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orea

유아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국내 최근 연구의 경향 분석

  • Chun, Hui Young (Department of Child Welfare, Kosin University) ;
  • Park, Soyeon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Child & Adolescent Development) ;
  • Sung, Jihyun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9.04.30
  • Accepted : 2019.06.12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cusing on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16 to 2019 March. Methods: A total of 26 research publications on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arched from Korea Citation Index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were identified for the analysis. The trend in these publications was classified and examined respectively by publication dates, types of publications, and the fields of study. To investigate a means of research, the analysis included key topics, types of research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number of publications on the topic of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increased over the three years, of which most were published as a scholarly journal article. Among the 26 research studies analyzed, 16 (61.5%) are related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child studies. Key topics and target subjects of the most research include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or the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on 4- and 5-year-old children. Most of the analyzed studies are experimental research designs or in the form of literature review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research variable is young children's cognitive characteristics. For the studies that employ educational programs, the use of a physical computing environment is prevalent,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robot as a programming tool is "Albert". The duration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varies, ranging from 5 weeks to 48 weeks. In the analyzed research studies, computational thinking is conceptualized as a problem-solving skill that can be improved by software education, and assessed by individual instruments measuring sub-factors of computational thinking. Conclusion/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reveals that, although the number of research publications in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increased, the overall sufficiency of the accumulated research data and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re still lacking. An increased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more research activities in this area are needed to develop and implemen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software education program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본 연구는 2016년부터 3년간 발표된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국내 최근 연구들의 경향을 게재 경향과 연구방법의 측면에서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분석대상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과 국가학술연구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검색된 유아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연구 26편이었다. 발표된 연구의 게재 경향은 발표 연도, 발표 형식, 학문 분야의 범주에 따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연구의 주제 특성과 연구방법 유형, 그리고 연구변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연구의 게재 경향 측면에서 살펴본 바, 2016년부터 최근 3년간 발표된 연구 편수는 연도별로 점차 증가하며, 학술지 논문 형태로 대다수가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분석대상의 61.5%(16편)가 유아교육 및 아동학 관련 학문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이었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먼저, 연구의 주제와 연구대상 관련하여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또는 만4세와 만5세를 대상으로 효과 검증을 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문헌연구방법 (각 8회), 조사연구(7회)의 순으로 많이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의 특성으로서 많이 다루어진 측정변인은 유아의 인지적 특성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적용된 프로그램의 특성과 관련하여, 첫째, 프로그래밍 도구 환경을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가장 많은 6편의 연구가 피지컬 컴퓨팅 환경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래밍 도구 로봇 중에서는 Albert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은 5주~48주로 차이가 있었다. 분석대상 연구들에서 컴퓨팅 사고력은 소프트웨어 교육에 의해 향상되는 문제해결 능력으로 개념화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하위요인별 개별도구로써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연구가 최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연구 편수의 축적과 연구방법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교육부(2015. 9).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 고시.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141&boardSeq=60747&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21&s=moe&m=0503&opType=N에서 2019년 3월 2일 인출
  2. 김대욱(2019). 컴퓨팅 사고력에 기초한 유아를 위한 언플러그드 코딩의 개념과 전략. 문화기술의융합, 5(1), 297-303. doi:10.17703/JCCT.2019.5.1.297
  3. 김돈정(2016). 초등학교 돌봄교실 환경에서 로봇기반 프로그래밍 학습효과의 지역 및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창의성, 문제해결력 몰입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민정, 이원규, 김자미(2017). 컴퓨팅사고력 측정에 사용되고 있는 도구 분석을 통한 새로운 검사도구 개발방향 제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6), 17-25.
  5. 김민정, 정희진(2017).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아동코딩교육 콘텐츠의 특징과 시사점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1), 21-31. doi:10.18208/ksdc.2017.23.1.21
  6. 김상언(2018).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로봇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 박사학위논문.
  7. 김상희, 김상언(2017). 유아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와 초등학생 로봇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8(5), 859-868. doi:10.9728/dcs.2017.18.5.859
  8. 김영옥(2016). 빅데이터 관련연구의 현황과 한국 유아교육학의 과제. 유아교육연구, 36(6), 181-206. doi:10.18023/kjece.2016.36.6.008
  9. 김윤정(2018). 대학생의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 쓰기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워드 클라우드의 핵심어 활용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0(8), 403-444.
