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권혜진 (2012).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 교수효능감의 관계: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 33(6), 133-147. doi:10.5723/kjcs.2012.33.6.133
- 김영천 (2013). 질적연구방법론II.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김현욱 (2018). 초등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을 위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이해.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8(17), 673-695. doi:10.22251/jlcci.2018.18.17.673
- 김희영 (2019).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중심 교육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눈몬.
- 단현국, 유영의 (2006).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놀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267-284.
- 박경진 (2015). 보육교사의 보육현장 핵심역량 인식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요구 조사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창현 (2012).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영향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창현, 양미선 (2017).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직원의 누리과정 운영에 관한 인식 분석;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화․다양화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11(1), 209-237. doi:10.5718/kcep.2017.11.1.209
- 신은희 (1991). 놀이에 대한 교사의 사고체계와 실제 행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옥승 (2002).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포스터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유치원의 자유 놀이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연구, 20(1), 53-73.
- 염지숙 (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 유재경, 황지영, 박은미 (2019. 12).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 핵심역량모델 개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추계학술발표 자유주제발표논문, 서울.
- 유혜령 (2019). 놀이기반 배움의 방향에 관한 탐색: 표상을 넘어 사건으로. 어린이교육비평, 9(2), 57-85. doi:10.26834/kscice.2019.9.2.57
- 윤민아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유아교육연구, 39(3), 5-30. doi:10.18023/kjece.2019.39.3.001
- 이경진 (2006).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에 대한 연구: '창의성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경화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어린이교육비평, 9(2), 5-33. doi:10.26834/kscice.2019.9.2.5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7). 함께 만들어 가는 놀이터: 놀이를 통한 학습. 서울: 파란마음.
- 임수미, 황혜신 (2019).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0(4), 15-27. doi:10.5723/kjcs.2019.40.4.15
- 정혜욱, 김은영, 윤진주, 송정아, 안정원, 정혜원 (2019).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 바로 알기. 어린이교육의 기본 바로 알기 시리즈10. 서울: 창지사.
- 추광재 (2007).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관심, 인식, 실행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Creswell, J. W. (2013).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조홍식, 정선옥, 김진숙, 권지성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7).
- Dahlberg, G., Moss, P., & Pence, A. (1999).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st-modern perspectives. London: Falmer Press.
- Ezzy, D. (2002). Qualitative analysis: Practice and innovation. London: Routledge.
- Fisher, J., & Wood, E. (2012). Changing educational practice in the early years through practitioner-led action research: An adult-child interaction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Tears Education, 20(2), 114-129. doi:10.1080/09669760.2012.715400
- Frost, J. L., Wortham, S. C., & Reifel, S. (2005). Play and child development, 놀이와 아동발달(양옥승, 노경혜, 윤희경, 조혜경, 최경애, 황윤세 등 옮김). 서울: 정민사(원판 2005).
- Isenberg, J., & Quisenberry, N. L. (1988). Play: A necessity for all children. Childhood Education, 64(3), 138-145. doi:10.1080/00094056.1988.10521522
- King. N., & Horrocks, C. (2013). Interviews in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에서의 인터뷰(김미영, 김윤주, 김려화, 박금주, 지은주 옮김). 서울: 현문사(2010 원판).
- Kruger, R. A & Casey, M. A. (2000).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3rd ed). Thousand Osks, CA: Sage.
- Morgan, D. L. (2007). Planning focus group,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김성재, 오상은, 은영, 손행미, 이명선 옮김). 서울: 군자출판사(원판 1997).
- Paley, V. G. (2004). A child's work: The importance of fantasy pla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Rinaldi, C. (2006). In dialogue with Reggio Emilia: Listerning, researching and learning. London: Routledge.
- Scho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London: Temple Smith.
- Seidman, I. (2009).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 in education and social sciences,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교육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서(박혜준, 이승연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6).
- Taguchi, H. L. (2018). Going beyond the theory/practice devid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roducing an intra-active pedagogy,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신은미,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진희, 임부연 등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2010).
- Van Hoorn, J. V., Nourot, P. M., Scale, B., & Alward, K. R. (2018). Play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놀이중심교과과정(순진이, 정현심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15).
- Whitebread, D. (2010). Play,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ion. In P. Broadhead, J. Howard, & E. Wood (Eds.), Play and learning in the early years: From research to practice (pp. 161-176). London: Sage.
- Wood, E. A. (2014). Free choice and free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roubling the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22(1), 4-18. doi:10.1080/09669760.2013.830562
피인용 문헌
- 5세 도담반의 실내놀이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vol.17, pp.4, 202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4.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