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GI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탐색

Explor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ction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FGI Analysis

  • 투고 : 2020.04.23
  • 심사 : 2020.08.04
  • 발행 : 2020.08.31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bility to implement play-centered curriculum that is recogniz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based on an analysis of focus group interviews. Methods: Two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wo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and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interview was conducted three times. The interviewed data were categorized and compared. Results: The action competence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requir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comprehending play, recognizing play, and practicing child-centered play. Detailed factor competencies were required for understanding play, reflective thinking, reading play, recording play, playing like a child, and supporting play. Conclusion/Implications: For actualizing play-centered curriculum,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needed to comprehend, recognize, and practice for child's play. Furthermore, we discusse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 teacher's action competence for play-centered curriculum.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혜진 (2012).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 교수효능감의 관계: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 33(6), 133-147. doi:10.5723/kjcs.2012.33.6.133
  2. 김영천 (2013). 질적연구방법론II.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3. 김현욱 (2018). 초등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을 위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이해.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8(17), 673-695. doi:10.22251/jlcci.2018.18.17.673
  4. 김희영 (2019).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중심 교육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눈몬.
  5. 단현국, 유영의 (2006).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놀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267-284.
  6. 박경진 (2015). 보육교사의 보육현장 핵심역량 인식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요구 조사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창현 (2012).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영향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창현, 양미선 (2017).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직원의 누리과정 운영에 관한 인식 분석;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화․다양화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11(1), 209-237. doi:10.5718/kcep.2017.11.1.209
  9. 신은희 (1991). 놀이에 대한 교사의 사고체계와 실제 행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양옥승 (2002).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포스터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유치원의 자유 놀이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연구, 20(1), 53-73.
  11. 염지숙 (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12. 유재경, 황지영, 박은미 (2019. 12).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 핵심역량모델 개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추계학술발표 자유주제발표논문, 서울.
  13. 유혜령 (2019). 놀이기반 배움의 방향에 관한 탐색: 표상을 넘어 사건으로. 어린이교육비평, 9(2), 57-85. doi:10.26834/kscice.2019.9.2.57
  14. 윤민아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유아교육연구, 39(3), 5-30. doi:10.18023/kjece.2019.39.3.001
  15. 이경진 (2006).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에 대한 연구: '창의성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경화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어린이교육비평, 9(2), 5-33. doi:10.26834/kscice.2019.9.2.5
  17.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7). 함께 만들어 가는 놀이터: 놀이를 통한 학습. 서울: 파란마음.
  18. 임수미, 황혜신 (2019).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0(4), 15-27. doi:10.5723/kjcs.2019.40.4.15
  19. 정혜욱, 김은영, 윤진주, 송정아, 안정원, 정혜원 (2019).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 바로 알기. 어린이교육의 기본 바로 알기 시리즈10. 서울: 창지사.
  20. 추광재 (2007).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관심, 인식, 실행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Creswell, J. W. (2013).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조홍식, 정선옥, 김진숙, 권지성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7).
  22. Dahlberg, G., Moss, P., & Pence, A. (1999).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st-modern perspectives. London: Falmer Press.
  23. Ezzy, D. (2002). Qualitative analysis: Practice and innovation. London: Routledge.
  24. Fisher, J., & Wood, E. (2012). Changing educational practice in the early years through practitioner-led action research: An adult-child interaction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Tears Education, 20(2), 114-129. doi:10.1080/09669760.2012.715400
  25. Frost, J. L., Wortham, S. C., & Reifel, S. (2005). Play and child development, 놀이와 아동발달(양옥승, 노경혜, 윤희경, 조혜경, 최경애, 황윤세 등 옮김). 서울: 정민사(원판 2005).
  26. Isenberg, J., & Quisenberry, N. L. (1988). Play: A necessity for all children. Childhood Education, 64(3), 138-145. doi:10.1080/00094056.1988.10521522
  27. King. N., & Horrocks, C. (2013). Interviews in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에서의 인터뷰(김미영, 김윤주, 김려화, 박금주, 지은주 옮김). 서울: 현문사(2010 원판).
  28. Kruger, R. A & Casey, M. A. (2000).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3rd ed). Thousand Osks, CA: Sage.
  29. Morgan, D. L. (2007). Planning focus group,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김성재, 오상은, 은영, 손행미, 이명선 옮김). 서울: 군자출판사(원판 1997).
  30. Paley, V. G. (2004). A child's work: The importance of fantasy pla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Rinaldi, C. (2006). In dialogue with Reggio Emilia: Listerning, researching and learning. London: Routledge.
  32. Scho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London: Temple Smith.
  33. Seidman, I. (2009).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 in education and social sciences,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교육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서(박혜준, 이승연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6).
  34. Taguchi, H. L. (2018). Going beyond the theory/practice devid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roducing an intra-active pedagogy,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신은미,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진희, 임부연 등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2010).
  35. Van Hoorn, J. V., Nourot, P. M., Scale, B., & Alward, K. R. (2018). Play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놀이중심교과과정(순진이, 정현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15).
  36. Whitebread, D. (2010). Play,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ion. In P. Broadhead, J. Howard, & E. Wood (Eds.), Play and learning in the early years: From research to practice (pp. 161-176). London: Sage.
  37. Wood, E. A. (2014). Free choice and free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roubling the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22(1), 4-18. doi:10.1080/09669760.2013.830562

피인용 문헌

  1. 5세 도담반의 실내놀이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vol.17, pp.4, 202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4.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