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Review on Civil Money Penalties in Aviation Law

항공 과징금 제도의 비교법적 검토

  • Received : 2019.06.15
  • Accepted : 2019.06.28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In 1984, Congress enacted a new measure of administrative sanctions which is a civil money penalty program for violations of Aviation Act and its implementing regulations. This civil money penalty system has been in operations in lieu of suspending or revoking certificates issued by Korean govern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rules of Aviation Business Act or Aviation Safety Act, where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hould order an air carrier to suspend operation because of her violation under certain rules, in which case the suspension of operation is likely to cause serious inconvenience to consumers of air transport services or to harm public interest, the Minister of the department may impose an administrative monetary penalty in lieu of the suspension of operation. In this regard, airline related civil money penalti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fair trade, which is the origin of the money penalties system in Korea. Civil money penalties in the field of fair trade are imposed on executive duty violations that undermine the value of the market economy order, and focus on reimbursement of profits due to violations and compensation for unfair spending by consumers. However, in the aviation sector, breach of duty by a business operator does not simply cause the property loss of the public, but it has a direct impact on life or property of the public. In this respect, aviation penalties are more likely to be administrative sanctions or punitive measures than refunds of unfair benefits, compared to penalties in the field of fair trade. In general, civil money penalties have been highly preferred as administrative sanctions because they are subject to investigations by administrative experts and thus, efficiency can be ensured and execution is quicker than judicial procedures. Moreover, in Korea, because punitive civil damages cannot awarded by the courts, the imposition of civil money penalties is recognized as a means of realizing social justice by recognizing the legal feelings of the people. However, civil money penalties are administrative sanctions, and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y are similar to criminal fines, which are a form of punishment. Inadequate legislation and operation of penalties imposition may cause damage to the value of Constitution. Under the above recognition, this paper has been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civil money penalties imposition system and operating status in the area of air transport under the laws and regulations in Korea. Especially, this paper was focused on exploring the problem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Korean system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with foreign laws and regulations.

