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Variables of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현직 초등 교사의 변인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SE-TE) 차이 분석

  • 이소율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9.02.12
  • Accepted : 2019.07.18
  • Published : 2019.07.31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SE-TE)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gender, region, training experience, and attitude toward SW education.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gion,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variable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raining experience and the attitude toward the SW education had the most correlation and explanatory power to the SE-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aining should be designed in order to enhance the teachers' SE-TE,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of training, to provide continuous training, to operate the training hours efficiently, and to improve the teachers' personal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들의 성별, 지역, 교육 경력, 연수 경험의 유무 및 시간, SW 교육에 대한 태도를 변인으로 선정하여, 변인에 따른 SW 교육 교수효능감(SE-TE)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수 경험의 유무 및 시간과 SW 교육에 대한 태도가 SW 교육 교수효능감에 가장 상관과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들의 SE-TE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SW 교육 연수 기회의 확대 및 지속적인 연수의 제공과 효율적인 연수 시간의 운영, 그리고 교사의 개인적 SW교육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연수가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했다.

Keywords

References

  1.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ISBN 1944835008.
  2. Wing, J.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 (3).
  3. 이영준.백성혜.신재홍.유헌창.정인기.안상진.최정원.전성균 (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4. 김홍래.이승진 (2013). 외국의 정보 (컴퓨터) 교육과정 현황 분석. KERIS 이슈리포트.
  5. 교육부 (2018), 2015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6. 교육부 (2015).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05-74호
  7. 이소율.이영준 (2017). 초등 교사의 정보 교수 효능감 향상을 위한 EPL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5), 35-47. https://doi.org/10.32431/KACE.2017.20.5.003
  8. 박만재.이철현 (2016).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 (3), 21-41.
  9. 허희옥.서정희 (2018). 해외 사례 검토를 통한 국내 SW교육 교사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교육공학연구, 34(3), 711-741.
  10.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1. Gibson, S.,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4), 569.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12. Ashton, P.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13. Siegle, D., McCoach, D. B. (2007). Increasing student mathematics self-efficacy through teacher training.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18, 278-312.
  14. 량도형 (2007). 수학 교수 효능감 도구 MTEBI 한글판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A, 46(3), 263-272.
  15. 임청환.정진표 (2002). 교사의 과학 교과 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NRF) 연구성과물.
  16. Bleicher, R. E. (2004). Revisiting the STEBI-B: Measuring Self-Efficacy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4 (8), 383-391.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4.tb18004.x
  17. Enochs, L. G., Smith, P. L., Huinker, D. (2000).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 (4), 194-202.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0.tb17256.x
  18. 이소율.이영준 (2018). 초등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SE-TEBI)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6), 93-103.
  19. 이현주.신종호.최효식.이유경 (2011). 중등교사의 배경변인과 사회심리적 변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4), 95-124.
  20. 이소율.이영준 (2018). 현직 초등 교사의 SW 교육 연수경험에 따른 교수효능감 차이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1), 7-9.
  21. 양미석.김정겸.김기덕 (2017). 중등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 관련된 변인 연구. 글로벌교육연구, 9(3), 77-104.
  22. 황해익.송연숙.최혜진.손원경 (2014). 영유아아동연구에서의 SPSS 자료분석. 서울: 창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