  10. 김재경(2018).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을 중심으로. 창의정보문화연구, 4(1), 13-23. doi:10.32823/jcic.4.1.201804.13
  11. 김재휘, 김동호(2016).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1), 69-82. doi:10.14352/jkaie.2016.20.1.69
  12. 김정랑(2018). 언플러그드 활동의 체계적 문헌고찰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1), 103-111. doi:10.14352/jkaie.2018.22.1.103
  13. 박남기(2017).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 패러다임 탐색. 교육학연구, 55(1), 211-240.
  14. 박남수(2018). 게임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백종수(2016). 초등학교에서의 창의융합 인재양성.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개소 25주년 기념 워크숍 자료집(pp.16-25). 부산: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16. 서영상, 오연재, 김응곤(2016). 영유아 사고력 발달 증진을 위한 칼라블록 놀이 코딩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지, 11(12), 1251-1258. doi:10.13067/JKIECS.2016.11.12.1251
  17. 신승기, 배영권(2018). 미국 컴퓨터교육 프레임워크 분석을 통한 Computational Thinking의 개념과 교육과정 편성의 시사점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2), 251-262. doi:10.14352/jkaie.2018.22.2.251
  18. 안장수(2018). 초.중.고 소프트웨어(SW) 교육을 위한 국내 컴퓨팅 사고력 연구동향 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양수영(2018). 뇌 과학에 근거한 영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7(1), 61-83. doi:10.21183/kjcm.2018.03.17.1.61
  20. 양창모(2014).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2), 317-324. doi:10.14352/jkaie.2014.18.2.317
  21. 유구종, 오세경, 김은아(2018). 하브루타 교육방법에 기초한 유치원 코딩 로봇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행동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3(5), 383-418. doi:10.20437/KOAECE23-5-17
  22. 유구종, 유지성, 강지은(2017). 유아교육 현장의 ICT 매체 활용 교육활동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4), 309-328. doi:10.20437/KOAECE22-4-14
  23. 윤보란(2019). 기술수용요인이 코딩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경진(2016). 유아교사의 학습지원 상호작용과 유아의 실행기능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민영(2017). 코딩(Coding)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 및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애화(2018). 국내 소프트웨어교육 연구동향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2), 277-301. doi:10.15833/KAFEIAM.24.2.277
  27. 이연승, 성현주(2017). 코딩용 로봇, 비봇(Bee-Bot)을 활용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6(3), 261-281. doi:10.21183/kjcm.2017.09.16.3.261
  28. 이영준, 백성혜, 신재홍, 유헌창, 정인기, 안상진, 최정원, 전성균(2014. 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500007885에서 2019년 3월 2일 인출
  29. 이우리(2018). 스마트로봇 알버트BT를 활용한 코딩 교육이 만 5세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재호, 장준형(2018). 컴퓨팅 사고력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창의정보문화연구, 4(3), 273-283. doi:10.32823/jcic.4.3.201812.273
  31. 이정민, 박현경(2017). 국내 로봇활용 SW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2006년-2016년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190-205. doi:10.5392/JKCA.2017.17.10.190
  32. 임명숙, 이경화(2018).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이 창의성(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변화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8(2), 67-86.
  33. 임호찬(2004). 한국판 레이븐 지능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34. 전경원(1999).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재표준화). 서울: 학지사 부설 학지심리연구소.
  35. 정다원(2018).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매체 활용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민경, 박선미(2018).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활용한 STEAM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705-724. doi:10.22251/jlcci.2018.18.3.705
  37. 정웅열, 이영준(2018). 컴퓨팅 사고력 평가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26(2), 269-270.
