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fforts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on Teacher Efficacy: Focused on Comparison among Types of School Climate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풍토 유형 간 비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9.04.01
  • Accepted : 2019.04.26
  • Published : 2019.05.28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how teacher experience of instructional change (EIC), teacher morale (TM), and school climate (SC) mediate or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orts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EII) and teacher efficacy (TE). For the purpose, the 6th year data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which was administered in 2017 for the 9th grade students and their teachers from 197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as used. As results, the mediation effects of EIC on the link between EII and TE was found only under the innovative climate. The moderation effects of TM on the connection between EIC and TE were appeared in both of the permissive and the innovative climate.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the TM in the innovative climate were bigger rather than in the permissive climate.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과 교사 효능감 간 관계를 수업변화 경험과 사기 열의, 학교 풍토가 어떻게 매개 조절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에 경기도의 197개 중학교 3학년 학생 표집과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된 경기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등교사의 수업변화 경험이 수업개선 노력과 교사 효능감 간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사기 열의라는 개인 수준의 변수가 조절하는지에 대해 조건부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학교풍토 유형 간에 조절된 매개효과가 상이할 수 있다고 보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학교 풍토를 보수적, 허용적, 혁신적 풍토로 유형화한 후, 각 유형별로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수업변화 경험이 매개하는 효과는 혁신풍토 학교에서만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의 수업변화 경험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의 사기 열의가 조절하는 효과는 허용적 및 혁신적 풍토에서만 발견되었다. 끝으로 교사의 사기 열의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는 허용적 풍토에서보다 혁신적 풍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CCTHCV_2019_v19n5_472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 모형

CCTHCV_2019_v19n5_472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학교풍토에 관한 잠재프로파일 탐색 결과

표 1. 최종 분석대상의 특징

CCTHCV_2019_v19n5_472_t0001.png 이미지

표 2. 학교 풍토 유형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CCTHCV_2019_v19n5_472_t0002.png 이미지

표 3. 분석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CCTHCV_2019_v19n5_472_t0003.png 이미지

표 4. 학교 풍토에 관한 잠재 프로파일 분류 기준

CCTHCV_2019_v19n5_472_t0004.png 이미지

표 5. 잠재프로파일별 추정 평균 및 구성 비율 (N=197)

CCTHCV_2019_v19n5_472_t0005.png 이미지

표 6. 학교 풍토 유형별 교사들의 특성 차이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5_472_t0006.png 이미지

표 7. 수업변화 경험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5_472_t0007.png 이미지

표 8. 사기와 열의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5_472_t0008.png 이미지

표 9. 사기와 열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5_472_t0009.png 이미지

References

  1. R. M. Klassen, V. M. Tze, S. M. Betts, and K. A. Gordon, "Teacher Efficacy Research 1998- 2009: Signs of Progress or Unfulfilled Promis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23, No.1, pp.21-43, 2011.
  2.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cersise of Control, Now York: Freeman, 1997.
  3. F. D. Betoret, "Stressors, Self-efficacy, Coping Resources, and Burnout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pain," Educational Psychology, Vol.26, pp.519-539, 2006. https://doi.org/10.1080/01443410500342492
  4. W. Hoy and C. Miskel,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 김형관, 오영재, 신현석, 박종필(역), 교육행정: 이론, 연구, 실제(제6판), 원미사, pp.27-28, 2004.
  5. M. Tschannen-Moran, A. W. Hoy, and W. K. Hoy,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68, No.2, pp.202-248, 1998. https://doi.org/10.3102/00346543068002202
  6. 공은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391-40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391
  7. 박혜정, "보육교사의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530-540, 2016.
  8. 김주영, 장재홍, 박인우,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협력정도, 수업개선활동,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비교 분석," 교사교육연구, 제57권, 제1호, pp.1-15, 2018. https://doi.org/10.15812/TER.57.1.201803.1
  9. 소선주, 정민숙, "지역아동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을 매개효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30-34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330
  10. 조성웅, 나승일,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변화몰입과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3권, 제1호, pp.1-25, 2011.
  11. 박병선, 김이경, "교사 사기 구성요인 탐색 및 수준차이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4호, pp.321-343, 2014.
  12. 신동훈, "단위학교의 교사 사기진작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강원도의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133-158, 2012.
  13. 손다정, 최보미, 김한나, 강호수, "학교의 조직적 특성이 학습자 중심 수업에 미치는 효과: 개방적 학교풍토와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편), 제4회 경기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pp.16-36, 2017.
  14. M. Tschannen-Moran and A. W. Hoy,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17, pp.783-805, 2011. https://doi.org/10.1016/S0742-051X(01)00036-1
  15. 곽세영, 윤미선, "초등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30권, 제3호, pp.559-583, 2016.
  16. 성기선, 김준엽, 박소영, 민병철, 경기교육종단연구 연구설계 및 문항개발 연구,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2012.
  17. 민희자, "학교장 지도성과 학생의 학교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교사사기의 매개효과," 교육행정학연구, 제29권, 제3호, pp.101-117, 2011.
  18. 이쌍철, 홍창남, 송영명, "교사-교장 신뢰가 교사의 사기 및 학교만족에 주는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초등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43-63, 2011.
  19. 안영은, 양성관, "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 지지, 학생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생의 삶의 질과 미래역량에 미치는 영향: 일반고와 특목고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33권, 제2호, pp.183-212, 2015.
  20. A. W. Halpin and D. B. Croft,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ls, Chicago: Midwest Administration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1963.
  21. 노종희, "학교조직풍토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제28권, 제2호, pp.67-80, 1990.
  22. 박선형, 임성범, 이승연,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위의 관계에서 창의적 조직풍토의 매개효과," 교육행정학연구, 제35권, 제5호, pp.331-359, 2017.
  23. 박기수, 박혜진, "단위학교에서의 민주적 의사결정참여가 교사 협력, 수업 개선 활동 및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6호, pp.951-972, 2016.
  24. A. Mednick, "Teachers Working Together to Improve Instruction," Conversation, Vol.42, No.2, pp.1-12, 2004.
  25. 김자영, 최보미, 박미희, 경기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기초분석 보고서 (기술보고 2018-06) , 경기도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 2018.
  26. J. S. McCrae, M. V. Chapman, and S. L. Christ, "Profile of children investigated for sexual abuse: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symptoms and servic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76, No.4, pp.468-481, 2006. https://doi.org/10.1037/0002-9432.76.4.468
  27. K. J. Preacher, D. D. Rucker, and A. F. Hayes,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42, No.1, pp.185-227, 2007. https://doi.org/10.1080/00273170701341316
  28.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