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후속 출산을 포기한 한 자녀 어머니들의 임신·출산 및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Abandoned Their Additional Birth Plans

  • 투고 : 2020.04.06
  • 심사 : 2020.08.04
  • 발행 : 2020.08.31

초록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abandoned their additional birth plans since their first child was born. Methods: During in-depth interviews, mothers were asked to recall their own experiences of motherhoo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Results: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burden of raising a child is too heavy for mothers to carry alone.' The causal conditions were 'First experience: Unpredictable lif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y', and 'Spouse's absence.'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Expectations and reality of parenting' and 'Workplace conditions.' The mothers used interaction strategies of 'Defusing conflict only on a surface level: Giving up', 'Reliance on grandmothers', and 'Downgrading career aspirations.' These strategies were mediated by intervening conditions, 'Stereotypes and experiences of non-family nanny', 'Child's development', and 'Family conflict.' The results were 'Endless guilt', 'Ambivalence between independence versus interdependence' and 'Unfairness: Why only me?' Finally,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conflict was identified to account for the steps leading mothers to give up on their birth plans. Conclusion/Implications: During the first experience of motherhood, mothers' conflict gets escalated despite their struggles. These experiences might discourage their additional birth plans.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policies to increase fertility rate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영인, 최지은 (2015). 다자녀의 부모로 살아가기: 세 자녀 부모의 다자녀 양육에 대한 생각과 역할 형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4), 83-104. doi:10.7466/JKHMA.2015.33.4.83
  2. 김나현, 이은주, 곽수영, 박미라 (2013).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88-200. doi:10.4069/kjwhn.2013.19.3.188
  3. 김미옥, 송승민, 이사라 (2015). 맞벌이 가정 조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와 양육 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조모와 취업모 관점에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239-269.doi:10.14698/jkcce.2015.11.239
  4. 김양은, 하지영 (2016). 여대생들의 출산 및 양육, 자녀가치관을 통해 살펴본 저출산에 관한 이해. 열린부모교육연구, 8(3), 121-140.
  5. 김은영, 이주연 (2014).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양육죄책감과 아버지 양육지원의 상호작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1), 167-180. doi:10.7466/JKHMA.2014.32.1.167
  6. 김은주, 서영희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육아 경험 연구. 육아지원연구, 7(1), 93-113. doi:10.16978/ecec.2012.7.1.005
  7. 김인지, 이세인, 이숙현 (2010).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세대 간 양가감정에 관한 질적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5), 73-85. https://doi.org/10.6115/khea.2010.48.5.073
  8. 노진형, 김은주 (2006). 둘째 자녀 출산 어머니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7(4), 111-138.
  9. 배광일 (2011). 출산 의도 및 출산 행동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배광일 (2015). 모의 심리적 특성 및 가정환경이 출산의도와 출산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 연구, 46(4), 59-84. doi:10.16999/kasws.2015.46.4.59
  11. 성정원 (2011). 보육기관에 다니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관련된 변인: 어머니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삼식, 최효진, 계봉오, 김경근, 김동식, 서문희 등 (2016). 결혼․출산 행태 변화와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이재림 (2013). 손자녀 양육지원에 따른 조모와 취업모의 관계 경험: 세대 간 지원 제공 및 수혜의 의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1-24. doi:10.7466/JKHMA.2013.31.2.001
  14. 이주연 (2014).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59-177. doi:10.14698/jkcce.2014.10.3.159
  15. 이진경, 이재림 (2018). 한국판 세대 간 심리적 양가성 척도 타당화: 청년자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3(3), 105-130. doi:10.21321/jfr.23.3.105
  16. 이진희, 배은경 (2013). 완벽성의 강박에서 벗어나 '충분히 좋은 어머니'(good-enough mother)로-위니캇의 유어정서발달이론과 어머니노릇을 중심으로. 페미니즘연구, 13(2), 35-75.
  17. 보건복지부 (2019. 2). 제3차(2016-2020)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수정).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4200&CONT_SEQ=327714&FILE_SEQ=249906에서 2020년 7월 30일 인출
  18. 전연우, 김윤숙, 조희숙 (2012). 손자녀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외할머니의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75-199.
  19. 정나래, 김희수, 안선희 (2017).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대한 남편의 협력 및 어린이집 만족도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4), 141-155. doi:10.7466/JKHMA.2017.35.4.141