항공운송에서 법령상 의무를 위반한 사업자에 대해 행정부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행정제재를 조치할 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금전적인 행정제재인 과징금이다. 행정제재로서 과징금 부과제도는 1980년대 공정거래 분야에서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되었는데, 항공관련 법령에서의 도입은 1984년 개정 <항공법>에서 이루어졌다. 현재 항공 관련 과징금은 <항공사업법>이나 <항공안전법>에 규정되어 있다. 법률에 따르면 항공 사업자가 행정상 의무를 위반하여 영업의 정지를 명하거나, 부여한 자격증명이나 승인의 효력을 정지하는 것이 사업의 이용자 등에게 심한 불편을 주거나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 그러한 정지조치에 갈음하여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 이점에서 항공관련 과징금은 우리나라 과징금 제도의 원류라 할 수 있는 공정거래 분야의 과징금과 다소 차이를 보인다. 공정거래 분야에서는 시장경제 질서의 가치를 훼손하는 행정상 의무위반 행위에 대해 과징금이 부과되고, 위반행위에 따른 이익의 환수와 소비자의 부당한 지출을 보상하는 역할에 주목한다. 하지만 항공분야에서 사업자의 의무위반행위는 단순히 국민의 재산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항공교통이용자의 생명이나 신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점에서 항공 과징금은 공정거래 분야의 과징금과 비교할 때 부당이득의 환수 보다는 행정행위의 실효성 확보 수단으로서 행정적 제재 혹은 징벌의 성격을 강하게 가진다. 일반적으로 과징금은 행정 전문가에 의한 조사절차를 거치므로 효율성이 확보될 수 있고, 사법적 절차에 비해 신속한 집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행정적 제재수단으로 선호도가 높다. 더욱이 민사소송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이 인정되지 않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국민의 법 감정을 인지하여 사업자에게 철퇴를 가함으로써, 과징금 부과제도는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있고 이에 대한 여론도 상당히 호의적이다. 하지만 과징금은 어디까지나 행정행위의 실효성 확보수단일 뿐이다. 우리나라 항공관련 법률에 따른 과징금은 행정적 제재수단이면서 그 실효적인 측면에서는 형벌의 일종인 벌금과 유사하고, 더욱이 지나치게 고액의 과징금으로 인해 국가의 형벌권 집행 이상의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 나아가 과징금 부과제도의 부적절한 입법과 그 운영은 자칫 법치국가로서의 가치를 훼손할 우려를 낳기도 한다. 위와 같은 인식 하에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 항공관련 법령에 규정된 과징금 부과제도와 운영현황에 관한 현주소를 파악할 목적에서 기술되었다. 특히 외국의 항공관련 과징금 법령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우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탐구하는데 주력하였다. 아무쪼록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항공 산업의 발전과 공공의 이익이 함께 추구될 수 있는 방향으로 항공관련 과징금 부과제도가 합리적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법원 2001. 2. 9. 선고 2000두6206 판결
  2. 대법원 2002. 5. 28. 선고 2000두6121 판결
  3. 대법원 2002. 5. 28. 선고 2000두6121 판결
  4. 대법원 2002. 9. 24. 선고 2000두1713 판결
  5. 대법원 2004. 10. 14. 선고 2001두2881 판결
  6. 대법원 2004. 10. 27. 선고 2002두6842 판결
  7. 대법원 2006. 5. 12. 선고 2004두12315 판결
  8. 대법원 2006. 7. 27. 선고 2004두1186 판결
  9. 대법원 2010. 1. 14. 선고 2009두11843 판결
  10. 대법원 2011. 7. 14. 선고 2011마364 결정
  11. 대법원 2014. 10. 15. 선고 2013두5005 판결
  12. 대법원 2014. 5. 16. 선고 2012두13665 판결
  13. 헌법재판소 2001. 5. 31. 선고 99헌가18, 99헌바71.111
  14. 헌법재판소 2001. 5. 31. 선고 99헌가18, 99헌바71.111, 2000헌바51.64.65.85, 2001 헌바2(병합) 결정.
  15. "'땅콩회항' 과징금 28억원... 42개월 뒷북 징계", 한국일보 2018년 5월 18일자
  16. "과도한 항공산업 제재, 정책 일관성도 실종", 파이낸셜뉴스 2018년 12월 3일
  17. "항공사 과징금 납부액 매년 껑충...올해 과징금 규모 100억 넘어", 아주경제 2018년 10월 10일자
  18. 연구용역보고서 "과징금 부과제도 개선방안 연구", 농림수산식품부 (2011)
  19. 연구용역보고서 "과징금제도의 운용현황과 개선과제", 전국경제인연합회 CEO report on current issue (2002.5)
  20. 김남우, "현행 과징금 제도의 주요 쟁점과 그 해결방안", 경제법연구 (2011), 10(2)
  21. 김보현, 신영근, "공정거래법상 과징금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 사회과학연구, 제16권 2호 (2010)
  22. 민경환, "국내 항공법상의 제재수단에 관한 소고 : 과징금 제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국항공대학교 (2006)
  23. 신봉기, 경제규제입법에 있어서 과징금제도의 내용과 문제점, 단국대 법학논총 제18집 (1992. 10)
  24. 유경수, "미국의 항공법 위반행위 제재 프로그램 소개", 항공진흥 제30호(2003)
  25. 이상철, "행정심판대상의 범위 및 확대문제", 법제논단(2005)
  26. 이원우, "현행 금융감독법상 과징금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Business, Finance & Law 제15권,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06)
  27. 이창재, "미국 연방법규상 항공여객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8권 제2호(2013)
  28. 이호용, "공중위생업의 육성을 위한 기금 조성 방안", 한양법학 (2009) 20(2)
  29. 조성규, "과징금의 법적 성격에 대한 시론적 고찰", 행정법연구 제55권(2018)
  30. 지광석, "과징금의 부과 목적과 사용의 연계에 관한 정책적 고찰", 한국공공관리학보, 28(1), (2014) https://doi.org/10.24210/KAPM.2014.28.1.007
  31. 채우석, 과징금제도에 관한 일고찰, 토지공법연구 제22집(2004)
  32.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용역보고서, "과태료.과징금 부과기준 개선방안 연구", (2009. 08)
  33. 홍대식, "공정거래법상 과징금제도", 권오승 편저. 공정거래와 법치 (2004) 박영사
  34. 홍대식.윤미경, "부당한 공동행위로 인한 소비자피해액 규모의 측정에 관한 연구". 연구용역보고서, 공정거래위원회 (2006)
  35. Alan D. Meneghetti, Philip Perrota, Aviation Law 2019 United Kigdom, International Comparative Legal Guide
  36. Charles F. Krause, Aviation Tort and Regulatory Law (2nd Edition), Law Highlights
  37. Gabriel A. Moens and John Trone (2015)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In EU Judicial And Legislative Practice: Panacea Or Placebo?," Journal of Legislation: Vol. 41: Iss. 1, Article 2
  38. Miroslava Scholten, Michiel Luchtman, Law Enforcement by EU Authorities: Implications for Political and Judicial Accountability, Edward Elgar Publishing, 2017
  39. Rimson, Ira J., "Investigating 'Causes,'" Albuquerque, N Mex,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Air Safety Investigators International Seminar, Barcelona, Spain; October 20,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