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Fin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III) - Phyllolobii seu Astragali, Lepidii, Descurainiae, Drabae Semen -

Stereoscope를 이용한 미세종자류 한약재 외부형태 감별연구(제3보(報)) - 사원자(沙苑子)와 황기자(黃芪子), 정력자(葶藶子) -

  • Kim, Young-Sik (Department of Herbal Pharmac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Ju, Young-Sung (Departmen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osuk University)
  • 김영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 주영승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Received : 2019.04.09
  • Accepted : 2019.05.25
  • Published : 2019.05.30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dentification keys based on stereoscopic examination of 8 seed herbs in 2 categories (Phyllolobobii Semen (PS) with 4 Astragali Semen (AS), and 2 Lepidii seu Descurainiae Semen (LDS) with 1 Drabae Semen (DS)) which have difficulties in discri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Methods : We reviewed the description of original plants and their medicinal parts from the literature. The original plants were collected, identified, confirmed as specimens, and compared to the samples distributed in the market. The first identification was made by visual observation, and insufficient points were supplemented by stereoscopic observation. Identification criteria were set by consider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uthentic herbs, percentage of adulterants, and distinction between authentic herbs and adulterants. Results : The original plants of PS and AS could be distinguished by upright or lying form of stem, color of flowers, number of leaflets, and presence of hair of fruits. LDS and DS could be distinguished by leaf arrangement on stem: radical or cauline, whole plants size, leaf division, color of flowers, and shape of fruits. The herbal medicines of PS and AS could be distinguished by seed surface pattern, size, and hardness. LDS and DS could be distinguished by size, shape, viscosity when chewed, and degree of mucous layer formation when soaked in water.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e identification keys of original plants and herbal medicines. Especially, since fine seed herb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by visual observation, the stereoscope should be applied to the discrimination.

Keywords

Ⅰ. 서론

한약재를 이용한 약물치료는 한방의료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 건강식품의 관심증대에 맞물려 전문치료약물로서 더욱 많은 정보를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부분에서의 중심축은 천연물로서의 한약재 효능 극대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당연하게 대두되는 부분은 正品 한약재와 良質의 한약재에 대한 요구이다. 특히 正品 한약재에 대한 요구는 끊임없이 발생하는 眞僞品의 논란에서 엿볼 수 있듯이 논란의 시작과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원이정확한 한약재의 선택과 사용이 효능과 부작용 등에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최근들어 발생했던 한약재의 의료사고(예 : 이뇨 및 최유제로서 사용되는 通草 혹은 木通에서의 등칡Aristolochia manshuriensis 오용등)는 높아지는 사회적인 요구와 여기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했을 때 한의학 전체의 신뢰도 하락으로 귀결되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중요성 때문에 현재에 이르러서도 한약재의 사용량이 매우 높은 동양 3국에서는 연구의 많은 부분을 기원과 규격설정에 맞추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이러한 제반내용이 해당국가의 공정서에 반영되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경우 국가차원의 표준 한약재 개발연구1)와 대학 및 개인 차원의연구2)모두 이에 부응하여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연구가 사용빈도수가 높은 한약재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나마 크기가 육안으로 구분이 가능한한약재를 주로 대상으로 하여 왔다. 다시 말하면 크기가 작은 과실 종자 화분등의 구분내용은 문헌에서의 언급 수준에 머물고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확대경수준을 벗어나는 크기가매우 작은 한약재의 경우에 더욱 심각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대한 보완은 당연히 관찰수위를 높여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단순 확대경의 윗단계인 stereoscope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과실 종자류 한약재의 감별에 stereoscope를 활용한 연구는, 지3)등이 靑箱子와 鷄冠子, 免絲子와 紫蘇子의 감별연구(1報), 김 등4)이 韭子와 蔥子, 冬葵子와 苘麻子, 車前子와 荊芥子의 감별연구(2報)를 진행한 바 있다. 아울러 전체한약재에 대한 국가기관의 감별연구5)에서 일부 과실종자류 한약재에 대하여 보완되어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단순확대경의수준을 벗어나는 경우에 광학현미경과 확대경의 중간단계에 해당되는 확대현미경(stereoscope)의 사용이 감별효율을 높일수 있는 것이다. 이에 저자는 1차 및 2차 발표에 이어 한약재 감별에서 크기가 작아 상호 혼입의 개연성이 높고 실제로 혼입되어 유통되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미세과실 종자류 2품목 8종한약재(正品 沙苑子, 附品 2종 沙苑子, 僞品 2종 黃芪子, 正品2종 葶藶子, 附品 1종 葶藶子)를 대상으로 확대현미경(Stereoscope)를 이용하여 감별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 한약재 2품목(沙苑子와 葶藶子)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1). Sample은 1차적으로 자연상태에서 동정을 거쳐 채집하였으며, 시중에 유통되어지고 있는 대상 한약재는 전국 4개권역(서울권역, 대전권역, 전라권역, 경상권역)에서 구입한 후 본 대학 본초학교실의 동정을 거쳐 확정하였다.