  20. 정미라, 김지원, 이영은 (2015). 12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 어려움과 그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255-281.
  21. 정은희, 최새은 (2016). 둘째자녀 출산 포기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가족과 문화, 28(3), 131-161. doi:10.21478/family.28.3.201609.005
  22. 주은선, 강명진, 최민정 (2018). 외조모의 손자녀 양육지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조모와 어머니의 보고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5), 19-46. doi:10.14698/jkcce.2018.14.05.019
  23. 진경선 (2019). 만 0 세 자녀 어머니들의 심리적 변인과 향후 7년 이내 후속 출산 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4(2), 175-192.
  24. 최새은, 정은희, 최슬기 (2019). 육아휴직제를 사용한 남성의 가정 및 직장에서의 경험 연구. 보건사회연구, 39(4), 280-319. doi:10.15709/hswr.2019.39.4.280
  25. 최옥채 (2019). 저출산 시기 다자녀 부모의 결혼과 출산 경험. 동광, 114, 54-90.
  26. 최항준 (2015).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자녀(영아)의 기질변인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3, 89-114.
  27. 통계청 (2019. 8). 2018년 출생통계(확정) 보도자료.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967829 에서 2020년 7월 30일 인출
  28. 홍승아, 최인희, 김난주, 김지미 (2018). 성평등관점에서 본 저출산 대응전략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9. Ajzen, I., & Klobas, J. (2013). Fertility intentions: An approach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Demographic Research, 29, 203-232. doi:10.4054/DemRes.2013.29.8
  30. Barlow, K. (2004). Critiquing the “good enough” mother: A perspective based on the Murik of Papua New Guinea. Ethos, 32(4), 514-537. doi:10.1525/eth.2004.32.4.514
  31. Kim, H. S., Sherman, D. K., Ko, D., & Taylor, S. E. (2006). Pursuit of comfort and pursuit of harmony: Culture,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seek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2(12), 1595-1607. doi:10.1177/0146167206291991
  32. Layous, K., Lee, H., Choi, I., & Lyubomirsky, S. (2013). Culture matters when designing a successful happiness-increasing activity: A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4(8), 1294-1303. doi:10.1177/0022022113487591
  33. Lee, J., & Bauer, J. W. (2013). Motivations for providing and utilizing child care by grandmothers in South Korea.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5(2), 381-402. doi:10.1111/jomf.12014
  34. Lerner, M. (1980). The Belief in a Just World: A Fundamental Delusion. New York: Plenum Press.
  35.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36. Lucas, T., Alexander, S., Firestone, I., & Lebreton, J. M. (2008). Just world beliefs, perceived stress, and health behavior: The impact of a procedurally just world. Psychology and Health, 23(7), 849-865. doi:10.1080/08870440701456020
  37. Lucas, T., Kamble, S. V., Wu, M. S., Zhdanova, L., & Wendorf, C. A. (2016).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for self and others: Measurement invariance and links to life satisfaction in four culture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7(2), 234-248. doi:10.1177/0022022115615962
  38. Luscher, K., & Pillemer, K. (1998).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parent-child relations in later lif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2), 413-425. doi:10.2307/353858
  39. Mann, M. B., & Thornburg, K. R. (1987).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day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7(3), 451-464. doi:10.1080/0300443870270304
  40. Patton, M. Q.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41. Philipov, D., Thevenon, O., Klobas, J., Bernardi, L., & Liefbroer, A. (2009). Reproductive decision-making in a macro-micro perspective (REPRO). Retrieved July 30, 2020, from http://www.oeaw.ac.at/vid/download/ edrp_1_09.pdf
  42. Robbins, J. M., Ford, M. T., & Tetrick, L. E. (2012). Perceived unfairness and employee health: A meta-analytic integr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7(2), 235-272. doi:10.1037/a0025408
  43. Rotkirch, A., & Janhunen, K. (2010). Maternal guilt. Evolutionary Psychology, 8(1), 90-106. doi:10.1177/147470491000800108
  44. Sin, N. L., & Lyubomirsky, S. (2009).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5), 467-487. doi:10.1002/jclp.20593
  45. Sloane, S., Baillargeon, R., & Premack, D. (2012). Do infants have a sense of fairness? Psychological Science, 23(2), 196-204. doi:10.1177/0956797611422072
  46. Strauss, A. L.,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47. Watkins, P., Scheer, J., Ovnicek, M., & Kolts, R. (2006). The debt of gratitude: Dissociating gratitude and indebtedness. Cognition & Emotion, 20(2), 217-241. doi:10.1080/02699930500172291

피인용 문헌

  1. 만 1세 첫째 자녀의 성별과 기질이 한 자녀 부모의 후속출산 계획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vol.16, pp.6, 202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