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승지, 손연주 (2018). 유아는 바뀐 교실 공간에 낯설어 했지만, 차근히 적응해 나갔다. 생태유아교육연구, 17(3), 1-24. doi:10.30761/ecoece.2018.17.3.1
- 교육부 (2019). 유치원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 김경애, 임부연 (2016). 고경력 유아교사의 삶: 교사실존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267-296. doi:10.24211/tjkte.2016.33.1.267
- 김미래, 남기원 (2016). 실외 자연놀이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조망수용경험 및 친사회적 경험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0(6), 309-334.
- 김민우, 강승지, 이연선 (2017). 유아 공간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7(4), 479-499. doi:10.18023/kjece.2017.37.4.020
- 김소향, 조준오, 이주옥 (2018). 유아교사의 '좋은 놀이'에 대한 은유(metaphor)적 인식. 유아교육연구, 38(6), 161-190. doi:10.18023/kjece.2018.38.6.007
-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김영천 (2016).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김희연 (2013). 유아교육에서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2), 521-544.
- 배지현 (2014). 교육과정 연구에서 르페브르(H. Lefebvre)의 공간생산론의 활용 가능성 탐색. 교육과정연구, 32(2), 41-65. doi:10.15708/kscs.32.2.201406.003
- 변기동, 권주영, 하미경 (2015). 안전성 향상을 위한 유아시설 실내환경 계획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4(2), 197-205. https://doi.org/10.14774/JKIID.2015.24.2.197
- 서경혜 (2010). 교사공통체의 실천적 지식.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21-148. doi:10.24211/tjkte.2010.27.1.121
- 손유진 (2011). 자유놀이에서 유아들이 생각하는 선생님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1(1), 271-288. doi:10.18023/kjece.2011.31.1.013
- 심미연, 임재택 (2008). 유아교육기관의 통합된 공간에서 나타나는 아이들의 일상생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7(3), 75-100.
- 연희정, 김은주, 송주은 (2015). 유아교육기관의 '교실'과 '바깥놀이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은유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673-699.
- 이경화, 송원경, 남미경, 정혜영, 김남희, 손유진 등 (2018). 유아교사론: 유아교사-되기 운동. 서울: 학지사.
- 이슬, 최경란 (2014). 국내.외 유아보육시설 비교를 통한 국내 유아보육시설 공간디자인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5(1), 481-489.
- 이승숙, 송나리, 배지희 (2017).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과 갈등. 육아지원연구, 12(4), 215-240. doi:10.16978/ecec.2017.12.4.009
- 이현경 (2007). 실내․외 놀이환경에서 걸음마기 영아의 놀이행동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97-121.
- 이효원 (2018).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체험하는 공간의 의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임부연, 오정희, 최남정 (2008).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 '진짜 재미있는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8(1), 185-209. doi:10.18023/kjece.2008.28.1.009
- 임부연, 손연주 (2019).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265-287. doi:10.22251/jlcci.2019.19.3.265
- 임부연, 양혜련, 송진영 (2012). 유아가 경험하는 교실 공간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49-272.
- 임부연, 이정금 (2013). 교육공간으로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숲의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7(5), 187-208.
- 임부연 (2017).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놀이'중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 모색. 교육혁신연구, 27(4), 59-78. doi:10.21024/pnuedi.27.4.201712.59
- 장상옥 (2015).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 관련 연구 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9(5), 143-170.
- 조민영, 김은주 (2015). 안도 다다오의 건축이 유아교육기관 공간구성에 주는 함의.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271-295.
- 조민영, 임재택 (2005). 유아교육기관의 생태건축 기법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일본의 두 어린이집사례를 중심으로. 영유아보육연구, 12, 45-68.
- Bollnow, O. F. (2011). Mensch und Raum, 인간과 공간(이기숙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원판 1963).
- Lefebvre, H. (2011). (La) production de l'espace, 공간의 생산 (양영란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원판 1974).
- Patton, M. Q. (2017).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질적연구 및 평가 방법론(김진호, 나장함, 차동춘, 조대훈, 조윤경, 임정완 등 옮김). 경기: 교육과학사(원판 2015).
- Sellers, M. (2018).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Deleuze, Te Whariki and curricular understandings,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라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손유진,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등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