Table 1. List of Samples

DHBCBU_2019_v34n3_19_t0003.png 이미지

2. 대상 한약재 2품목에 대한 한의학적 효능 차이(Table 2)

이상과 같이 문헌상에서 정리된 한의학적 분류를 보면, 沙苑子의 대표적인 僞品인 黃芪子에 대한 내용은 어느 문헌에도 언급된 바 없으며, 葶藶子의 附品인 꽃다지 Draba nemorosaL.의 종자에 대한 언급은 載新民의 中國藥材學10)에서 유일하였다. 하지만 이의 내용도 정품 葶藶子의 한의학적 내용과 동일한 것으로 보아, 아마도 착오에 의한 정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면에서 저자는 공정서 기재품은 正品으로, 문헌에 따라일부 기술되어진 종류는 附品으로(예 : 沙苑子의 경우 同屬近緣種인 華黃芪와 直立黃芪, 葶藶子의 附品인 꽃다지), 문헌기재내용이 전혀 없어 향후 약효면에서의 정확한 구분기준이 제시되어야 하는 종류는 僞品으로(예 : 沙苑子의 경우 황기와 蒙古黃芪) 지칭하여 구분하고자 한다.

이러한 면에서 유통 한약재 중 특히 크기가 미세한 과실종자류 한약재에서 육안 혹은 단순확대경수준에서 구분이 힘들다는 이유로 혼입 혹은 대체되어지고 있는 종류에 대하여는, 同等 수준에서의 명확한 분류와 효능검증이 있기 전까지는 사용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에 대한 감별기준점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Table 2. The herbological effective difference of Sample

1.PNG 이미지

3. 연구방법

위의 2품목 8종 한약재에 대해서 1)자연 및 한약재 상태에 대한 문헌적 정리, 2)자연 상태에서의 채집 . 동정을 통한 표준품 확정, 3)유통 한약재의 구입 및 비교검토를 하였다. 기본적으로 해당 품목은 육안 혹은 단순 확대경 수준에서 구분이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보완으로 보다 상위 구분수단인 확대현미경(Stereoscope)을 이용한 감별점을 확보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감별점의 기준은 ①정품의 형태 기준 ②정품과 혼입품의 기준점 설정 ③이를 기준으로 하는 검색표 제시(자연상태 및 약재상태)이다.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 한약재 2품목의 문헌 및 현장확인의 자연 상태 분류

감별에 필요한 특이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사원자(沙苑子)

원자(沙苑子)의 기원식물은 扁莖黃芪 Phyllolobium chinense (=Astragalus complanatus) 이며 기타 附品으로 華黃芪 Astragalus chinensis와 直立黃芪 Astragalus adsurgens 2종이 있다.

(1) 扁莖黃芪 Phyllolobium chinense(Fig. 1 ①∼③)는 다년생 초본7,8,10,11,13,16,19,21,27)으로, 줄기는 바닥에 平臥7,10, 13,27,28)하며 짧은 硬毛(白色柔毛7,8,10,11,13,16,19,21,27)가 있다. 잎은奇數羽狀複葉7,8,10,11,13,16,19,21,27,28)으로 互生7,11,13,19,27)하며, 小葉은 9∼21(25)개7,10,11,13,16,19,21,27,28)로 楕圓形7,10,13,16,19,21,27,28) 이다. 꽃은 總狀花序7,8,10,11,13,19,21,27,28)로서 腋生7,8,10,11, 13,19,21,27)하며 花冠은 蝶形이고 黃色7,10,11,13,16,19,21,27)이며, 小花는 3∼7(9)개7,8,10,11,13,16,19,21,28)이고 龍骨瓣(0.95∼1 ㎝)과 籏瓣(1∼1.1 ㎝)의 길이가 비슷7,13,28)하며子房에는 많은 柔毛8,11,13,16,19,28)가 있다. 과실은 莢果로서 紡錘形7,8,10,11,13,16,19,21,27,28)이고약간 팽창하되 背腹부위가 납작7,8,13,16,21,28)하다.

