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uidance Efficacy Scale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척도개발 연구

  • Received : 2019.04.27
  • Accepted : 2019.06.12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Guidance Efficacy Scale based on guidance and teacher-efficacy theory. Methods: This subjects were 243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Resul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of 4 factors, namely, guidance efficacy for problem behavior, children understanding, home-connected, basic life habits. In addition,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area score and the overall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guidance efficacy scale(r = .26 ~ .72, p < .001).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of each sub scale were reasonably accept. Conclusion/Implications: 'The guidance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appropriate tool. Therefore, the developed scale can become a useful tool to measure the overall guidance efficacy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개념을 규정하고, 실제 유아교육기관에서 생활지도의 구성요인을 밝혀,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생활지도의 내용을 추출하고 국내, 외 교사효능감 이론 및 척도에 대한 고찰에 근거하여 83개 예비문항을 선정하였고 델파이방법에 의해 61개 문항을 선정하여 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에 대한 응답을 구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한 결과, 4요인 51문항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21문항, 유아이해 효능감 11문항, 가정연계 효능감 12문항, 기본생활습관지도 효능감 9문항)이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최종척도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문항양호도 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 문항간 내적 합치도와 반분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본 척도가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석영, 이규명, 이은상, 방인옥, 김명숙(2000). 유아 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2. 교육과학기술부(2010). 2010학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 표준매뉴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 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4. 김계현, 김동일, 김봉환, 김창대, 김혜숙, 남상인, 조한익(2005).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5. 김명희(2011).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간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미진(2003).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민숙(2016).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문제행동 관리 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선영, 서소정(2010). 유아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31(4), 91-110.
  9. 김순남(2000). 유치원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따른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연하, 김양은(2008).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8(2), 169-191.
  11. 김은심, 박수미(2003).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에 따른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수 실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2), 241-266.
  12. 김은영(2013).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및 수행 여부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0(2), 121-145. doi:10.24211/tjkte.2013.30.2.121
  13. 김정미(2015). 영유아 교사 효능감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5(4), 55-72. doi:10.18023/kjece.2015.35.4.003
  14. 김충기, 김성곤(2007). 생활지도와 상담. 서울: 한국가이던스.
  15. 김태연, 정현심(2015).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관련 연구 동향. 한국보육학회지, 15(2), 109-128.
  16. 김태호(2004). 학생생활지도와 상담. 서울: 학지사.
  17. 김희진, 이분려(1999).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외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사교육, 16(1), 161-181.
  18. 노형진(2001). 한글 SPSS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서울: 형성출판사.
  19. 박은영, 조은정, 정주선(2015). 만 3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 놀이성 및 기본생활습관과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3), 193-218.
  20. 박정옥(2009). 교수 방법이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백경순(2013).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3), 393-411.
  22.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2004).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49-69.
  23. 신희경, 김언주, 민현숙, 정찬우(2009). 학습자의 동기 유발을 위한 교육심리학. 서울: 신정.
  24. 심윤희(2007).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헌신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엄세진(2006).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윤은경, 이미나(2012).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노래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2(4), 229-247.
  27. 이보람(2013).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순형, 김유미, 김은영, 김진경, 김태연, 서주현, 안혜령(2013). 아동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29. 이재창(2005). 생활지도와 상담. 서울: 문음사.
  30. 이정미(2018). 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정아란, 김영철(2014). 조손가정의 격대교육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4(2), 103-132.
  32. 정옥분(2013).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33. 조복희(2009). 아동연구의 방법. 파주: 교문사.
  34. 조영란, 김희화, 공유경(2009).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에 대한 개인적 변인과 대인관계 변인의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3), 437-448.
  35. 조운주, 최일선(201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생활 지도. 서울: 창지사.
  36. 홍석기, 이규미(2011).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초등교육연구, 24(4), 121-142.
  37.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38.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oi:10.1037/0033-295X.84.2.191
  39. Bandura, A. (1999). 자기 효능감과 인간행동: 이론적 기초와 발달적 분석(김의철, 박영신, 양계민 역). 서울: 교육과학사(1997 원저 발간).
  40. Devries, R., & Zan B. (1994). Moral classrooms, moral children: Creating a constructivist atmosphere in early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41.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694-706. doi: 10.1111/j.1949-8594.1990.tb12048.x
  42. Enochs, L. G., Smith, P. L., & Huinker, D. (2000).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4), 194-202. doi:10.1111/j.1949-8594.2000.tb17256.x
  43.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doi:10.1037/0022-0663.76.4.569
  44. Gibson, R. L., & Mitchell, M. H. (1999). Introduction to counseling and guidance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45.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doi:10.1002/sce.3730740605
  46. Schwarzer, R., & Hallum, S. (2008). Perceived teacher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job stress and burnout: Mediation analyses. Applied Psychology, 57(s1), 152-171. doi:10.1111/j.1464-0597.2008.0035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