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Oral Healthcare Program for Som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일부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 손정희 (대원대학교 치위생과) ;
  • 최원익 (대원대학교 치위생과) ;
  • 임도선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최은미 (대원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18.12.21
  • Accepted : 2019.02.01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ral healthcare progra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in high-school grades in Special School C located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to examine its effect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program effect was the index of oral environment care ability and the score of dental caries risk per each session. In addition, images were taken for phase-contrast microscopy. The PHP index before and after the oral healthcare program and the risk of dental caries decreased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 observation on phase-contrast microscopy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cci decreased at the third session compared to that in the first session, and almost no bacillus was observed. The oral healthcare program, would be able to improve the oral environment care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lower the risk of dental caries.

이 연구는 충청북도에 위치한 C 특수학교 고등부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운영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은 1주 간격으로 총3번 진행하였으며, 사전에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 매 회차마다 구강보건교육과 자가 및 전문가치면세균막 관리를 시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 치아우식발생 위험도, 위상차현미경을 관찰 및 검사하였다.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전 후 PHP index는 $3.21{\pm}0.69$에서 $2.42{\pm}0.80$로 감소하였고, 치아우식발생 위험도는 13.78이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위상차현미경을 관찰한 결과 1회차에 비하여 3회차에서는 구균의 수가 감소하였고, 간균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또한 구강미생물의 운동성도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복 교육과 동기유발을 포함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구강환경관리 능력을 개선시키고 치아우식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2_20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프로그램 운영 절차

CCTHCV_2019_v19n2_20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프로그램 전 위상차 현미경

CCTHCV_2019_v19n2_204_f0003.png 이미지

그림 3. 프로그램 후 위상차현미경

표 1. 프로그램 전·후 PHPI 순위에 대한 차이 분석

CCTHCV_2019_v19n2_204_t0001.png 이미지

표 2. 프로그램 전·후 치아우식발생 위험도 점수

CCTHCV_2019_v19n2_204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7.
  2. 이효설, 김혜정, 남선회, 김민선, 유혜선, 백승호, "서울특별시 장애인 치과병원 이동검진기관 장애인들의 구강건강조사,"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제8권, 제1호, pp.1-9, 2012. https://doi.org/10.12655/jkdoh.2012.8.1.001
  3. http://www.smilefund.org/research_01.html, 2018.10.5.
  4. 신두교, 정성화, 박지혜, 최연희, 송근배, "우리나라 장애인의 구강건강 상태 및 관련요인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1권, 제2호, pp.248-262, 2007.
  5. 최은미, 최원익, 손정희, "국내 장애인의 구강 관련에 대한 문헌고찰,"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7권, 제6호, pp.957-967, 2017.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6.957
  6. J. J. Leeds, "Clinical modifications for treatment of handicapped children," ASDC J Dent Child, Vol.43, No.1, pp.42-45, 1976.
  7. 이긍호, "장애인의 구강관리,"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제1권, 제1호, pp.1-8, 2015.
  8. 김영숙, "정신지체장애인의 구강보건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권, 제1호, pp.19-37, 2001.
  9. R. D. Udin and C. G. Kuster, "The influence of motivation on a plaque control program for handicapped children," JADA, Vol.109, No.3, pp.591-593, 1984.
  10. A. G. Podshadley and J. V. Haley, "A method for evaluating oral hygiene performance," Pub Health Rep, Vol.83, No.3, pp.259-264, 1968. https://doi.org/10.2307/4593265
  11. 이성숙, 조명숙, 문희정, "장애인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치과위생학회지, 제6권, 제1호, pp.65-70, 2004.
  12. 최주현, 서화정, 이명희, "정신지체 장애인의 구강보건 교육에 따른 구강보건 행태 변화," 치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4호, pp.404-412, 2012.
  13. 최용금, 이민선, 배수명, 손정희, 류다영, "일부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효과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3850-3857,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8.3850
  14. 조성현, 이효설, 최병재, 김백일, 김성오, 최형준, "소아에서 치아 우식 경험과 새로운 치아우식활성 비색 검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42권, 제1호, pp.30-37, 2015. https://doi.org/10.5933/JKAPD.2015.42.1.30
  15. 김종배, 임상예방치과학, 고문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