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ser Experience of Fashion Sharing Application on Acceptance: Based on UTAUT Model

패션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이 수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UTAUT 모형을 중심으로

  • 김지형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9.03.12
  • Accepted : 2019.04.22
  • Published : 2019.05.28

Abstract

Fashion cannot encourage co-consumption with other people as a personal item, but it can lead to new consumer needs if fashion sharing service can professionally replace the time and cost of purchasing and managing g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fashion-sharing services based on the integration theory of user acceptance and utilization (UTAUT), and to discuss the virtuous cycle and sustainability pursuit of resources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sharing.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for the acceptance of fashion sharing applications is schematiz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300 women aged 20~49 years. The screens of 'Project Anne', a representative fashion sharing service in Korea, were provided as a visual data.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2.0 statistical package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efficiency and social influence positively influence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and age has found that efficiency and social influences modulate the intensity of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refore, for the consumer acceptance and activation of fashion sharing services, marketing activities emphasizing efficiency and strengthening social influence factors are essential. Also,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existing target group, 30~40s, and also construct additional products and price services for the 20s.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presenting basic data for empirical research on consumer acceptance of fashion sharing, and suggests a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among user experience components for real users in the future.

패션은 개인적인 물품으로 타인과 함께 협력 소비하는 것을 권장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나, 패션 공유 서비스가 상품 구입과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전문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면 새로운 소비자 니즈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기반으로 사용자 경험 구성요인들이 패션 공유경제 서비스 수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공유 경제 활성화를 통한 자원의 선순환 및 지속가능성 추구에 대한 논의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공유경제 어플리케이션 수용에 관한 연구 모형을 도식화하였으며, 국내 대표 패션 공유경제 서비스인 '프로젝트앤'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시각 자료로서 활용하여 20~49세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2.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패션 공유경제 서비스의 사용효율성, 사회적영향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연령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패션 공유 서비스가 의생활의 편리에 기여하는 사용효율성 측면과 주변 사람들의 참여와 독려를 통한 사회적영향 측면의 마케팅 활동을 통해 활성화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존 타겟층인 30~40대와 더불어 20대 소비자를 위한 상품 구성 및 가격 서비스 도입을 제안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패션 공유의 소비자 수용에 관헌 실증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함에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향후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자경험 구성요소 사이의 영향 관계 분석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Keywords

CCTHCV_2019_v19n5_82_f0001.png 이미지

그림 1. 패션 공유경제 어플리케이션 이용의도 예측을 위한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5_82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패션 공유경제 어플리케이션 이용의도 예측을 위한 연구모형 검증 결과

표 1. 통합기술수용이론의 구성항목과 사용자경험의 구성요소 간의 관계

CCTHCV_2019_v19n5_82_t0001.png 이미지

표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항목

CCTHCV_2019_v19n5_82_t0002.png 이미지

표 3. 측정항목의 신뢰도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5_82_t0003.png 이미지

표 4. 변수간 상관관계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5_82_t0004.png 이미지

