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artial Scoring in Text Based Program Evaluation

텍스트 기반 프로그램 평가에서 부분점수 구성에 관한 고찰

  • 이재영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학과) ;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Received : 2019.01.31
  • Accepted : 2019.03.18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The evaluation of programs related to SW development often only provides the right answer of the student's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abou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evaluation support the teacher's class and which par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partial scoring. To accomplish the goal, we had two months of Python lessons for 90 middle school students in free-semester and analyzed 1185 source codes collected during the lessons. Result of analysis, many students made mistakes about syntax errors and teachers considered logic errors as important. Based on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tudent's syntax errors and teachers need to evaluate student's program with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ogical aspects and necessary to devise a partial scor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bout consideration of program eval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support and evaluation.

SW 개발과 관련된 프로그램 평가는 학생이 작성한 결과물에 대한 정답 여부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평가의 내용이 교사의 수업을 지원하고, 부분점수 제공에서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운영 중학교 90명을 대상으로 2개월 간 파이썬 수업을 진행하고, 과정에서 수집된 1185개의 소스코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의 실수가 많은 오류는 '문법오류'이며, 교사들은 '논리오류'를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잦은 문법오류를 줄일 필요가 있으며, 교사는 평가에서 논리적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부분점수를 고안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평가를 학습 지원과 평가의 관점으로 고려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우호성.김자미.이원규 (2017).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1), 27-38. https://doi.org/10.32431/KACE.2017.20.1.003
  2. 안영희.김자미.이원규 (2016). 메타학문인 정보학을 모태학문으로 하는 교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3), 1-10. https://doi.org/10.32431/KACE.2016.19.3.001
  3. 양혜지.김자미.이원규 (2018). 해외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문화소양 관련 내용 요소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3), 1-10. https://doi.org/10.32431/KACE.2018.21.3.001
  4. 윤일규.김현철 (2018). 초.중등 학부모의 정보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한 정보교과 공교육 정착 방안 탐색.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2), 31-40. https://doi.org/10.32431/KACE.2018.21.2.004
  5.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80호 별책 1(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의 부칙개정).
  6. K-12 Computer Science Framework Steering Committee. (2016). K-12 computer science framework.
  7. 김자미.이원규 (2014).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6), 1-11. https://doi.org/10.32431/KACE.2014.17.6.001
  8. 김자미.이원규 (2016).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5), 27-40. https://doi.org/10.32431/KACE.2016.19.5.003
  9. 김경규.이종연 (2016). 컴퓨팅 사고력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의 효과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1), 27-39. https://doi.org/10.32431/KACE.2016.19.1.004
  10. 교육부 (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교육부(교육과정정책과).
  11. 안성훈 (2016). 초.중학교 SW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평가 지표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4), 11-20. https://doi.org/10.32431/KACE.2016.19.4.002
  12. 김재경 (2017). 컴퓨팅 사고 개념 학습과 프로그래밍 역량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6), 27-36. https://doi.org/10.32431/KACE.2017.20.6.003
  13. Kurnia, A., Lim, A., & Cheang, B. (2001). Online judge. Computers & Education. 36(4), 299-315. https://doi.org/10.1016/S0360-1315(01)00018-5
  14. Brito, M. A., & de Sa-Soares, F. (2014). Assessment frequency in introductory computer programming disciplin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0, 623-628. https://doi.org/10.1016/j.chb.2013.07.044
  15. Wang, G. P., Chen, S. Y., Yang, X., & Feng, R. (2016). OJPOT: online judge & practice oriented teaching idea in programming courses.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41(3), 304-319. https://doi.org/10.1080/03043797.2015.1056105
  16. Jonsson, A., & Svingby, G. (2007). The use of scoring rubrics: Reliability, validity and educational consequence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2(2), 130-144. https://doi.org/10.1016/j.edurev.2007.05.002
  17. 김민자.유길상.김현철 (2017).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수업 창의적 산출물의 컴퓨팅 사고력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2), 1-11. https://doi.org/10.32431/KACE.2017.20.2.001
  18. 최형신 (2014).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평가 루브릭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1), 57-64.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1.57
  19. Sherman, M., & Martin, F. (2015). The assessment of mobile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Computing Sciences in Colleges, 30(6), 53-59.
  20.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Proceedings of the 2012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 1-25.
  21. 문외식 (2006). 초등학생들이 프로그래밍 학습시 발생하는 오류유형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1(2), 319-327.
  22. 남재원.유인환 (2011). 오류분석에 기반한 NXC 로봇프로그래밍 지원시스템의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3), 375-385.
  23. 김지선.김영식 (2014). 온라인 프로그래밍 개념학습 성취수준과 오류유형과의 관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5), 43-51. https://doi.org/10.32431/KACE.2014.17.5.005
  24. 장혜선.최숙경.전수진.염용철.이원규 (2007). 컴퓨터교과교육: 에러 피드백 기반의 초보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학습 지원 시스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6), 1-10. https://doi.org/10.32431/KACE.2007.10.6.001
  25. Murray, W. R. (1988). Automatic program debugging for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London: Pitman.
  26. Vipindeep, V., & Jalote, P. (2005). List of common bugs and programming practices to avoid them. Electronic, M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