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차별경험이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참여에 미치는 영향: 기회평등과 노력성취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중심으로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Volunteering among the Second Baby Boom Generation -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Equal Opportunity and Achievement by Personal Merit

  • 윤예인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현민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욱진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8.11.27
  • 심사 : 2018.12.21
  • 발행 : 2019.01.28

초록

이 연구에서는 차별경험과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발적 시민참여활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2차 베이비붐 세대가 겪는 차별경험이 기회평등과 노력성취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매개로 자원봉사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점검하였다. 분석자료는 동그라미 재단의 "2016년 한국사회 기회불평등에 대한 조사"에서 확보하였다. 분석대상은 설문조사 당시 만 42세부터 만 48세였던 2차 베이비부머 474명으로 제한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차별경험은 기회평등과 노력성취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매개로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참여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활동을 진흥할 수 있는 정책방안들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volunteering activities among the $2^{nd}$ baby boom generation. Specificall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examined how the effect of experienced discrimination on volunteering among the $2^{nd}$ baby boom generation is mediated by the negative perception of equal opportunity and achievement by personal merit.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16 National Survey on Unequal Opportunity from the Circle Foundation. The research sample was comprised of 474 baby boomers ages 42 to 48 at the time of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discrimination affects the level of volunteering among the $2^{nd}$ baby boom generation, through the negative perception of equal opportunity and achievement by personal merit. Based on the findings, we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that could promote volunteering activities among the $2^{nd}$ baby boom generation.

키워드

CCTHCV_2019_v19n1_20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1_20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인과모형

표 1. 연구가설

CCTHCV_2019_v19n1_205_t0001.png 이미지

표 2.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205_t0002.png 이미지

표 3. 요인의 기술통계 및 정규성 검증 결과

CCTHCV_2019_v19n1_205_t0003.png 이미지

표 4.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205_t0004.png 이미지

표 5. 잠재변수의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205_t0005.png 이미지

표 6. 기술분석 및 상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205_t0006.png 이미지

