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 - 「개인정보보호법」과의 충돌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olicy Improvement for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Law

  • 권도현 (성균관대학교) ;
  • 박종익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과교실) ;
  • 안용민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Kwon, Do-Hyun (Sungkyunkwan University) ;
  • Park, Jong-Ik (Department of Psychia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 Yong-Min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투고 : 2019.09.15
  • 심사 : 2019.09.27
  • 발행 : 2019.09.30

초록

자살예방의 필수적인 정책은 바로 자살재시도율 관련 지표 수집 및 이에 기초한 추적조사를 통해 자살 시도자들을 지속적으로 관리 및 치료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서 사례관리에 동의한 대상자들만이 추적 관찰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연구 참여율 및 서비스 참여율이 저조하여 연구 참여자가 자살기도자의 일부에 국한된다는 한계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자살예방법」 제14조 및 제20조에 따라 자살예방정책의 실질적 활용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보건복지부법령에서 개선되어야 할 정책적 제안들을 비교 정책적으로 고찰하였다. 정책적 개선을 위한 기준으로서 기술적, 윤리적인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정보의 비식별화 조치 및 비영리 연구, 치료 목적으로만 의료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으며, 한국형 중증도 분류 체계의 기준에 의해 외과적인 중증도와 더불어 자살위험도 평가를 통해 자살에 관한 심각성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추적관찰 여부의 객관적 판단을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즉각적인 정신과적 치료의 연계와 더불어 자살 시도자 및 보호자가 정신과적 진료에 실제로 접근함에 있어 진입장벽으로 여기는 건강보험 적용의 문제해결을 위해 효과적인 사례관리를 위한 사례관리 전문 교육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추가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essential policy of suicide prevention is to continuously manage and treat suicide attempted people through data base related to suicide retry rate and follow-up study report. In Korea, only few people are allowed to follow-up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s a result, the research participation rate and the service participation rate are rather low, so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is limited to a part of the suicide attempted people. Therefore, the policy proposals to be improved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ct were examined compara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 utilization of the suicide prevention about Article 14 and Article 20 of the Suicide Prevention Act. As a criterion for policy improvement, measures for non-discrimination of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technical and ethical dimensions and non-profit research and medical information for medical purposes were suggested. In addition to the severity of the suicide, the suicide risk was assessed and the criteria for the objective assessment of the follow-up observation we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severity of the suicid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정, "자살예방정책의 우선순위 및 추진방식 효율화 방안조사", 2013. 10.
  2. 김정수.송인한, 자살예방 국가전략 비교: WHO 프레임워크로 분석한 뉴질랜드.미국.아일랜드.잉글랜드.스코틀랜드.호주 및 대한민국의 국가전략.
  3. 김철수, 학설판례 헌법학, 박영사, 2008.
  4. 김철수, 헌법학신론 제19전정신판, 2009.
  5. 안용민, 서울대병원,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관리지원 시스템 개발 연구, 2013.11.
  6. 정재황, 新 헌법입문, 박영사, 2010.
  7. 국가정책조정회의, 정신건강 종합대책, 2016.02.25.
  8. 보건복지부, 서울대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지원 사업계획, 2012.2.9.
  9.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 2019년 자살예방백서(2017년 통계기준).
  10. 보건복지부,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 성과지표 개발 및 적용, 2016.
  11. 보건복지부/서울대학교병원 안용민, 2013 자살실태조사, 2013.
  12. 자살위기개입 핸드북,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2018.
  13. 한국정보보호진흥원,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한계와 제한에 관한 연구, 2001.
  14. 행정법제국, 북유럽 국가의 빅데이터 활용 및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제 현황 조사 및 연구를 위한 국외출장 결과 보고서, 2015.
  15. 강은정(순천향대학교), "자살예방정책의 우선순위 및 추진방식 효율화 방안조사", 2013. 10.
  16. 김서현.임혜림, "미국과 영국의 공공영역 자살예방 주요 정책과 운영체계 연구: 한국 자살예방정책 운영에의 함의 도출을 중심으로", 서울시정신보건센터 제3권, 2013. 47-56면.
  17. 김혜련, "통계목적의 개인정보보호와 비식별화", 통계연구 특별호, 통계청, 2016. 35-51면.
  18. 박노형, "빅데이터 관련 주요국가의 개인정보보호 법제도 분석에 따른 한국 개인정보 보호법 개선의 검토", Naver Privacy White Paper. 2016.
  19. 박현정.박종익, "자살예방을 위한 법적․ 제도적 연구-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을 중심으로", 동아법학 제57호, 2012. 11. 85-118면.
  20. 배상빈.우종민, "의학적 측면의 자살방지 대책: 외국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의사협회지 2011. 3. 386-392면.
  21. 보건복지부.가톨릭대학교 임현우 외 10명,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를 위한 정보연계방안 연구", 2016.
  22. 보건복지부.서울대학교병원 송경준,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성과 지표 개발 및 적용", 2016.
  23. 윤종수, "인터넷 산업에 대한 법적 규제 및 활성화 방안", 저스티스 통권 제121호, 2010. 732-765면.
  24. 전현구, "자살예방사업 실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2015.
  25. 정재황, "국가권력의 조직행사에 관한 헌법적 기본원리에 관한 연구", 홍익법학 제4집, 홍익대학교법학연구소, 2002.
  26. 정재황, "언론.출판의 자유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고시계 445, 국가고시학회, 1994.
  27. 티모 파르토넨 MD(핀란드 복지연구원 연구교수),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국제사회보장리뷰 2018 봄호, pp. 5-15.
  28. 허완중, "헌법재판소결정에 따른 입법자의 의무-기본권의 충돌과 그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헌법논총 22집, 헌법재판소, 2011.
  29. 가와니시 치아키, "자살기도자 대응", Jpn J Psuchosom MEd, 2016.
  30. 가와니시 치아키, 자살예방학, 2013. 씨엔비, (이국희 역).
  31. WHO, "WHO 자살시도자 감시체계", 2016.
  32. EU, "Monitoring Suicide Behavior in Europe", 2006. 6.
  33. 뉴질랜드, "응급실에서 자살위험성 선별전략", 2016.
  34. 미국, "National Violence Injury Statics System", 2002.
  35. 스코틀랜드, "자살위험성 관리: 정보공유 및 보호, 기밀유지에 관한 실무지침", 2011.
  36. 호주, "호주의 자살시도 이후의 의료",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