  38. 조준오, 박창현, 홍광표(2017).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83-106. doi:10.22251/jlcci.2017.17.3.83
  39. 조준오, 홍광표(2017).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5), 557-583. doi:10.22251/jlcci.2017.17.15.557
  40. 조혜진(2001).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다중지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천희영(2018).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자질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1), 227-248. doi:10.14698/jkcce.2018.14.01.227
  42. 천희영, 최은아, 김종민(2016). 유아와 아동을 위한 로봇 관련 최근 국내 연구의 경향 및 R-러닝 효과의 메타분석. 생애학회지, 6(2), 97-125. doi:10.30528/jolss.2016.6.2.004
  43. 최민숙(2018).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학교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최숙영(2018).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5), 25-35. doi:10.32431/kace.2018.21.5.003
  45. 최예나(2016. 9. 29). 유치원까지 코딩 사교육 열풍...초등학교엔 전문 교사 없어. http://news.donga.com/3/all/20160929/80534447/1에서 2017년 6월 25일 인출
  46. 최종배(2018).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을 위한 유아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소프트웨어 코딩 프로그램, 창의 인성 프로그램, 숲 체험 프로그램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최형신(2018).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 고찰. 교육공학연구, 34(3), 743-774. doi:10.17232/KSET.34.3.743
  48. 최형신, 김미송(2017).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3가지 상호보완적 접근 방안.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6), 639-646. doi:10.14352/jkaie.2017.21.6.639
  49. 한윤진, 정영식(2017).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분석. 정보교육학회 학술논문집, 8(2), 215-222.
  50. 한지원, 최연철(2018). 프로그래밍언어를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실행 과정에서 겪은 교사의 경험. 유아교육연구, 38(6), 91-115. doi:10.18023/kjece.2018.38.6.004
  51. 홍광표, 조준오, 박창현(2017). 유아 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 469-494. doi:10.22251/jlcci.2017.17.1.469
  52. 홍대선, 유미, 이형구(2018). 유아인지발달을 위한 코딩게임의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게임학회논문지, 18(5), 103-112. doi:10.7583/JKGS.2018.18.5.103
  53. 황지온, 황성온(2017).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5), 509-525. doi:10.14352/jkaie.2017.21.5.509
  54.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 Vancouver, BC, Canada.
  55. Fessakis, G., Gouli, E., & Mavroudi, E. (2013). Problem solving by 5-6 years old kindergarten children in a computer programming environment: A case study. Computers & Education, 63, 87-97. doi:10.1016/j.compedu.2012.11.016
  56. Kazakoff, E. R., Sullivan, A., & Bers, M. U. (2013). The effect of a classroom-based intensive robotics and programming workshop on sequencing ability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1(4), 245-255. doi:10.1007/s10643-012-0554-5
  57. Khan, K. S., Dinnes, J., & Kleijnen, J. (2001) Systematic reviews to evaluate diagnostic tests.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95, 6-11. doi:10.1016/S0301-2115(00)00463-2
  58. Lindh, J., & Holgersson, T. (2007). Does lego training stimulate pupils' ability to solve logical problems?. Computers & Education, 49(4), 1097-1111. doi:10.1016/j.compedu.2005.12.008
  59. Manches, A., & Plowman, L. (2017). Computing education in children's early years: A call for debat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8(1), 191-201. doi:10.1111/bjet.12355
  60. Papadakis, S., Kalogiannakis, M., & Zaranis, N. (2017). Improving mathematics teaching in kindergarten with realistic mathematical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5(3), 369-378. doi:10.1007/s10643-015-0768-4
  61. Portelance, D. J., Strawhacker, A. L., & Bers, M. U. (2016). Constructing the ScratchJr programming languag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26(4), 489-504. doi:10.1007/s10798-015-9325-0
  62. Scherer, R., Siddiq, F., & Sanchez Viveros, B. (2018). Learning to code - Does it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thinking skill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Hong Kong.
  63. Strawhacker, A., Lee, M., Caine, C., & Bers, M-U. (2015). ScratchJr demo: A coding language for kindergarten.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IDC '15), ACM, Boston, MA, USA.
  64.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doi:10.1145/1118178.1118215
  65. Wing, J. M. (2010. November). Computational thinking: What and why?. https://www.cs.cmu.edu/-CompThink/resources/TheLinkWing.pdf에서 2019년 2월 28일 인출

Cited by

  1. 발달에 적합한 유아기 컴퓨팅 교육의 방향에 대한 탐색 vol.39, pp.5, 201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5.005
  2. An Analysis of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Expressed During Software Activities Using Programming Language vol.41, pp.3, 2019, https://doi.org/10.5723/kjcs.2020.41.3.37
  3. 만5세 소프트웨어 수업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탐색 vol.10, pp.9, 2019,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9.183
  4. STEAM교육 접근에 의한 언플러그드 로봇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및 사회적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vol.16, pp.5, 202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