DHBCBU_2019_v34n3_19_f0016.png 이미지

Fig. 1 External view of original plants of Phyllolobium chinense (扁莖黃芪)

(2) 華黃芪 Astragalus chinensis (Fig. 2 ①, ②)는 扁莖黃芪에 대비하여 다음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줄기는 直立7,8,21,28)하며深溝(條稜)7,8,28)가 있고 無毛7)이다. 잎의 小葉은 21(17)∼31(25)개8,21)로 상대적으로 많고, 꽃은 黃色7,8,16,21, 28)이며龍骨瓣과 籏瓣의 길이가 비슷28)하고 과실은 팽창7,8,28)한다.

DHBCBU_2019_v34n3_19_f0017.png 이미지

Fig. 2 External view of original plants of Astragalus chinensis (華 黃芪)

(3) 直立黃芪 Astragalus adsurgens (Fig. 3)는 扁莖黃芪에 대비하여 다음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줄기는 直立 혹은 斜上28)하며 白色丁字毛 혹은 黑毛10)가 있다. 잎의 小葉은 7∼23(25)개7,10,16,28)이고양면(아래면)에 (白色)丁字毛10,16,28)가 있다. 꽃은 藍紫色 혹은 紫紅色7,16,28)이며 翼瓣이 籏瓣에 비해 짧다7,28). 과실은 圓筒形10,16,28)으로약간 납작28)하며표면에 黑色(褐色,白色이 혼합)更毛16,28)가 있다.

5.PNG 이미지

Fig. 3 External view of original plants of Astragalus adsurgens (直立黃芪)

이를 근거로 正品과 附品 사원자(沙苑子) 종류의 식물상태 검색표(identification key in natural status)를 다음과 같이제안한다.

2.PNG 이미지

한편 사원자(沙苑子)의 대표적인 僞品인 황기자(黃芪子)의 기원식물에는 황기 Astragalus mongholicus var.dahuricus와 몽고황기(蒙古黃芪) A. mongholicus2종이 있다

(1) 황기 A. mongholicus var.dahuricus (=A. membranaceus)(Fig. 4 ①)는 다년생초본으로 줄기는 直立7,9,28)하며 細稜과白色柔毛28)가 있다. 잎은 奇數羽狀複葉7,9,28)으로互生7,9)하며, 小葉은 6∼13대칭(13∼31개)7,9,13,28)으로 길이는 0.5∼3 ㎝(크기가 큼)7,9,13)이다. 꽃은 總狀花序7,9,28)로서 腋生7,9)하며花冠은 蝶形이고 黃色7,9)이며, 小花는 5∼22개7,9)이고 龍骨瓣과 翼瓣의 길이가 비슷28)하며, 子房에는 柔毛7,13,28)가 있다.과실은莢果로서 黑色短毛7,9,13,28)가 있으며팽창7,11,16)한다.

DHBCBU_2019_v34n3_19_f0018.png 이미지

Fig. 4 External view of original plants of Astragalus mongholicus var. dahuricus (黃芪) and Astragalus mongholicus (蒙古黃芪)

(2) 몽고황기(蒙古黃芪) A. mongholicus(Fig. 4 ②)는 황기에 대비하여 다음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小葉이 12∼18대칭(25∼37개)(많다)7,9,11,13)이며 길이 0.4∼1 ㎝(크기가 작음)7,11,13,28)이다.子房과 莢果는 매끄럽고 無毛7,10,13)이며과실은팽창13,16,19)한다.

이를 근거로 僞品인 황기자(黃芪子)종류의 식물상태 검색표(identification key in natural status)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3.PNG 이미지

이상 正品 1종과 附品 기원식물 2종과 僞品기원식물 2종이 모두 Astragalus 屬에 속하는 同屬近緣種인 관계로 5종 전체에 대한 (종합)식물상태 검색표(identification key in natural status)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4.PNG 이미지

2) 정력자(葶藶子)

정력자(葶藶子)의 기원식물에는 다닥냉이(獨行菜) Lepidium apetalum 와 재쑥(播娘蒿) Descurainia sophia2종이 있다.

