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Informatics Curriculum and Teaching Case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정보과 교육과정 및 수업 사례 분석

  • Received : 2019.09.03
  • Accepted : 2019.09.25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ubject-matter content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are adopted in Informat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and draw implications by exploring and analyzing teaching cases based on how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put into practice in real Informatics classes. Especially the result showed that 13 items out of all 17 standards of Informatics curriculum in terms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directly related with digital literacy. Also, it confirmed the position of Informatics subject-matter as a core subject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lated curriculum contents. Furthermore, the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s being applied and the possibilities of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which is implemented in diverse manners in Informatics subject-matter through the analysis of teaching cases. Finally, it identified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revealed in the proces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실제 정보과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어떠한 방식으로 실현되고 있는지를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탐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특히 성취기준 측면에서 전체 17개의 성취기준 중에서 13개의 성취 기준이 직접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계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 분석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핵심 교과로서의 정보 교과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정보 교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적용모습과 가능성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드러난 제한점 및 개선 방향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윤경.권성호 (2004). 프락시스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을 위한 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교육공학연구, 20(2), 101-131.
  2. 정현선.김아미.박유신.전경란.이지선.노자연 (2016).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211-238.
  3. Scott, C. L. (2015). The futures of learning 2: What kind of learning for the 21st century? Education Research and Foresight Working Paper Series, 14, UNESCO Education Research and Foresight. Retrieved 1, April, 2019, from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242996
  4. 정영미 (2018). 미국 공공도서관의 성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359-380. https://doi.org/10.4275/KSLIS.2018.52.1.359
  5. 한정선.오정숙.임현정.전주성 (2006). 지식정보 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연구보고 CR 2006-1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 구본권 (2017. 10). 디지털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디지털 기술과 정보이해.활용 능력, 뉴스 리터러시와 직결. 미디어리터러시, 제2호. 한국언론진흥재단. 4-9.
  7. 김수환.김주훈.김해영.이운지.박일준.김묘은.이은환.계보경 (2017).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연구보고 KR 2017-4.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8. 성정숙.김현철 (2015).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1), 45-54.
  9. 최숙영 (2018).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5), 25-35.
  10. MediaSmarts (2015). Digital literacy . Retrieved 26, September, 2019, from http://mediasmarts.ca/teacher-resources/digital-media-literacy-outcomes-province-territory/british-columbia/digital-literacy
  11. 교육부 (1987).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87-7호. 서울: 교육부.
  12. 교육부 (1988). 국민학교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88-9호. 서울: 교육부.
  13. 교육부 (1992).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1992-11호. 서울: 교육부.
  14. 교육부 (2000).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운영지침 해설서. 서울: 교육부.
  15. 김종혜.김용.이원규 (2007).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과 활용능력기준에 기초한 교원정보화 연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34(9), 848-856.
  16. 교육부 (2015a).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교육부 보도자료. 2015. 2.
  17. 교육부 (2015b).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15-74호 [별책 3]. 서울: 교육부.
  18. 교육부 (2015c).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2]. 서울: 교육부.
  19. Florida Center for Instructional Technology (2019). Technology integration matrix. Retrieved 26, September, 2019. from https://fcit.usf.edu/matrix/matrix/
  20. Harmes, J. C., Welsh, J. L., & Winkelman, R. J. (2016). A framework for defining and evaluating technology integration in the instruction of real-world skills. In Y. Rosen, S. Ferrara, & M. Mosharraf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chnology tools for real-world skill development (pp. 137-162). Hershey, PA: International Science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