 사업 배관 기술 검토서(비공개), (2017)
  11. DVGW Regelwerk, DVGW G 5305-2 (P) : Gasstromungswachter fur Hausanschlussleitungen, Oktober, (2013)
  12. 한국가스안전공사, KGS AA009 2017 Code - 가스누출 확인 퓨즈콕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2017).12.14
  13. 한국가스안전공사, LPG 충전.저장.집단공급.판매시설 검사업무 처리지침, (2002)
  14. ASTM F2138-12, Standard Specification for Excess Flow Valves for Natural Gas Service, (2012)
  15. Gary Glenn, Excess Flow Valve Rule Update 2017, Kansas Pipeline Safety Seminar, October 24th, (2017)
  16. ASTM F1802-15, Standard Test Method for Performance Testing of Excess Flow Valaves, (2015)

피인용 문헌

  1. 방탄시험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시료거치 시스템 개발 vol.22, pp.1, 2021, https://doi.org/10.5762/kais.2021.22.1.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