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Indoor and Outdoor in Rural Community Centers

농촌 마을회관의 실내외 공간구성 현황에 관한 연구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조한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유아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박미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8.10.10
  • Accepted : 2018.11.22
  • Published : 2018.11.25

Abstract

In order to improve the housing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rural elder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present the status of community centers, most widely used by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ype and space elements of community centers were derived and selected three target area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literature analysis, the space type of rural community centers were classified as indoor space and outdoor space. The indoor space types were classified as entry space, public space, sanitary space and the outdoor space were classified as entry space and leisure space. Some community centers were surveyed in Seocheon-gun, Wanju-gun, and Cheongju-city. Results indicate the indoor and outdoor space design and elements were undergoing a lot of inconvenience partly because standard design was considered and the space was not planned for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of the rural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building healthier and more friendly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can enhance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Keywords

References

  1. 송미령.박시현, 농촌 공동시설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
  2. 이범수.김은정, 건강도시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요소 연구 -도시환경요소가 비만에 미친 영향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9
  3. 고진영, 농촌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마을회관의 활용방안 연구 -화천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강병필, 농촌마을 공동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강선호, 저층 노후주거지의 건강친화적 주거환경 정비전략 -서대문구 홍제동 개미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 강혜진.박영기, 노인 복지시설의 이용 행태 및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노인정 공용 거실 활용화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발전학회 논문집, 32(2), 2007
  7. 곽윤진.권오정, APT 단지 내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계획방향 제안,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 2009
  8. 김부영, 공동주택단지 경로당의 이용실태 분석 및 계획방향 제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9. 김선영.오찬옥, 아파트 경로당의 공간구성 특성과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2(3), 2013
  10. 김영주, 노인 질환과 주거환경, 대한건축학회 건축, 59(2), 2015
  11. 김혜란, 노인단독세대를 위한 공동주택 단위평면의 요소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2. 남윤철, 농촌지역 '독거노인 공동생활'의 사례와 개선방향,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14(2), 2012
  13. 문인영.김미희, 농촌마을회관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전남 화순군 25개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1), 2014
  14. 문정인, 경로당시설의 공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기초조형학회지, 15(6), 2014
  15. 박창선, 커뮤니티센터로서 농촌 마을회관의 복합화에 따른 이용실태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17(6), 2008
  16. 안치훈, 노인여가복지시설의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경로당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7. 오찬옥.최병숙.박선희.김주석, 농촌노인의 복지향상을 위한 마을회관의 공간활용방안(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9(4), 2008
  18. 우종범, 수도권 농촌마을의 공동시설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파주시 농촌마을회관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9. 이병훈.김동원.박혜진.윤영석, 농촌지역 마을회관 이용 활용도와 만족도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논문집, 18(4), 2012
  20. 이신애, 농촌계획에서의 커뮤니티 공간의 개선방안-경기도 농촌마을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1. 이윤재, 건강주택 실현을 위한 공동주택 거주자의 환기행태 및 환기기기 관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1(5), 2010
  22. 이을규, 마을회관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13
  23. 이재용, 여가공간으로서의 충주기 경로당의 이용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4. 이해욱, 경로당 시설개선을 위한 공간 재구성 연구 -대전광역시 소재 경로당 리모델링을 통하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9(6), 2010
  25. 전동진, 경로당 기능 활성화를 위한 경로당 이용실태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6. 최병숙.박선희.오찬옥.홍찬선.임상봉, 농촌 마을회관의 노인 복지서비스 공간으로의 활용 방안 -평면과 이용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8(2), 2006
  27. 한상엽, 농촌 마을회관 외부공간 설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8. 홍미혜, 농촌마을 공동쉼터의 공간.시설 유형과 경관형성상의 특성,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9. 김미소, 마을회관이 웰빙센터로 탈바꿈, AVING 뉴스, 2005.10.12., http://kr.aving.net/news
  30. 통계청, 농가 및 농가인구, e-나라지표, 2018.05.09., http://www.index.go.kr
  31. 통계청, 2018 고령자통계, e-나라지표, 2018.09.27., http://www.index.go.kr

Cited by

  1. 농촌 마을회관 이용자의 건강성 지향에 관한 연구 vol.21, pp.1, 2018, https://doi.org/10.14577/kirua.2019.21.1.25
  2. UAS, CRP 및 지상 LiDAR 융합기반 와형석조여래불의 3차원 재현과 고증 연구 vol.51, pp.1, 2018, https://doi.org/10.22640/lxsiri.2021.51.1.111
  3. A Case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Facility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he Complex Cultural Center of Rural Downtown Revitalization Project in vol.32, pp.4, 2021, https://doi.org/10.6107/jkha.2021.32.4.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