(1) 다닥냉이(獨行菜) Lepidium apetalum (Fig. 5 ①, ②)는 1∼2년생 초본7∼9,11,13,16,19,29)으로 줄기는 직립7∼9, 11,13,19,29)하며 길이 5~30cm7∼9,11,13,16,19,29)로 작다. 잎은 互生7,9,10,16,27)하며不分裂11,19)하고 蓮座狀으로 좁은 장타원형7,9,10,27)인 下部葉(根生葉)과 線形(窄條形)7∼9,10,13,16,27,29)으로 披針形인 上部葉(莖生葉)이 있다.꽃은 긴 總狀花序7∼11, 13,16,19,29)로서 꽃이 작으며7∼11,13,16,19)白色8,16,20,27)혹은 帶紅色8)이나 퇴화된 모양9∼11,13,16,19,29)이다. 과실은 短角果7∼10,13,16,27,29)이고 종자는 倒卵狀楕圓形7,9,10,16,20,29)으로淡紅棕色7,9,10,13,29)이다.

DHBCBU_2019_v34n3_19_f0019.png 이미지

Fig. 5 External view of original plants of Lepidium apetalum (獨行菜)

(2) 재쑥(播娘蒿) Descurainia sophia (Fig. 6 ①, ②)은 1∼2년생 초본7∼9,11,13,16)으로 줄기는회백색7,9,11,13,19)이며 직립7,11,13,29)하고 길이 20~100 ㎝7∼9,11,13,16,19,29)로 크다.잎은 互生7,9,11,16,19)하며2∼3回羽狀分裂7∼9,13,16,27)하고 최종裂片은線形(窄條形)7∼9,11,16,19,29)이다.꽃은 總狀花序로서 꽃이 작으며7,9,11,16,19)黃色9,11,13,16,19,27,29) 혹은 淡黃色8)이다. 과실은 長角果7∼9,11,13,16,19,27,29)이고 종자는 卵狀扁平7,9,13)하고 淡紅棕色7,13,29)이다.

DHBCBU_2019_v34n3_19_f0020.png 이미지

Fig. 6 External view of original plants of Descurainia sophia (播娘蒿)

한편 정력자(葶藶子)의 附品인 꽃다지 Draba nemorosaL.(Fig. 7 ①, ②)는 1∼2년생초본9,29)으로줄기는 직립9,10,29)하며叉狀毛(星狀毛) 혹은 單毛9,10,27,29)로 덮여 있다. 잎은 蓮座狀으로 장타원형9,10,27,29)인 下部葉(根生葉)과 互生9,10,27)하며 卵形8∼10,29)인 上部葉(莖生葉)이 있으며 양면에 叉狀毛(星狀毛) 혹은 白色柔毛9,10)로 덮여 있다. 꽃은 總狀花序9,10,29)로서 꽃이작으며9)黃色9,10,20,29)이다. 과실은 短角果8,9,10,27,29)이고 종자는細小9,10)하며 편평9)하고 淡褐色10,29)이다.

DHBCBU_2019_v34n3_19_f0021.png 이미지

Fig. 7 External view of original plants of Draba nemorosa

이상 정력자(葶藶子) 正品 기원식물 2종과 附品 기원식물 1종에 대한 (종합)식물상태 검색표(identification key in natural status)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6.PNG 이미지

 

2. 대상 한약재 2품목의 문헌 및 관능, stereoscope상의 한약재 상태 분류

감별에 응용될 수 있는 내용의 많은 부분이 문헌기록과 일치하였으나, 미세종자류 한약재 특성상 관능 및 단순 확대경 수준에서는 정확한 동정이 어려웠다. 이런 면에서 stereoscope의 활용이 필수적이며, 더욱 유효한 감별도구수단으로 활용되어질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 및 단순 확대경 그리고 stereoscope를 활용한 감별에 필요한 특이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사원자(沙苑子)

한약재유통시장에서 혼입의 정도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사원자(沙苑子)종류에 대한 전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원자(沙苑子)종류에는 기원식물로서 正品인 扁莖黃芪 Phyllolobium chinense 를 비롯하여 기타 附品으로 華黃芪 A. chinensis와 直立黃芪 A. adsurgens 2종, 僞品으로 황기A. mongholicusvar. dahuricus 와 蒙古黃芪 A. mongholicus2종이 있다.

