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he HYO Consciousness on Job Satisfaction in Care Worker :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lderly Image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이미지 매개효과

  • 장나연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 Received : 2020.05.19
  • Accepted : 2020.06.30
  • Published : 2020.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lderly image in the relationship of HYO consciousness and job satisfaction in care worker. In this study, the HYO consciousness of care workers is the consciousness of taking good care of the elder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by 10 long-term care institutions belonging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 total of 450 nursing care provider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The final 429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shows that first, HYO consciousness and the elderly image have a defin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HYO consciousnes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lderly image. Finally, the elderly image played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YO consciousness and job satisfaction. The government should seek ways to foster a sense of HYO consciousness and a positive image of the elderly by utiliz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care worker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의 효의식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를 매개변인으로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도에 속해 있는 장기요양기관 10개소를 선정하여 각 시설별 요양보호사 총 450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중 미수거와 불성실한 응답 21부를 제외하고 최종 42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효의식과 노인이미지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효의식은 노인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효의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노인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효의식과 노인이미지 등에 대한 긍정적 심리가 간접적으로 서비스 질과 직무만족의 향상을 가져오고, 다시 직무만족은 서비스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개입요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책적으로 요양보호사를 위한 교육기회를 활용하여 효의식과 노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함양하고 요양보호사의 내재적 직무기회로 삼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I. 서론

우리나라는 2000년에 노인인구 비율이 7.2%가 되어 2017년에는 고령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 이에 따른 노인들의 부양이 개인 문제뿐만 아니라 부양을 책임져야 할 가족의 문제이며, 나아가 사회보장제도 차원에서 국가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노인의료 및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의 증가는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렵다.

사회, 경제적 변화와 더불어 저출산,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치매, 중풍 등의 노인성 질환도 함께 증가하였다. 노후에 맞이하게 되는 병고, 무위고, 고독, 빈곤의 문제를 가진 노인을 위한 노인복지와 집에서 간병을 하는 여성인구의 경제활동 유발 및 소득 재분배를 위한 전달체계로서 2008년도 7월 1일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가 도입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는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으로 인하여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노인에게 신체활동 및 가사활동 등의 장기요양 급여를 제공하여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2]. 이러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화로 인한 돌봄의 부담을 사회화하고 있지만, 요양보호사의 직무와 관련하여 의식(자세) 약화,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서비스 편중과 질의 격차, 처우개선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3].

요양보호사는 장기요양기관 등에서 노인들에게 일상생활 및 신체 활동 서비스 제공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노인수발에 필요한 최소한의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지만 그 직업을 선택한 이유와 목적이 분명하지 않으면 업무를 수행하면서 쉽게 지치고 의욕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나 노인을 공경하는 효의식과 긍정적인 인식, 봉사정신 등 직업을 선택한 이유와 목적이 분명하다면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이를 쉽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은 노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도록 해주며 노인 돌봄에 대한 보람을 느끼고 만족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요인으로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효의식은 자식이 부모님께 효를 하려는 것이며 요양보호사들의 효의식은 노인에 대하여 잘 돌보려는 의식이라 할 수 있다[4]. 국내에서 효의식에 관한 연구는 효의 의미 및 특성을 알아보는 고찰 연구[5], 대학생을 대상으로 효의식 정도를 알아본 연구[6][7],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직무와 관련하여 알아본 연구[8][9]로 효의식과 노인부양 의식 및 행동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현주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효의식과 전문적인 태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으며[10], 홍세영의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들이 수행하는 공적 돌봄 노동이 자식 대신 효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인식할 때 업무수행의 만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11]. 이처럼 요양보호사들의 효의식은 노인들에게 제공하는 업무 관련하여 연결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효에 대한 의식이 함양된다면 직무만족 및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높게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에 대한 이미지는 긍정적과 부정적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노인의 긍정적 이미지는 성공적 노화 가능성을 높이고[12][13], 노인차별을 약화시키는 정적 기능을 하는 반면, 부정적 이미지는 노인의 자존감 및 사회참여 저해, 노인에 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을 유발하게 되는데 대다수의 연구들은 산업화 이후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고정관념이 증가한다고 보고하고 있다[14].이는 현대사회에서 노인을 편견의 대상으로서 긍정적인 존재이기보다는 부정적인 존재로, 의존적 존재로 인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인식은 요양보호사들의 심리·정서적 측면 에서 효의식과 부양의식 등에 영향을 미쳐 직무만족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15].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부양의식과 효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태도 즉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부양의식 및 효의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6]. 또한 비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노인에 대한 지식과 효에 대한 교육, 봉사 경험이 있을수록 노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17] 효의식이 긍정적인 노인 이미지를 형성시켜 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요양보호사들의 효의식과 노인이미지를 함께 살펴보고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노인들에게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요양보호사들의 효에 대한 의식과 태도는 노인 이미지 긍정적으로 높여주고 이는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업무에 대한 보람을 느끼게 하여 직무 만족에 영향을 줄 것이다. 또한 노인을 돌보는 일로 인해 탈진이 오는 경우 돌아가신 부모님에게 못 다한 효를 한다고 생각하거나 노인들을 부모와 같이 돌보게 되면 탈진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와 같이 효의식과 노인에 대한 이미지는 직무 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18].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을 노인에 대하여 내 부모를 사랑하고 공경하듯이 도와주고, 보살펴주고 싶은 욕구로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효의실천, 효의보은, 효의신뢰, 효의올리사랑, 효의도리로 살펴보고자 하며, 노인이미지는 노인을 떠올렸을 때 나타나는 내면의 표상이자 직접 보았을 때 경험하는 느낌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노인에 대한 직접 또는 간접적 접촉을 통해 지각하는 것이라 정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19].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올바른 효의식이 긍정적인 노인에 대한 이미지를 매개변인으로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규명함으로써 노인돌봄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모형

