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Guardian Expectations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Concept: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Engagement and Learned Helplessness

보호자의 교육적 기대가 중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을 매개로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2,59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 2018)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engagement and learned helples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uardian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concep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engage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rned helplessness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academic self-concept. Learned helplessn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academic self-concept. Educational expecta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concept. Nex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xpectation and academic self-concept,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xpectation and academic self-concept,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guardians' educational expect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self-concept of children who are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academic engagement and learned helplessness had a positive effect. Therefore, guardians' educational expect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psychological state and academic self-concept through academic engagement and learned helplessness.

본 연구는 보호자의 교육적 기대가 중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중학교 1학년 2590명을 분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열의는 학업무기력과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교육적 기대, 학업적 자아개념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학업무기력은 교육적 기대와 학업적 자아개념과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교육적 기대는 학업적 자아개념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교육적 기대와 학업적 자아개념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교육적 기대와 학업적 자아개념의 관계에서 학업무기력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보호자의 교육적 기대가 학생인 자녀의 학업적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 각각의 매개효과가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바, 보호자의 교육적 기대가 자녀의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를 매개하여 자녀의 학업적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낸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량. (2012).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 및 인터넷중독의 상관관계 연구.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이랑, 김경성, 이수영. (2016).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수준에 따른 정서지능과 학문적자아개념 간의 관계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 301-311.
  3. 권은경. (2020). 중학생의 학업열의, 학업소진 관련 변인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8(11), 123-127. https://doi.org/10.14400/JDC.2020.18.11.123
  4. 권재기. (200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와 과외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현자. (1988).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난옥, 김양분. (2015).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교육학연구, 53(3), 31-60.
  7. 김남희, 이정윤. (2013). 지각된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 Korea Journal, 21(1), 211-23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0.21.1.211
  8. 김마리아. (2013). 부모의 교육적 기대수준이 자녀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117-139. https://doi.org/10.22860/KAFL.2010.13.2.117
  9. 김선희. (2015).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기대, 학업성취와 행복 인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혜, 황여정. (2010). 가정배경, 사회심리학적 매개요인들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연구 (구 안암교육학연구), 16(1), 153-182.
  11. 김용래, 김태은. (2001). 학업/비학업자아개념, 학교태도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탐색. 교육연구논총, 18, 3-46.
  12. 김은영. (2009).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학습된 무기력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아. (2016).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관계. 상담학연구, 17(2), 303-326. https://doi.org/10.15703/KJC.17.2.201604.303
  14. 김혜원, 장윤옥. (2016).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5), 99-117. https://doi.org/10.7466/JKHMA.2016.34.5.99
  15. 박남수, 박서홍. (2010).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개념과 부모의 교육기대수준에 따른 영어교과 사교육 효과 분석. 미래교육학연구, 23, 35-56.
  16. 박병기, 노시언, 김진아, 황진숙. (2015).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아동교육, 24(4), 5-29. https://doi.org/10.24159/JOEC.2018.24.4.5
  17. 박상현, 손원숙. (2019). 초등학생의 일반적 자존감과 학업적 자아개념 및 성취도의 상호관계. 아시아교육연구, 20(4), 921-942.
  18. 박연수. (2019). 부모의 교육적 기대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역기능적 태도 및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 (2004).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3), 37-59.
  20. 성인경. (2017).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선혜연, 황매향, 정애경. (2011). 부모의 관여가 중학생의 학업적 자아효능감과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2(1), 21-43. https://doi.org/10.15753/AJE.2011.12.1.002002
  22. 심수경. (2005).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여태철, 임효진, 황매향. (2017). 중학생의 자기통제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교육문화연구, 23(1), 315-341.
  24. 염혜선, 이은주. (2020). 중학생의 학업열의, 또래관계 질, 공격성 및 삶의 만족도에 대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의 시너지 효과. 교육심리연구, 34(3), 521-541.
  25. 이미라, 전향신. (2020). 부모의 양육태도 (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그릿, 학업열의, 학업성취도와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779-805.
  26. 이수정. (2009). 부모의 성취 압력과 학업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자영. (2013). 학년에 따른 학업열의의 잠재평균 차이 검증. 청소년학연구, 20(2), 1-21.