(1) 扁莖黃芪 Phyllolobium chinense (=Astragalus complanatus)(Fig. 8 ①∼③) : 약용부위는 종자로서, 腎形7,10,15∼17,19,21∼27)으로약간 납작7,8,11∼15,17,19,21∼27)하다. 길이 2∼2.5 ㎜ 너비 1.5∼2 ㎜8,11,13∼17,19,21,22,25,27)두께 약1 ㎜ 미만7,11,14∼17,19,21∼27)이다. 표면은 灰褐色7,8,11∼17,19,21∼27)혹은綠褐色7,10,11,13∼17,19,21∼26)으로 光滑7,8,10,11,13,14,17,19,21∼27)하며무늬가 없다27). 한쪽면의 약간 안쪽으로 오목7,10,11,13,14,17,22∼27)한 부분이 있는데 이곳에 명확한 (淡色의 圓形)種臍7,8,10,11,13∼17,19,21∼27)가 있다. 단면의 種仁은 황색10)이고 子葉은 2개7,10,11,13,15∼17,19,22,25,27)이며淡黃色이고 胚根은 彎曲되어 있다7,11,13,15∼17,19,22,25,27). 質은 단단7,8,10∼17,19,21∼27)하여 쉽게 부서지지 않는다7,8,12,13,15∼17,19,21∼27). 無臭7,11,19,22∼27)이며 맛은 담백7,11∼14,16,17,19,21∼27)하고씹으면 콩비린맛7,11,14∼17,19,21∼27)이 있다.

7.PNG 이미지

Fig. 8 External view of herbal medicine of Phyllolobium chinense (扁莖黃芪) or Astragalus chinensis (華黃芪)

(2) 華黃芪 Astragalus chinensis (Fig. 8 ①∼③)의 종자는扁莖黃芪의 종자에 대비하여 다음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길이가 2∼2.8 ㎜7,8,15,17,21,27)로서 약간 크고 飽滿하며, 표면은暗綠色7,8,14,15,17,27)이다.한쪽면의 약간 안쪽으로 오목14)한 부분에는 명확한 (長條形)種臍7,8,21)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관능 및 단순확대경 상에서는 말할 것도 없이 stereoscope상에서도 객관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3) 한편 直立黃芪(자주개황기, 자주땅비수리, 탐라황기, 털황기)(Fig. 9 ①, ②) Astragalus adsurgens의 종자는 扁莖黃芪의 종자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확연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어 구분이 가능하였다. 표면에 黑褐色반점 및 세밀한 點狀그물무늬17,27)가 뚜렷하며 맛은 씹으면 麻舌感17,27)을 느낄 수 있었다.

9.PNG 이미지

Fig. 9 External view of herbal medicine of Astragalus adsurgens (直立黃芪)

(4) 한편 僞品인 황기자(黃芪子)의 경우 황기 Astragalus mongholicus var. dahuricus (=Astragalus membranaceus)혹은 蒙古黃芪 A. mongholicus (Fig. 10 ①, ②)의 종자 상태에서의 종간차이점을 발견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扁莖黃芪의 종자와의 구분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모양이 圓腎形17,23,24,27)으로직경 2∼3 ㎜17,23,24,27)로서扁莖黃芪보다 크며, 표면은 淺棕黑色17,23)으로 無光澤(광택이 적다)17,23,27)하다. 質은 약하여17,27)하여 쉽게 부서진다27).

10.PNG 이미지

Fig. 10 External view of herbal medicine of Astragalus mongholicus var. dahuricus (黃芪) or Astragalus mongholicus (蒙古黃芪)

이상 正品기원식물 1종과 附品 2종과 僞品 2종, 모두 Astragalus屬에 속하는 同屬近緣種인 관계로 이에 대한 (종합)한약재상태 검색표(identification key in Herbs)를 작성하고자 한다.

(1) 특징적인 것은 正品인 扁莖黃芪 Phyllolobium chinense(=Astragalus complanatus) 종자와 附品에 속하는 華黃芪 A. chinensis 종자의 한약재 상태에서의 구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이러한 연유로 아마도 오랫동안 2종이 사원자(沙苑子)의기원품으로 등재되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直立黃芪 A. adsurgens의 종자는 正品과 확연히 구분되었다.