선행연구와 이론적 근거를 통해 독립변인은 효의식, 종속변인은 직무만족, 매개변인은 노인이미지로 다음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그림 1].

CCTHCV_2020_v20n8_40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가설 1.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은 노인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요양보호사의 노인이미지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요양보호사의 효의식과 직무만족 관계에 있어서 노인이미지는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의 효의식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를 매개변인으로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도에 속해 있는 장기요양기관 10개소를 선정하여 각 시설별 요양보호사 총 450을 선정하여 동의를 구하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대상자들에게 설문지 내용을 설명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배포된 설문지는 432부이며, 미수거 18부와 불성실한 응답 3부를 제외하고 최종 42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3. 자료처리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 및 오류 검토 과정을 거친 후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검증을 위한 기초분석으로 대상자이 일반적 특성과 변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섯째,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효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이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과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Z 검정으로 알아보았다.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모든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4.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각 척도의 구성 및 문항은 다음 [표 1]과 같다. 각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은 탐색적 요인분석 및 문항내적일치도로 알아보았다.

표 1. 설문 구성 및 문항

CCTHCV_2020_v20n8_408_t0001.png 이미지

4.1 독립변인: 효의식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효의식 측정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황규회의 효의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20]. 이 척도는 2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중공선성이 나타난 문항 11번을 제외한 후, 효의 실천(6문항), 효의 보은(5문항), 효의 신뢰(4문항), 효의 올리사랑(3문항), 효의 도리(4문항) 22문항을 최종 사용하였다[표 2].

표 2. 효의식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CCTHCV_2020_v20n8_408_t0002.png 이미지

설문지에 대한 반응 방법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아니다’ 1점, ‘아니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척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영역의 합산 점수가 높을수록 효의식이 높고 점수가 낮을수록 효의식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하위요인 효의 실천의 신뢰도(Cronbach's α) 는 .908이었다. 효의 보은의 척도 신뢰도(Cronbach's α)는 .858이었으며, 효의 신뢰의 척도 신뢰도 (Cronbach's α)는 .853, 효의 윤리사랑의 척도 신뢰도 (Cronbach's α)는 .935, 효의 도리의 척도 신뢰도 (Cronbach's α)는 .806, 전체 효의식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833으로 높게 나타났다[표 2].

4.2 직무만족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종희의 측정도구로 수정·보완하여 직무자체, 직업안정성, 개인적특성에 대한 설문으로 사용하였다[21]. 직무만족 척도의 하위요인은 직무자체 5문항, 직업안정성 5문항, 개인적특성 5문항,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표 3].

