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n Elderly's Living Arrangement in Rural Area

농촌지역 노인가구의 특성 및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8.10.10
  • Accepted : 2018.11.19
  • Published : 2018.11.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elderly households in rural area. The elderly were classified as elderly living alone, elderly couple living together, and elderly living with their children. Data from the survey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ducted in 1998, 2008, 2017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a sample of 9,401 respondents who represent aged 65 or more in Korea. The result of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over the past 20 years,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the sexes of elderly in rural area, and aging is becoming more serious. Second, elderly living with children continue to decrease, and elderly couple are increasing.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is on the increase, but it tends to decrease in 2017. Third, the proportion of houses in elderly households is still very high, but it is gradually de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apartments is increasing. Fourth,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ended to increase slightly in all household types, while the frequency of encounter decreased slightly in 2008 and then increased in 2017. Fifth, the health status and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have been gradually improved over the past 20 years. Finally, the emotional support in all elderly households is maintained constantly, but the instrumental support is gradually weakened.

Keywords

References

  1. 권중돈.조주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2000
  2. 김도연.김현철.진정, 농촌지역 노인가구 구성원의 주거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4(3), 2012
  3. 김영희.김기순,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17(1), 2002
  4.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비교-, 노인복지연구, 47, 2010
  5. 박영란.박경숙,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복지, 노인복지연구, 60, 2013
  6. 박영례 외 4인, 노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9(1), 2005
  7. 손용진,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어촌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자녀 관계망 및 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GRI연구논총, 12(3), 2010
  8. 안경숙, 노인부부가구, 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1), 2005
  9. 윤순덕.박은식.김은자.조영숙, 농촌노인의 특성별 생활실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연구, 13(1), 2004
  10. 윤정애 외 5인,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의 비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8(2), 2016
  11. 이진희.김욱, 노인교육 참여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8(4), 2008
  12. 임정기,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8, 2013
  13. 장수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전후기노인 및 성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1), 2010
  14. 정규형, 노인의 비동거자녀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도시.농촌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55, 2017
  15. 최경희.조덕호, 도.농노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을 통한 지역별 노인복지정책 우선순위 결정, 도시행정학보, 26(3), 2013
  16. 통계청,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 http://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