(2) 한편 僞品인 황기 Astragalus mongholicus var.dahuricus와 몽고황기(蒙古黃芪) A. mongholicus 종자의 한약재 상태에서의 구분 역시 유의성이 없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검색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1.PNG 이미지

2) 정력자(葶藶子)

한약재 유통시장에서 혼입의 정도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정력자(葶藶子)종류에 대한 전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력자(葶藶子)종류에는 기원식물로서 正品인 다닥냉이(獨行菜) Lepidium apetalum 를 비롯하여 유통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재쑥(播娘蒿) Descurainia sophia 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기타 附品으로 꽃다지 Draba nemorosa 의 종자가 혼입되어30)유통시장의 상태는 3종류로 요약된다.

(1) 다닥냉이(獨行菜) Lepidium apetalum (Fig. 11 ①∼③): 偏卵形11,13∼15,17∼19,22∼27)으로 납작7,8,9,21)하며 길이 1∼1.5 ㎜13∼15,17∼19,22,23,25,26) 너비 0.5∼1 ㎜11,13∼15.17∼19,22∼27)로 상대적으로 크다. 黃棕色(棕色)7∼9,13∼19,22∼24,26,27) 혹은 淡紅棕色(紅棕色)10,13∼15,17∼19,22,26,27)으로 한쪽끝은 鈍圓하고 다른쪽끝은 점차 뾰족하며 약간 오목하고7∼9,11,13,14,16∼19,21∼27)오목한부위에 種臍(불명확,白色點)7∼9,11,13,14∼19,21∼27)가 있다. 확대경으로 보면 표면에 많은 과립상 細小돌기(疣點)7∼11,13,14,16, 21,24,27)와 2줄(1∼2줄)의 세로의 옅은 골7∼9,11,13,15∼19,21,22,26,27)이있는데 이중 1줄이 더욱 뚜렷하다. 냄새는 微弱7∼9,16,17,21∼23)하고 맛은 微辛辣11,14,15,18,19,21,22,25)하며씹으면 강한 粘性7∼9, 18,19,21,22,25,27)이 있다. 이 약을 水浸泡하면 종자 전체 두께의 1/2∼2/3이하8,11,13∼17,21∼23,27)의 두텁고 투명한 점액층을 형성한다(Fig. 11 ③).

12.PNG 이미지

Fig. 11 External view of herbal medicine of Lepidium apetalum ③ External view of seed of L. apetalum soaked in water

(2) 재쑥(播娘蒿) Descurainia sophia (Fig. 12 ①∼③) : 長圓形7,11,13∼19,22∼27)으로 약간 납작8,9,11,13∼15,17,18,22∼27)하며 길이 약 1 ㎜7∼9,11,14,15,18,19,21,22,24,26) 너비 약 0.5 ㎜7∼9,11,14∼19,21∼26)로 상대적으로 작다. 黃棕色(棕色)7,8,11,13,16,21,24,25,27) 혹은 紅棕色8,11,21,24,25,27)으로 한쪽 끝은 鈍圓하고 다른쪽끝은 평탄7∼9,11,13∼19,21∼27) 혹은 약간 오목8,13∼19,21∼23,25∼27)하며 오목한부위(중앙) 혹은 截形부위에 種臍(불명확)7∼9,13,14,16,27)가 있다.확대경으로 보면 표면에 세밀한 망상무늬(疣點)7∼9,11,13,14,16,21,27)와 2줄의 세로의 옅은 골7∼9,11,13,14,16,21,25,27)이 있는데 이중 1줄이 더욱 뚜렷하다. 냄새는 微弱7∼9,11,13,16,17,21,23,25,27)하고 맛은 微辛苦14,15,17∼19,22,23,25,27)하며씹으면 상대적으로 약한 粘性8,15,17∼19,22∼25,27)이 있다. 이 약을 水浸泡하면 종자 전체두께의 1/5이하8,13,14,21,22)의 상대적으로 얇고 투명한 점액층을형성한다(Fig. 12 ③).

13.PNG 이미지

Fig. 12 External view of herbal medicine of Descurainia sophia ③ External view of seed of D. sophia soaked in water

(3) 꽃다지 Draba nemorosavar. hebecarpa (Fig. 13 ①∼③) : 楕圓形10,17,23,27)으로 납작10,24)하며 길이 약 0.5∼0.7 ㎜9,10,17,23,24) 너비 약 0.3 ㎜9,17,23)로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Fig. 14). 茶褐色∼黃褐色24,27)이다. 확대경으로 보면 표면에 微細한 網狀돌기모양무늬(瘤點,小疣狀돌기)9,10,24,27)와 1줄의 세로의 옅은 골9,17,23,27)이 있다. 냄새는 없고24,27)맛은 苦辛24,27)하며, 水浸泡을 해도 粘性이 없어 점액층 형성을 하지 않는다9,17,23,27)(Fig. 13 ③)

