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the Norming of The Self-Reported Test for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 도구 규준화 연구

  • Jo, Han-ji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Wi, Seon-bok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hoon (Dept. of Electric, Electronic & Communication Engineering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조한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 위선복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 김태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Received : 2020.05.11
  • Accepted : 2020.05.19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orm the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tes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nationwide using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test developed in the precedent study, and a total of 2,85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average of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scores was 158 out of 240 point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by background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major. It was found that mechanical and construction majors have higher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than IT and chemical/material engineering majors. Also, the scores of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increased as the grade went up. Third, the number of courses related to engineering design did not affect by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but the actual number of times of experience in engineering design was affected by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심리학회(2000). 교육심리학 용어사전. 학지사.
  2. 금지현.김진모(2009). 우리나라 초등학생용 NEP Scale의 타당화. 환경교육, 22(4), 40-52.
  3. 김광선(2015). 공학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방향. 공학교육동향, 22(1), 2-9.
  4. 김미숙.김경은(2014). 창의인성검사(CPI)의 타당화 및 초등학생 창의인성 특성과 수준 분석. 사고개발, 10(3), 1-19.
  5. 김부윤.이지성(2006). 수학에서의 창의적 태도의 측정도구 개발과 그 적용. 학교수학, 45(1), 25-34.
  6. 김수향.탁진국(2011). 진로 및 직업 상담자의 역량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30(2), 461-481.
  7. 김지원(2019).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8. 김태훈(2015). 전문가 인식 조사에 의한 공학 설계 능력의 정의 및 하위 영역과 요소 도출. 공학교육연구, 18(3), 24-32.
  9. 김태훈.이소이.노태천(2005).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 구명. 공학교육연구, 8(3), 49-56.
  10. 김태훈.조한진.강문주(2020). 자기보고식 공학설계역량 검사 도구 개발. 공학교육연구, 23(1), 37-46. https://doi.org/10.18108/JEER.2020.23.1.37
  11. 박경희(2004). 과학창의성 검사도구 개발과 과학영재아의 뇌 기능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2. 박병기.강현숙(2006).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55-177.
  13. 백승희.정혜원(2015). 대학생 역량진단 도구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교육방법연구, 27(3), 349-373. https://doi.org/10.17927/TKJEMS.2015.27.3.349
  14. 백윤수 외(2006). 대학 신입생 공학설계과목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성과. 공학교육연구, 9(2), 5-20.
  15. 송동주(2003). 공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하여(영남대학교 기계공학부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동향, 10(2), 85-92.
  16. 송인섭.김효원.남궁정(2008). 중학생 진로성숙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1), 115-132.
  17. 신원섭(1999). 한국판 간편형 자연 환경 태도 측정지의 신뢰도 및 요인 분석. 한국공원휴양학회지, 1(2), 238-241.
  18. 윤나리(2012). 공학설계 강의에서 활용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측정.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 이규욱(2003).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공태도 측정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 이종범.정철영(2005). 초등학생 진로발달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18(2), 79-105.
  21. 장석민.임두순.송병국(1991). 진로성숙도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2. 조규형(2018).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수준 검사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3. 차성운 외(2007). 설계기술역량 3요소 기반의 공학설계 교육. 공학교육연구, 10(4), 1-12.
  24. 최윤정.이제경(2014). 진로상담 수행 역량 자가 평가 척도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15(4), 1475-1493. https://doi.org/10.15703/KJC.15.4.201408.1475
  25.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5). KEC2005 인증기준 설명서. 1-71.
  26. 한지영.이민영.정보라(2009). 자기주도학습 능력 개발을 위한 설계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2(4), 115-125.
  27. Bridges, A. J., Holler, K. A.(2007). How many is enough? Determining optimal sample sizes for normative studies in pediatric neuropsychology. Child Neuropsychology, 13, 528-538. https://doi.org/10.1080/09297040701233875
  28. Crawford, J. R., Garthwaite, P. H.(2008). On the "optimal" size for normative samples in neuropsychology: Capturing the uncertainty when normative data are used to quantify the standing of a neuropsychological test score. Child netropsychology, 14, 99-117. https://doi.org/10.1080/09297040801894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