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ethical consumption proprieties on the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ethical cosmetics

윤리적 소비성향이 윤리적 화장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Baek, Ji-Eun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Rhee, Young-Ju (Dept. of Fashion Industr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백지은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이영주 (성신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Received : 2020.12.30
  • Accepted : 2020.01.30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Recently, there has been a change in consumer culture. The paradigm is changing from a consumption model that used to emphasize rationality to an ethical consumption model that focuses on sustainability. Such a change in consumption patterns has also been seen in the cosmetics industry, but studies to empirically assess this trend are incomplet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impact of ethical consumption proprieties on attitudes and purchasing intentions for ethical cosmetics.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506 adult women residing in Korea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survey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To check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Cronbach's α factor was calculated. The analysis method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the Amos 25.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thical spending tendencies had a positive impact on attitudes toward ethical cosmetics. Specifically, interest in ethical issues, altruism, and business ethics perception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attitudes toward ethical cosmetics. However, consumer effectivenes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s toward ethical cosmetics. Second, attitudes toward ethical cosme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s. This study found that for the spread of ethical cosmetics and ethical consumption trends varied according to the age and that attitudes toward ethical cosmetics and differences in purchasing intentions should be kept in mind. It also showed that attitudes toward ethical cosmetics affect purchasing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adult women, the main consumers of cosmetics, by age was meaningful for finding the factors for growth in the macroscopic ethical cosmetics industry and that the industry could raise its ethical awareness. If such tasks a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ethical cosmetics are thought to be able to actively solve social problems and lead a mature cosmetics industry.