14.PNG 이미지

DHBCBU_2019_v34n3_19_f0022.png 이미지

Fig. 13 External view of herbal medicine of Draba nemorosa ③ External view of seed of D. nemorosa soaked in water

Fig. 14 Seed size comparison of herbal medicines of Lepidium apetalum, Descurainia sophia, Draba nemorosa

이상 정력자(葶藶子) 正品 기원식물 2종과 附品 기원식물 1종에 대한 (종합)약재상태 검색표(identification key in Herbs)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5.PNG 이미지

이상 한약재 감별의 주된 대상인 사원자(沙苑子)와 정력자(葶藶子)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문헌기록과 유통 한약재 상태의비교 동정을 시도하였다. 대상 한약재의 문헌상의 차이 기술에도 불구하고, 미세종자류의 특성상 관능 및 단순확대경 상에서 정확한 동정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된 바, 이런 면에서 stereoscope를 활용하는 방법은 대단히 유효한 감별수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유통 한약재에서,

1. 사원자(沙苑子)는 기원식물인 扁莖黃芪 Phyllolobium chinense (=Astragalus complanatus)와 華黃芪 A. chinensis의종자상태에서의 구분은 관능 및 stereoscope 상태에서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하지만 直立黃芪 A. adsurgens의 종자는 正品과 확연히 구별되어 유의성이 있었다. 아울러 僞品으로 유통되는 황기자(黃芪子)의 경우 역시 기원식물인 황기 Astragalus mongholicus var. dahuricus (=Astragalus membranaceus)와 蒙古黃芪 A. mongholicus 의 종자 상태에서의 구분은 stereoscope상태에서도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한약재 상태에서의 구분은 stereoscope상태에서 사원자(沙苑子)와 황기자(黃芪子) 및 直立黃芪子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2. 정력자(葶藶子)의 경우에는 기원식물에서 屬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에 적합하게 한약재 상태에서도 stereoscope상태에서 구분이 가능하였다. 특히 일부 소수 문헌10)에서 정력자(葶藶子)로 기술된 附品인 꽃다지의 종자와도 구분되었다. 하지만 효능에서의 비교검증이 확인되는 단계까지는 꽃다지의 종자 혼입은 자제해야 할 부분이라는 점에서, 한약재 감별의 의의성이 있다고 보겠다.

3. 향후 사원자(沙苑子)와 정력자(葶藶子)로 유통되어지는 전체종류에 대한 약효면에서의 同等수준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근거로 최종적으로 正品 附品 僞品의 구분확정이 있어야 할 것이다.

Ⅳ. 결론

크기가 미세하여 관능 및 단순확대경검사를 통해서는 감별이곤란한 종자류 2품목 8종 한약재(正品 沙苑子, 附品 2종 沙苑子, 僞品 2종 黃芪子, 正品 2종 葶藶子, 附品 1종 葶藶子)를 대상으로 stereoscope를 활용하여 감별기준을 설정한 바,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1.자연 상태

1.沙苑子와 黃芪子의 기원식물은 모두 Astragalus屬에 속하는 식물로서 ①줄기의 직립 혹은 平臥의 상태 ②꽃의색깔 ③小葉의 개수 ④과실의 털의 有無의 순서로 구분이가능하였다.

2.3종 葶藶子의 기원식물은 ①根生葉과 莖生葉으로의 구분有無 ②식물체 크기의 大小 ③잎의 분열 모양 ④꽃의 색깔과 果實의 모양의 순서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2. 한약재 상태