표 7. 구조모형 및 가설 검증 결과

CCTHCV_2019_v19n1_205_t0007.png 이미지

표 8. 효과분해 및 매개효과 검증 결과

CCTHCV_2019_v19n1_205_t0008.png 이미지

참고문헌

  1. 한준, "한국의 사회이동: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학회 60주년 기념 논문집, pp.41-62, 2017.
  2. 주성수, "한국 시민사회지표 2008-2010," 시민사회와 NGO, 제8권, 제1호, pp.5-24, 2010.
  3. 김경동, 자발적 복지사회, 아르케, 2012.
  4. 이강현, 자원봉사의 길, 아르케, 2013.
  5. 박현정, 이진실, 이용석, "자발적 봉사활동 참여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제33권, 제2호, pp.235-257, 2015.
  6. 김정순,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법제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2.
  7. 주성수, 나눔문화: 기부, 자원봉사, 이웃돕기, 시민참여,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6.
  8. 김욱진, 임동권, 이성규,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51권, pp.25-49, 2014.
  9. 한지영, "차별금지법 제정을 둘러싼 쟁점의 비판적 검토," 이화젠더법학, 제3권, 제1호, pp.89-122, 2011.
  10. 천희란, 김일호, "노인차별과 정신건강,"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9권, 제5호, pp.2741-2754, 2017.
  11. 성정현,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한국가족복지학, 제53권, pp.79-115, 2016.
  12. 류한수,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345-35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345
  13. 윤인진, 김춘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국민인식 및 차별실태조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014.
  14. 최인희, 중장년 및 노년기 남성의 가족생활 현황과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15. 박서영, 최희정,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과 삶의 만족도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66-67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666
  16. 방하남, "베이비붐 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월간노동리뷰, 2월호, pp.5-9, 2011.
  17. 박시내, 심규호, 베이비붐 세대의 현황 및 은퇴효과 분석, 통계개발원, 2010.
  18. 변진숙, 권찬호, "2차 베이비부머여성의 사회적 노후준비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0권, 제4호, pp.173-199, 2016.
  19. 최은영, 1, 2차 베이이붐 세대의 은퇴 준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0. 박해식, 임진, 베이비붐세대의 고용, 소득, 자산구조와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2013.
  21. 김유빈, "청년고용의 현황 및 대응방안," 월간 노동리뷰, 3월호, pp.9-22, 2017.
  22. 김정은, 구혜경, "X세대 기혼여성소비자의 생애사적 관점에서의 소비생활 탐색," 소비문화연구, 제20권, 제4호, pp.19-49, 2017. https://doi.org/10.17053/JCC.2017.20.4.002
  23. 김우성, 허은정,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제10권, 제4호, pp.31-53, 2007.
  24. 이은희, 김경자, 이성림, 유현정, 차경욱, 이영애, 이준영,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비교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197-227, 2015. https://doi.org/10.15790/cope.2015.11.2.197
  25. 이현정, "1, 2차 베이비부머 및 에코부모의 세대간 주택자산효과 차이 비교," 도시행정학보, 제29권, 제2호, pp.105-130, 2016.
  26. 송기영, 김욱진,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444-460,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444
  27. 김욱진, 자원봉사, 청목출판사, 2015.
  28. UNV, State of World's Volunteerism Report, United Nations: Volunteers, 2011.
  29. 주성수, 정희선, 윤영미, 자원봉사활동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사)한국자원봉사문화.행정안전부, 2018.
  30. R. Dawkins, The Selfish Gene,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31. G. Sechrist and C. Stangor, "Prejudice as Social Norms," In Social Psychology of Prejudice, Edited by C. Crandall and M. Schaller. Lewinian Press, pp.167-187, 2005.
  32. J. Greenberg and T. Pyszczynski, "The Effects of an Overheard Ethnic Slur on Evaluations of the Targe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1, pp.61-72, 1985. https://doi.org/10.1016/0022-1031(85)90006-X
  33. I. Katz and R. Hass, "Racial Ambivalence and American Value Confli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5, pp.893-905, 1988. https://doi.org/10.1037/0022-3514.55.6.893
  34. 남혜경, 김영순, "한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초국적 공동체 활동에 나타난 임파워먼트의 의미," 교육문화연구, 제23권, 제6호, pp.799-817, 2017.
  35. 신광영, "한국의 불평등과 기회 불평등: 중장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125-141, 2016.
  36. 이병훈, "기회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분석," 한국사회정책, 제24권, 제2호, pp.157-179, 2017.
  37. 김종성, 이병훈, "부모의 사회계층이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동향과 전망, 제90권, pp.296-330, 2014.
  38. 이하영, 이수영, "사회계층이 국민의 희망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회보, 제25권, 제3호, pp.325-354, 2016.
  39. 이재완, "계층이동 사다리가 사회신뢰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4권, 제3호, pp.189-223, 2013.
  40. E. Uslaner and M. Brown, "Inequality, Trust, and Civic Engagement," American Politics Research, Vol.33, No.6, pp.868-894, 2005. https://doi.org/10.1177/1532673X04271903
  41. S. Kelly and C. Kelly, "Subjective Social Mobility: Data from 30 Nations," In Charting the Globe: The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1984-2009, Edited by M. Haller, R. Jowell, and T. Smith, Routledge, pp.106-124, 2009.
  42. 이양호, 지은주, 권혁용, "불평등과 행복: 한국의 사례," 한국정치학회보, 제47권, 제2호, pp.25-43, 2013.
  43. 김영미,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동그라미재단 연구리포트 4호 생애주기별 기회불평등연구, 2016.
  44. 한준, "시민사회의 성숙과 사회적 자본," 한국사회, 제16권, 제2호, pp.223-254, 2015. https://doi.org/10.22862/KJSR.2015.16.2.007
  45. 임현진, "시민참여를 통한 사회통합," 한국사회학회 60주년 기념 논문집, pp.21-38, 2017.
  46. 강철희, 이상철, "한국인의 보편적 신뢰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5권, 제4호, pp.1-28, 2013. https://doi.org/10.22944/KSWA.2013.15.4.001
  47. 오수연, "나홀로족 전성시대," 마케팅, 제50권, 제8호, pp.59-62, 2016.
  48. D. Aldrich and M. Meyer,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Resilienc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59, No.2, pp.254-269, 2015. https://doi.org/10.1177/0002764214550299
  49. 신희주, "동네는 어떻게 사람들의 일상에 힘을 발휘하는가?," 사회와 철학, 제34군, pp.1-26, 2017.
  50. S. Gerhardt, "The Selfish Society: The Current State of Things," The Political Self: Understanding the Social Context for Mental Illness, p.69, 2016.
  51. R. Kluegel and R. Smith, Beliefs about Inequality, Routledge, 2017.
  52.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2012.
  53. 관계부처합동, 자원봉사활동 진흥을 위한 제3차 국가기본계획(2018-2022), 행정안전부, 2018.
  54. 박경애, "가족봉사단의 봉사활동 경험의 효과 연구 -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5권, 제4호, pp.79-105, 2011.
  55. 고기숙, 이혁구, "중년기 직장 남성의 사회적 위기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3권, pp.9-41, 2004.
  56. 이지원, 박정윤, 김양희, "가족자원봉사활동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6권, 제6호, pp.89-10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