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in the MND USFK Base Relocation Office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단의 기록관리기준표 개선방안

  • Received : 2019.01.13
  • Accepted : 2019.02.18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relocation project of the US military base in South Korea is a large-scale national project aimed at ensuring a stable presence of US troops stationed in South Korea and strengthening the future-oriented Korea-US Alliance by relocating the US military base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to Pyeongtae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of records produced by various agencies involved in the relocation project, including the MND USFK Base Relocation Office that is the main body of the project, and provide basic data for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ensure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transmission of the military documentary heritage at a macro level.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은 전국에 산재해 있는 미군기지를 평택을 중심으로 재배치함으로써 전 국토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주한미군의 안정적인 주둔여건을 보장함은 물론 미래 지향적 한 미동맹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업 주체인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단을 비롯하여 이전사업에 참여한 여러 기관으로부터 생산된 기록의 분류 현황을 기록관리기준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향후 체계적인 기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국방 기록유산의 공유 및 전승이라는 거시적 수준에서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다.

Keywords

HKGRBG_2019_v19n1_9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주한미군 기지 이전 재배치 계획1)

HKGRBG_2019_v19n1_9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단 조직도3)

HKGRBG_2019_v19n1_95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주한미군기지 현황 및 향후 활용방안4)

<표 1>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 경과2)

HKGRBG_2019_v19n1_95_t0001.png 이미지

<표 2> 국방부(이전사업단)의 이전사업 관련 단위과제

HKGRBG_2019_v19n1_95_t0002.png 이미지

<표 3> 외교부의 이전사업 관련 단위과제

HKGRBG_2019_v19n1_95_t0003.png 이미지

<표 4> 환경부의 이전사업 관련 단위과제

HKGRBG_2019_v19n1_95_t0004.png 이미지

<표 5> 의정부시의 이전사업 관련 단위과제

HKGRBG_2019_v19n1_95_t0005.png 이미지

<표 6> 평택시의 이전사업 관련 단위과제

HKGRBG_2019_v19n1_95_t0006.png 이미지

<표 7> 이전사업단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 책정 개선안

HKGRBG_2019_v19n1_95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Kim, Ki Soo (2015). A Study on the USFK Base Relocation. Military Forum, 82, 243-251.
  2. Park, Jeong-Ok & Lee, Myoung-Gyu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lassification table of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archives. Journal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13(2), 5-42.
  3. Bae, Sung Jung, Oh, Hyo-Jung, Jang, Jun Kab, & Kim, Yong (2016). A Study on the Analysis and Current State of the Records Disposition Schedule in College of Education: Focused on J College of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1), 187-216.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6.27.1.187
  4. Sun, Yeo-Wool & Kim, Po-Ok (2009). A Study of Managing System and Plans on the School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73-85.
  5. Lee, Hui-Jun & Chung, Yeon-Kyoung (2016). A Study on Improving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s for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1), 5-2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1.005
  6. Jeon, Sang-Sik & Kim, Jeong-Hyen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Units and Conservation's Period in Records Management Criteria: Focused on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Assets' of the Large Function in 6 Metropolitan Cities.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 8(2), 39-69.
  7. Chung, Sang-Hee (2016). A Study on Management of Business Transaction in Regional Local Govern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9, 327-359.
  8. Choi, Yoon Jung & Nam Tae Woo (2012). A Study on the Relevance of Retention Period for School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117-142.
  9. 강찬수 (2018. 12. 20). 미군기지 절반 넘는 24곳 주변에서 토양, 지하수 오염 확인. 검색일자: 2018. 12. 21.
  10. 류지영 (2017. 10. 26). 미군기지 주변 '주민 맞춤형 개발'로 대전환. 서울신문. 검색일자: 2018. 12. 15.
  11. 맹수열 (2017. 7. 12). 부대통합.증원전력 신속 집결...전투준비태세 강화. 국방일보. 검색일자: 2018. 12. 14.
  12. 윤상호 (2017. 7 12). 유사시 美 증원전력 전개 신속해져. 동아일보. 검색일자: 2018. 12. 14.
  13. 평택대학교 주한미군연구센터 (2007). 미군 주둔 지역주민의 인식 비교 및 정책적 함의. 평택: 평택대학교.
  14. 한국국방연구원 (2014).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의 경제적 효과분석.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5. 국방부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단. 검색일자: 2018. 12. 14. http://muro.mnd.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