  28. 임경희. (2004). 가정, 학교 및 개인변인과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473-507.
  29. 임효진, 이소라. (2020). 그릿 (Grit) 을 매개로 학업열의를 예측하는 부모, 교사, 교우변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 한국초등교육, 31(1), 109-127. https://doi.org/10.20972/KJEE.31.1.202003.109
  30. 조수현, 이민영, 이장희, & 이상민. (2018). 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관한 연구: 직무요구-자원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구 안암교육학연구), 24(3), 1-26.
  31. 조한익, 이현아. (2010).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에 있어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7(12), 131-154.
  32. 최현정, 이동귀. (2019).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학업 실패 내성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6(2), 189-205. https://doi.org/10.16983/KJSP.2019.16.2.189
  33. 홍혜선. (2012). 부모의 교육적 기대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34. 황은주, 윤선아. (2017).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여자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525-542. https://doi.org/10.35594/KATA.2010.17.3.001
  3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6. Carranza, F. D., You, S., Chhuon, V., & Hudley, C. (2009). MEXICAN AMERICAN ADOLESCENTS'ACADEMIC ACHIEVEMENT AND ASPIRATIONS: THE ROLE OF PERCEIVED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ACCULTURATION, AND SELF-ESTEEM. Adolescence, 44(174).
  37. Chen, J. J. L. (2005). Relation of academic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peers to Hong Kong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engagement.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31(2), 77-127. https://doi.org/10.3200/MONO.131.2.77-127
  38.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39. Diener, C. I., & Dweck, C. S. (1978). An analysis of learned helplessness: Continuous changes in performance, strategy, and achievement cognitions following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5), 451. https://doi.org/10.1037/0022-3514.36.5.451
  40. Fincham, F. D., Hokoda, A., & Sanders Jr, R. (1989). Learned helplessness,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A longitudinal analysis. Child development, 138-145.
  41. Froiland, J. M., Peterson, A., & Davison, M. L. (2013). The long-term effects of early parent involvement and parent expectation in the USA.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4(1), 33-50. https://doi.org/10.1177/0143034312454361
  42. Furrer, C., & Skinner, E. (2003). Sense of relatedness as a factor in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1), 148. https://doi.org/10.1037/0022-0663.95.1.148
  43. Jackson, L. J., Ford, J. R., James, B. A., Schleiden, C. A., Harris-McKoy, D., & Holcomb, J. E. (2020). Expect the Best; Not the Worst: The Impact of Parental Expectation on Black Males' Math Scores. Journal of Black Studies, 51(8), 767-789. https://doi.org/10.1177/0021934720946427
  44. Mau, W. C. (1997). Parental influence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 comparison of Asian immigrants, Asian Americans, and White Americans. Psychology in the Schools, 34(3), 267-277. https://doi.org/10.1002/(SICI)1520-6807(199707)34:3<267::AID-PITS9>3.0.CO;2-L
  45. Plunkett, S. W., Behnke, A. O., Sands, T., & Choi, B. Y. (2009). Adolescents' reports of parental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immigrant famili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8(2), 257-268. https://doi.org/10.1007/s10964-008-9325-4
  46. Song, I. S. (1982). The dimensional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home environment,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England, New South Wales, Australia.
  47. 아동의 스트레스(9-17세). 2018. 보건복지부. 아동종합실태조사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74_2018_A021&conn_path=I3 (2020.05.05. 인출).
  48. 자살 생각 여부 및 자살의 큰 이유. 2018. 경기도 하남시. 하남시청소년사회환경조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628&tblId=DT_628003_A007&vw_cd=MT_ZTITLE&list_id=210_210A_628_3_2&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2020.12.25. 인출)
  49. 학교생활 만족도 및 불만족이유. 2019. 전라북도 완주군. 완주군 아동청소년 사회환경조사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717&tblId=DT_717003_015&conn_path=I3 (2020.05.05. 인출).
  50. 학업 유지에 대한 견해 & 학교를 그만두고 싶은 이유. 2019.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시 청소년종합실태조사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797&tblId=DT_797003_A1000&conn_path=I3 (2020.05.05.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