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habitant-friendly Improving a Village Environment in Rural Disaster Villages

농촌재난마을 주민친화형 마을환경개선 콘텐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박로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승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박미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전정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8.10.12
  • Accepted : 2018.11.19
  • Published : 2018.11.25

Abstract

Disasters that occur most frequently in rural areas are drought, flood, damages from wind and cold weather. In order to overcome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various projects related to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However, Government-centered disaster recovery operating system showed difficulties to utilize the natural scenery and ecological environment of rural villages. So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a more effective disaster recovery direction by suggesting the application method, Inhabitant-friendly improving a village environment contents in Rural Disaster Villages, for continuous disaster management. Th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 analysis, interviews, and expert discuss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ural disaster village environmental improvement facilities, inhabitant-friendly recovery system, and inhabitant-friendly village environment contents and suggests a application method of inhabitant-friendly village environment contents. The resear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when preparing a guide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for residents in rural villages.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대학교, 방재마을 구축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0
  2. 강원발전연구원, 강원도 농촌 지역 주민자치 활성화 방안, 2014
  3. 강원연구원, 강원도 주요 재난유형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 2017
  4. 강창민.정원희.양기근, 제주특별자치도 주민자치센터의 평가와 정책과제, 경인행정학회지, 10(1), 2010
  5. 국립농업과학원a, 농촌마을 주요시설 리모델링 사례집, 2013
  6. 국립농업과학원b, 농촌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 2013
  7. 국립농업과학원a, 농촌마을 주요시설 리모델링 사례집, 2013
  8. 국립농업과학원b, 농촌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 2013
  9. 국립농업과학원.서천군, 농촌마을 리모델링 및 경관디자인현장 워크숍, 2013
  10. 국립농업과학원a, 농촌지역 맞춤형 재난 대피 기반 기술 개발, 국립농업과학원, 2015
  11. 국립농업과학원b, 농촌지역 재난마을의 리모델링 요소 분석 및 항목체계 개발, 국립농업과학원, 2015
  12. 국립농업과학원, 주민참여형 농촌지역 재난 복구 기술 개발, 2017
  13. 국민안전처, 2017년 2017년 응급복구 수립 지침, 2017
  14. 권건주.한기원.백민호, 지역방재력 향상을 위한 방재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9(5), 2009
  15. 권정미.박태영, 도농지역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경상북도 의성군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1(51), 2014
  16. 김경남a, 재난관리에 있어서 주민조직의 활성화 방안, 2007
  17. 김경남b, 수해 농산촌 복구 모델 개발 연구 : 강원도 인제군 가리산리를 대상으로, 2007
  18. 김명수, 주민참여와 공공성 회복의 관점에서 본 '주민참여예산제'와 '마을만들기', 한국사회학회논문집, 6(1), 2016
  19. 김병철, 부산시 주민참여형 소공원 조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0. 김양현, 마을경관 개선사업에서 나타나는 주민참여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1. 김찬동, 주민자치의 제도설계 -일본의 주민자치회와 주민자치센터를 사례로-, 한국지방자치학회 논문집, 26(1), 2014
  22. 농림부, 환경친화적 농촌마을 정비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2000
  23. 문경주.김수영.장수지, 다층분석에 의한 지역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역사회학회논문집, 23(1), 2015
  24. 박세훈.천현숙.전성제, 마을만들기 참여 거버넌스의 비교분석: 제도주의적 접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3), 2009
  25. 박인권,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향: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4), 2012
  26. 백민호.이지향, 방재마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0(3), 2010
  27. 소방방재청, 방재시범마을 조성을 위한 연구, 2008
  28. 서울연구원, 주민참여형 안전마을 만들기, 2013
  29. 신영선, 농촌마을 주민 공동체의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0. 심익섭, [마을(공동체)활성화 사업에 대한 바람직한 역할] 상향식 패러다임으로 전환 이끌어야 한다 -정부사업으로 주민자치 추진한다는 생각 버려야_법제화나 행.재정적 지원시스템 구축에 노력해야, 주민자치, 27, 2014
  31. 양덕순.강영순,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지, 20(1), 2008
  32. 이지향, 지역방재력 향상을 위한 방재마을 구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3. 임창수.오윤경.이승철.김은자.최진아, 풍수해에 의한 농촌지역 피해시설 현황 분석, 농촌계획학회논문집, 22(2), 2016
  34. 오혜지.이태구, 시설과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한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방안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12(3), 2016
  35. 울산광역시, 울산 북구 주민참여정책 추진성과 분석 및 제도화 방안, 학술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2013
  36. 이은지.최현선, 도시 커뮤니티 형성 과정의 탐색: 서울시 서대문구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2015
  37. 장준호.서수빈, 주민 참여형 마을만들기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수원시 행궁동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38(2), 2013
  38. 전대욱, 주민자치회 실행모델 제안에 관한 의견, 주민자치, 64, 2017
  39. 전지훈, 지역의 공동체활동과 문화 및 지역발전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지, 27(1), 2015
  40. 정선기.송두범.임현정, 마을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 관계 분석 -대전광역시 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학회논문집, 23(4), 2015
  41. 홍영주, 주민참여형 주거재생사업의 추진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성북구 장수마을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