1.沙苑子와 黃芪子의 구분은 ①종자표면의 무늬 有無 ②크기의 차이 ③質의 强度의 순서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2.3종 葶藶子의 구분은 ①크기의 차이 ②모양 ③씹었을 때의 粘性의 유무 및 정도 차이 ④水浸泡시의 점액층형성정도 차이의 순서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내용에 근거하여 正品과 附品 및 僞品에 대한 분류검색 기준표(identification key)를 자연상태와 한약재 상태로구분하여 제시하는 바이며, 이를 활용하면 정확한 한약재 감별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관능검사에 한계성을 가지고 있는 미세종자류 한약재의 경우에, stereoscope를 활용한감별이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7년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본초도감’편찬을위한 기원식물 및 약재 자료 수집]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The Korean medicine development institute. Establishing foundation by korean herbal medicine-Construct bank of herbal resources. The Korean medicine development institute. 2006
  2. Kim JH, Lee KS, Choi GY, Kim YS :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t Species of Medicinal Herbs Used as Jeonho (Qianhu) Using Morphological Appearance and Chromatographic Fingerprint. Kor. J. Herbology. 2012;27(3):15-21.
  3. Ji CY, Kim TJ, Lee SH, Kim YS, Lee GS, Kim JH, Choi G, Ju YS.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Fin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I) - Celosiae Semen, Celoisae Cristatae Semen, Cuscutae Semen, Perillae Semen. J Korean Med. 2013;34(3):1-12. https://doi.org/10.13048/jkm.13008
  4. Kim YS, Ju YS. :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Minut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II) - Alli Tuberosi Semen, Alli Fistulosi Semen, Malvae Semen, Abutili Semen, Plantaginis Semen, Schizonepetae Semen. Kor. J. Herbology. 2016;31(4):61-9. https://doi.org/10.6116/KJH.2016.31.4.61.
  5.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orean Medicinal Materials vol 1, 2. Seoul : Geobook Publishing. 2015:128-31.
  6. Chen GT. General explanation of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Beijing : Xueyuan chubanshe. 1992:876-7.
  7. The Xinwen Feng Publishing Company. Dictionary of Chinise herbal medicine. The Xinwen Feng Publishing Company. 1982:917-9, 2102, 2248-9.
  8. Zai SM. Identification Manual of Chinese medicine. Kai Yip Book. 1985:290-3, 1043-6, 1050.
  9. Mao WS, Yan ZH, Mao XM, Liu SL. Herbal authenticity of identification. 1987:290, 457-9, 460.
  10. Zai SM. Chinese Medicinal Materials Science. Kai Yip Book. 1987:566, 977-8, 1007-8.
  11. Ren RN. Identification study of Chinese medicine.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88:113, 376-8, 390.
  12. Guangxi Provincial Institute for Herbal medicine. Primary color illustrated book to identify Chinese herbal medicines. Guangxi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1991:130-1.
  13. Hom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inese Herbal medicine.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99:3;2349, 4;2969, 2974
  14. Yan WM. Chinese herbal medicines Authenticity.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00:270-1, 472.
  15. Zhang GJ. The Modern Practical Chinese identification techniques.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00;385-6, 753-4.
  16. Xiao PG. New Chinese medicine Journal. Chemical Industry Press. 2002:2;315-22, 584-90.
  17. Chinese Herbal medicine and Biological Products, Guangdong Provincial Institute for Herbal medicine. Chinese herbal medicines authenticity of identification dictionary<3>. Guangdong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2005:103, 105, 161-2, 166.
  18. Zhang SJ. Chinese Medicinal Herbs identify the user manual. Guangdong Tourism Press. 2005:376-8.
  19. Yang SC. Essentials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Authentication. Hen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06:124, 144-5.
  20. Sin JH, Sin YW. Hyangyak Herbal medicine of HyangyakJipseongbang. Keimyung University Press. 2006:153
  21. Lee GF, Zhang JL. Rapid identification of Chinese herb commonly used in. Ancient Chinese medicine Press. 2007:176-7, 222-3.
  22. Wang ME, Pei HR. TCM character identification training material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ss. 2008:209-10
  23.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n herbal medicine discriminate Book. Homi Publisher. 2009:187, 196-7.
  2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Guideline on the Visual and Organoleptic Examination of Herbal Medicine.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0:4;88, 5;88-9.
  25. Chen SL, Lin YL. Zhongyao yinpian biaozhuntujian. Fujian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 2013:329, 602-3.
  26.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s. Herbology [Boncho-hak]. Seoul : Young-Lim Press. 2016:520-1, 620-1.
  27. Ju YS. Ungok's illustrated guide to medicinal materials. Jeonju: Woosuk Press. 2017:266-7, 502-3.
  28. Editorial Committee of FRPS (eds.). Flora Republicae Popularis Sinicae, Beijing: Science Press. 1993: 42(1);110, 131, 133, 175, 271-2.
  29. Editorial Committee of FRPS (eds.). Flora Republicae Popularis Sinicae, Beijing: Science Press. 1987: 33;57, 173, 448.
  30. Yang S, Kim W, Choi G, Yeo S, Moon B. Korean Herb. Med. Inf. 2016;4(3):2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