표 5. 연구모형의 평가

CCTHCV_2019_v19n5_82_t0005.png 이미지

표 6. 가설검증 결과

CCTHCV_2019_v19n5_82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PricewaterhouseCoopers, The sharing economy, PwC, 2015.
  2. 문지혜, "소유하지 않는 소비, '공유 경제' 주목," 패션채널, 제7월호, pp.180-182, 2014.
  3. H. Pike, "Will the 'Sharing Economy' Work for Fashion?," https://www.businessoffashion.com, 2016.
  4. 심수진, "공유경제 서비스 사용의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6권, 제4호, pp.163-183, 2016.
  5. 윤지연, 김승인, "공유경제를 위한 패션 공유플랫폼 활성화 방안 연구 - 패션 대여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7호, pp.199-205,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7.199
  6. 김지형, "공유경제 도입에 따른 패션 공유 플랫폼의 사례 분석 -제품-서비스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18권, 제4호, pp.93-115, 2018.
  7. 김영채, 정승렬, "모바일 앱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플로우 이론과 통합기술수용 모형을 바탕으로-," 인터넷정보학회, 제14권, 제4호, pp.73-84, 2013. https://doi.org/10.7472/jksii.2013.14.4.73
  8. 손앙, 김화경, 이종호, "UTAUT기반의 모바일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영영교육학회, 제29권, 제5호, pp.299-319, 2014.
  9. 성희원, 성정환, "스마트웨어 수용의도 연구: 확장된 UTAUT 모형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제19권, 제2호, pp.69-84, 2015. https://doi.org/10.12940/jfb.2015.19.2.69
  10. V. Venkatesh, M. G. Morris, G. B. Davis, and F. D. Davis,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Vol.27, No.3, pp.425-478, 2003. https://doi.org/10.2307/30036540
  11. L. Lessig, Remix: Making art and commerce thrive in the hybrid economy, Penguin, 2008.
  12. R. Botsman and R. Rogers, What's mine is yours: The rise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HarperBusiness, 2010.
  13. 권애라, "IT비즈니스 발전에 따른 공유경제 성장 전망 및 시사점," 산업은행경제연구소, 산은조사월보, 제689호, pp.73-87, 2013.
  14. S. Iran and U. Schrader, "Collaborative fashion consumption and its environmental effect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21, No.4, pp.468-482, 2017. https://doi.org/10.1108/JFMM-09-2016-0086
  15. V. Duml and A. S. Perlacia, Collaborative Consumption: Live Fashion, Don't Own It, Norwegian School of Econom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5.
  16. 선민주, 패션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에 기반한 공유플랫폼 모델 제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7. 박미혜, "공유경제 서비스에 기반한 소비자의 협력소비 경험," 소비자학연구, 제27권, 제4호, pp.175-205, 2016.
  18. 이승신, "소비자의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태도 및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5권, 제2호, pp.105-124, 2017. https://doi.org/10.6115/fer.2017.009
  19. 최예슬, 김미영, "패션 브랜드 애플리케이션 분석," 패션비즈니스, 제15권, 제5호, pp.129-143, 2011. https://doi.org/10.12940/JFB.2011.15.5.129
  20. 고정민, 이지현, "30대 남성 직장인 대상 패션 코디네이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정보구조 디자인," 한국디자인포럼, 제47권, pp.17-30, 2015.
  21. 장남경, "모바일 패션도구로서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실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12권, 제4호, pp.29-43, 2012.
  22. J. Raskin, "The Humane Interface: New Directions for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Addison-Wesley Professional, 2000.
  23. 김원, 김헌, "0-3세 영유아 교육 콘텐츠에 적용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1권, 제2호, pp.95-107, 2015.
  24. R. B. Miller, Human ease of use criteria and their tradeoffs, IBM Report TR 00.2185, 12 April, Poughkeepsie, NY: IBM Corporation, 1971, April 12.
  25. B. Shackel, Usability-context, framework, definition, design and evalu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6. J. Nielsen, Usability Engineering, Academic Press, 1993.
  27. ISO, Ergonomic requirements for office work with visual display terminals (VDTs) -- Part 11: Guidance on usability, ISO 9241-11, 1998.
  28. A. J. Head, Design Wise: A Guide for Evaluating the Interface Design of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Today, Inc., 1999.
  29. R. Harrison, D. Flood and D. Duce, "Usability of mobile applications: Literature review and rationale for a new usability model," Journal of Interaction Science, Vol.1, pp.1-16, 2013. https://doi.org/10.1186/2194-0827-1-1
  30. 손기, 김세화, "여행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구성요인이 사용의도 형성과 사용행위에 미치는 영향," 기초조형학연구, 제16권, 제4호, pp.333-343, 2015.
  31. 김진우,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 안그라픽스, 2012.
  32. N. Tractinsky, "Aesthetics and apparent usability: Empirically assessing cultural and methodological issues," CHI-97 Conference Proceedings, pp.115-122, 1997.
  33. 배장은, 김승인,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대형 유통업체 모바일 커머스 사용성평가 : 이마트와 홈플러스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1호, pp.201-210, 2014.
  34. 주예군, 김희현,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용성 평가,"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3호, pp.63-72, 2014.
  35. 양승호, 황윤성, 박재기,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에 의한 핀테크 결제서비스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경영경제연구, 제38권, 제1호, pp.183-209, 2016.
  36.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39,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37. 권오준, "스마트폰 잠재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실증적연구," Internet & Information Security, 제1권, 제1호, pp.55-83, 2010.
  38. 정지범, 허종호, 박혜경, 신봉섭, "스마트 디바이스의 수용요인 및 시장세분화 연구: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과 개인 혁신성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31권, 제1호, pp.27-47, 2018.
  39. W. H. Loo, P. H. P. Yeow, and S. C. Chong, "User acceptance of Malaysian government multipurpose smartcard application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26, No.3, pp.358-367, 2009. https://doi.org/10.1016/j.giq.2008.07.004
  40. V. Venkatesh, J. Y. L. Thong, F. K. Y. Chan, P. J. H. Hu, and S. A. Brown, "Extending the two-stage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model: incorporating UTAUT predictors and the role of context," Information Systems Journal, Vol.21, No.6, pp.527-555, 2011. https://doi.org/10.1111/j.1365-2575.2011.00373.x
  41. 김수민, 이창원, "기술수용 및 이용에 관한 통합 이론을 활용한 유헬스케어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3권, 제12호, pp.379-388, 2013.
  42. 오종철, 유시정, 양태식, "UTAUT 모형을 적용한 인터넷 서비스 채택의 영향요인 : 서비스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Vol.2009, No.5, pp.279-300, 2009.
  43. B. Salim, "An Application of UTAUT Model for Acceptance of Social Media in Egypt: A Statist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Vol.2, No.6, pp.92-105, 2012. https://doi.org/10.5923/j.ijis.20120206.05
  44. T. Zhou, "Understanding mobile Internet continuance usage from the perspectives of UTAUT and flow," Information Development, Vol.27, No.3, pp.207-218, 2011. https://doi.org/10.1177/0266666911414596
  45. 이장석, 성동규,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자기해석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4호, pp.137-147, 2018. https://doi.org/10.14400/JDC.2018.16.4.137
  46. K. Yang, "Determinants of US consumer mobile shopping services adoption: implications for designing mobile shopping service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27, No.3, pp.262-270, 2010. https://doi.org/10.1108/07363761011038338
  47. H. Sun and P. Zhang, "The role of moderating factors in user technology accept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Vol.64, No.2, pp.53-78, 2006. https://doi.org/10.1016/j.ijhcs.2005.04.013
  48.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2nd ed.), McGraw Hill, 1978.
  49. 원태연, 정성원, SPSS 18.0 통계조사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0.
  50.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 Amos 4.0-20.0 공용, 서울: 한나래,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