표 3. 직무만족도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CCTHCV_2020_v20n8_408_t0003.png 이미지

설문지에 대한 반응 방법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아니다’ 1점, ‘아니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척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영역의 합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고 점수가 낮을수록 직무만족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하위요인 직무자체의 신뢰도(Cronbach's α)는 .818, 직업안정성의 척도 신뢰도(Cronbach's α) 는 .644, 개인적특성의 척도 신뢰도(Cronbach's α)는 .875, 전체 직무만족의 신뢰도(Cronbach's α)는 .728 로 높게 나타났다[표 3].

4.3 노인이미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노인 이미지에 대한 척도는 Sanders, Montgomery, Pittman & Balkwell이 의미 분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로 개발된 것으로 이를 한정란이 번안한 한국형 노인이미지 척도를 사용하였다[22][23].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8개의 상반되는 형용사 쌍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문항에 대하여 Likert 5점 척도(1점: 매우 부정적∼5점: 매우 긍정적)로 구성하였다.

표 4. 노이이미지 신뢰도 분석 결과

CCTHCV_2020_v20n8_408_t0004.png 이미지

각 영역의 합산 점수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높은 것이며, 점수가 낮을수록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노인이미지 척도의 신뢰도는(Cronbach's α) .776으로 나타났다.

Ⅲ. 연구결과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인 요양보호사들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5].

표 5. 대상자 일반적 특성

CCTHCV_2020_v20n8_408_t0005.png 이미지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별은 남 25명(5.8%), 여 404명(94.2%)으로 대다수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50-60세미만 176명(41.0%), 60세 이상 155명 (36.1%), 40-50세미만 74명(17.2%), 40세미만 24명 (5.6%) 순으로 50세 이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고졸 205명(41.0%), 중졸이하 135명(31.7), 전대졸 69명(16.1%), 대졸이상 19명(4.4%) 순으로 고졸 이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수입은 150-200 만원미만 224명(52.2%), 100-150만원미만 170명 (39.6%), 200만원이상 35명(8.2%)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간은 1-3년미만 178명(41.5%), 1년미만 141명 (32.9%), 3-5년미만 68명(15.9%), 5년이상 42명 (9.8%)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형태는 주간만 근무 242 명(55.4%), 야간근무 포함 근무 187명(43.6%)로 나타났다.

2. 연구변인 기술통계

본 연구의 변인들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6].

표 6. 연구변인 기술통계 분석 결과

CCTHCV_2020_v20n8_408_t0006.png 이미지

요양보호사들의 효의식 평균 3.55, 직무만족 평균 3.40, 노인이미지 평균 3.39로 모두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왜도의 절대값이 .010∼.467, 첨도의 절대값이 .348∼1.165로 나타나 Kline가 제시한 기준치인 왜도 절대값 3이하, 첨도 절대값 8이하에 적합함으로 정규분포형태를 가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4].

3. 변인 간의 상관관계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7].

표 7. 연구변인 상관분석 결과

CCTHCV_2020_v20n8_408_t0007.png 이미지

*P<.05, **P<.01

a=효의식, b=직무만족, c=노인이미지

효의식 하위요인 : d=효의실천, e=효의신뢰, f=올리사랑, g=효의도리

직무만족 하위요인 : I=개인적특성, j=직무자체, k=직업안정성

상관분석 결과, 효의식과 직무만족 간에 p<.01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27)가 나타났으며, 효의식과 노인이미지 간에도 p<.01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 (r=.286)가 나타났다. 직무만족과 노인이미지 간에도 p<.01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595)가 나타났다.

4. 가설검증

4.1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가설 1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해 성별과 연령을 통제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8] 과 같다.

표 8. 효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20_v20n8_408_t0008.png 이미지

효의식(전체 하위요인 합점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β=.560로 p=.001의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의식과 직무만족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18.3%(R2 =.183) 로 확인되었다.

효의식 하위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모형으로 효의 신뢰(β=.581)만이 p=.001의 유의한 수준에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회귀모형이 추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33.8%(R2 =.338)로 확인되었다.