Keywords

References

  1. 강문실, 김윤숙. (2014). 사회적 기업에 대한 소비자 태도 및 만족,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윤리적 소비성향 조절효과. 상업교육연구, 28(6), 479-498.
  2. 강이주, 신자빈. (2006). 소비성향에 따른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소비문화연구, 9(4), 83-103.
  3. 고애란. (2009). 국내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 특성과 앞으로의 전망. 패션정보와 기술, 6, 54-62.
  4. 고애란, 노지연 (2009).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 특성 연구.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 152.
  5. 고윤승. (2011).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행동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44-268.
  6. 고재민. (2019. 8. 7). '비건'은 안단테로...조용히 확산하는 '비거니즘' 문화. 더나은미래. 자료검색일 2019. 8. 13, 자료출처 http://futurechosun.com/archives/43132
  7. 곽선미. (2019. 10. 6). '친환경 & 기능성' 소재 개발 급증${\uparrow}$. 패션비즈. 자료검색일 2019. 9. 22, 자료출처 https://www.fashionbiz.co.kr/RE/?idx=174577
  8. 권선중, 김교현. (2004). 인터넷 게임 행동을 예측하는 모형의 검증: 계획된 행동이론의 대한 모형 탐색. 학생생활연구, 30, 34-56.
  9. 김계수. (200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
  10. 김상일. (2018. 5. 23). 착한 화장품 눈길...노케미족 (No-Chemi族) 소비 행태 증가. 의학신문. 자료검색일 2019. 11. 9, 자료출처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3671
  11. 김선경, 한채정. (2010). 화장품 전 성분 표시 인식이 친환경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대한피부미용학회지, 8(4), 1-15.
  12. 김선우. (2013). 한국, 미국, 스웨덴 소비자의 이타적 책무감과 윤리적 기업제품 구매성향 비교. 소비자정책교육연구, 9(4), 29-54.
  13. 김수희, 정민섭, 변정우. (2016). 윤리적 소비성향과 호텔 공익 마케팅에 대한 고객 인식이 호텔이미지 및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8(7), 149-167.
  14. 김윤정, 권유진. (2016). 윤리적 소비, 이타주의인가 이기주의인가? -인조모피 소비자 문화 분석-. 服飾, 66(7), 17-33.
  15. 김윤정, 이유리, 김보람 (2014). 패션 점포 내 판매원과 다른 고객에 대한 신체적 매력과 자기이미지 일치효과. 한국의류학회지, 38(6), 783-795. https://doi.org/10.5850/JKSCT.2014.38.6.783
  16. 김은희. (2007). 소비자의 재활용 태도 및 행동의 이해 제안모형과 경쟁모형의 적용. 한국행정논집, 19(3), 501-525.
  17. 김재중, 이애주. (2017).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미쉐린 가이드 서울 선정 레스토랑 이용 소비자의 소비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3(3), 171-190.
  18. 김혜정, 강은주. (2018). PPL을 활용한 화장품 융합 광고의 광고속성이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융합정보논문지, 8(4), 87-97.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4.087
  19. 김효연, 류기상, 류형서. (2015). 유기농 식품점 제품에 관한 소비자의 건강인식과 식품안전우려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 적용. 외식경영학회지, 18(6), 377-395.
  20. 노희정. (2016). 소비사회에서의 관계적 윤리와 윤리적 소비자 시티즌십의 확립. 초등도덕교육, 54, 209-229.
  21. 도경은. (2010). 친환경소재가 적용된 화장품브랜드 용기디자인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8(1), 1-12.
  22. 박종철, 방광수. (2012).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소비자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 韓.中 소비자 비교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15(4), 101-121.
  23. 박지희, 김유진. (2010). 세상을 바꾸는 착한 거래 윤리적 소비. 메디치미디어: 서울.
  24. 박현정, 남미우. (2019).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활동에 대한 소비자인식과 친환경 화장품 소비행동.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7(2), 157-172.
  25. 배세하. (2016).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윤리적 제품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 웜-글로우를 통한 윤리적 소비와 소비자 윤리의 통합. 전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26. 배순영. (2019). 소비자관점에서 본 국가지속가능 발전목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소비자정책, 97, 1-16.
  27. 법제처. (2019). 화장품법(법률 제16298호). 자료검색일 2019. 11. 26, 자료출처 http://www.law.go.kr/법령/화장품법/(16298, 20190115)
  28. 서현겸, 유태순. (2017). 화장품 인스타그램의 정보성, 유용성, 소비자태도,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디자인포럼, 55, 183-194.
  29. 성경식, 양일선, 장윤정. (2015). 사회적 외식 기업에 대한 브랜드 연상이 관계품질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윤리적 소비성향의 조절효과 분석. 외식경영학회지, 15(5), 103-130.
  30. 송인숙, 제미경. (2006). 기혼 여성의 물질주의 성향과 비윤리적 상거래행동. 소비문화연구, 9(3), 185-206.
  31. 양재장, 한상호, 이용기. (2014). 소비자의 가치관과 혁신성이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7(11), 1807-1826.
  32. 유지연. (2019. 7. 16). 동물성분 NO...비건 화장품이 뜬다.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19. 11. 8, 자료출처 https://news.joins.com/article/23525832#none
  33. 윤성준 (2016).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 윤리적 소비성향, 그리고 신뢰가 고객의 가치공동창출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34(4), 95-105.
  34. 윤진숙, 이재하. (2018). 국내화장품기업의 사회공헌활동(CSR)에 대한 사례분석. 융합정보논문지, 8(5), 219-228.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5.219
  35. 이동우. (2016. 5. 4). 화장품업체들 탄소배출량 신경 안쓴다. 뷰티경제. 자료검색일 2019. 7. 20, 자료출처 http://www.theb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0823
  36. 이병효. (2017). 화장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관계품질, 가격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서비스품질을 조절효과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이소연. (2013).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성향과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38. 이진아, 황선진. (2005). 연령대로 본 충동구매, 추구혜택, 정보원선택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 55(4), 16-28.
  39. 정혜정, 오경화. (2016). 소셜 빅데이터를 통한 윤리소비유형, 동기와 감정분석;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라". 한국심리학회지, 17(4), 875-893.
  40. 차경욱, 최민영. (2010). 청소년 의류구매 행동에서 나타난 과시소비성향과 동조소비성향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6(1), 27-45.
  41. 천경희, 송인숙, 홍연금, 윤명애. (2012). '소비와윤리' 교과목 수강 대학생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과 실천행동의 변화. 한국생활과학지, 21(3), 505-526.
  42. 최송윤, 장한준, 이제백, 이환명, 김도윤, 박주훈. (2017). 화장품의 역사와 광고. 기초과학연구논문집, 25(1), 7-16.
  43. 허은정. (2011).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의 관련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22(2), 89-111.
  44. 허은정, 김우성. (2012).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과 관련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23(4), 105-130.
  45. 허은정, 김우성. (2014). 윤리적 소비행동에 따른 소비자 유형분류와 윤리적 소비동기 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4), 95-114. https://doi.org/10.15790/cope.2014.10.4.095
  46. 허진영, 김혜연. (2015). 윤리적 관점에서 본 현대 패션 콜라보레이션. 디자인학연구, 28(1), 91-110.
  47. 현소은. (2009). 착한 소비(윤리적소비)와 공정무역 (대안무역). 마케팅, 43(11), 7-10.
  48. 홍미나. (2017). 소비자 사회참여가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홍연금, 송인숙. (2010). 윤리적 소비에 대한 개념 논의와 실천영역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6(4), 91-110.
  50. 홍은실, 성수행, 김미라. (2017). 여성 소비자의 소비성향이 소비자거래 역량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3(3), 143-170.
  51. Ajzen, I. & Fishi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Inc.
  52.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53. Chun, R. (2016). What holds ethical consumers to a cosmetics brand: The Body Shop case. Business & Society, 55(4), 528-549. https://doi.org/10.1177/0007650313520201
  54. Doane, D. (2001). Taking flight: The rapid growth of ethical consumerism. London: New Economics Foundation.
  55. Field, D. A. (2000). Qualitative measures for initial meshes.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Methods in Engineering, 47(4), 887-906. https://doi.org/10.1002/(SICI)1097-0207(20000210)47:4<887::AID-NME804>3.0.CO;2-H
  56.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57. Girotto, G. (2013). Sustainability and green strategies in the cosmetic industry: analysis of natural and organic cosmetic products from the value chain to final certification. Bachelor's thesis, Universita Ca'Foscari Venezia.
  58. Hoyle, R. H. & Panter, A. T. (1995). Writing about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158-176.
  59. Philip Kotler & Nancy Lee. (2006). 필립코틀러의 CSR 마케팅(남문희역). 리더스북: 서울.
  60. Loureiro, M. L. & Lotade, J. (2005). Do fair trade and eco-labels in coffee wake up the consumer conscience?. Ecological Economics, 53(1), 129-138. https://doi.org/10.1016/j.ecolecon.2004.11.002
  61. Netemeyer, R. G., Boles, J. S., McKee, D. O. & McMurrian, R. (1997). An investigation into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n a personal sell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61(3), 85-98. https://doi.org/10.1177/00222429970610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