2모형으로 효의 신뢰(β=.574)와 효의 올리사랑(β=.140)이 p=.001의 유의한 수준에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의 신뢰 및 올리사랑 하위요인과 직무만족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35.7%(R2 =.357)로 확인되었다.

2모형에서 추출된 효의식 하위요인인 효의 신뢰와 효의 올리사랑 합점수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β=.487로 p=.001의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의식과 직무만족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23.8%(R2 =.238)로 확인되었다.

4.2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이 노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가설 2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이 노인이미 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해 성별과 연령을 통제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 효의식이 노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20_v20n8_408_t0009.png 이미지

효의식(전체 하위요인 합점수)이 노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β=.286로 p=.001의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의식과 노인이미지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8.2% (R2 =.082)로 확인되었다.

효의식 하위요인이 노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모형으로 효의 신뢰(β=.344)만이 p=.001의 유의한 수준에서 노인이미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회귀모형이 추출 되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11.9%(R2 =.119)로 확인 되었다.

2모형으로 효의 신뢰(β=.336)와 효의 올리사랑(β=.155)이 p=.001의 유의한 수준에서 노인이미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의 신뢰 및 올리사랑 하위요인과 노인이미지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14.2%(R2 =.142)로 확인되었다.

2모형에서 추출된 효의식 하위요인인 효의 신뢰와 효의 올리사랑 합점수로 노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β=.343로 p=.001의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의식과 노인이 미지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11.8%(R2 =.118)로 확인되었다.

4.3 요양보호사의 노인이미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가설 3 ‘요양보호사의 노인이미지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해 성별과 연령을 통제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노인이미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20_v20n8_408_t0010.png 이미지

노인이미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β=.595로 p=.001의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의식과 직무만족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35.5%(R2 =.355)로 확인되었다.

4.4 요양보호사의 효의식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노인 이미지 매개역할

본 연구의 가설 4 ‘요양보호사의 효의식과 직무만족 관계에 있어서 노인이미지는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매개 효과 과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Z_{a b}=\frac{a \times b}{\sqrt{\left(a^{2} \times s e b^{2}\right)+\left(b^{2} \times s e a^{2}\right)}}\)       (1)

공식 1. .Sobel z 검정

[표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1단계에서 독립변인(bX) 인 효의식이 종속변인(Y)인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B=.361, p<.001), 2 단계에서 독립변인(bX)인 효의식이 매개변인(M)인 노인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B=.220, p<.001)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 검증에서 1단계와 2단계가 충족되었다. 3단계 독립변인(bX)과 매개변인(M)이 동시 투입된 단계에서는 독립과 매개변인 모두 종속변인(Y)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독립 B=.238 , p<.001; 매개 B=.516, p<.001). 따라서 1~3 단계 모두 충족되었으며, 1단계보다 3단계 회귀계수의 영향력 크기(1단계=.361 , 3단계=.238)가 감소한 결과가 나타나 요양보호사들의 노인이미지가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11. 위계적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

CCTHCV_2020_v20n8_408_t0011.png 이미지

간접효과 검증은 Sobel Z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간접효과는 Z=6.3564(p<.05)로 |Z|> 1.96 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공식 1].

모형에 대한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총효과=직접효과+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총효과(.361), 직접 효과(.238), 간접효과(.220×.561=.123)로 나타나 총효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합계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Ⅳ.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논의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의 효의식과 직무만족 관계 에서 노인이미지가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통해 요양보호사에 대한 실무적 단서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는 효율적인 서비스 질 개선 등 개입에 필요한 모색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효의식과 노인이미지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검증결과는 조희선의 연구와 일부분 일치한 결과로 요양보호사의 효의 신뢰와 효의 올리사랑과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조희선은 요양보호사 서비스 환경과 효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에서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은 직무수행에 긍정적, 정서를 형성하여 직무만족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이는 본 연구의 결과를 일부분 지지해 주고 있다[25]. 이러한 직무만족은 노인돌봄서비스 환경인 요양보호사의 경제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신체적 요인에 좋은 영향을 끼치고 노인돌봄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효의식을 높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정책적으로 효의식을 높이고 효를 실천할 수 있도록 공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이나 효의식과 노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인식을 강구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시대가 변하여 효의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으나, 부모나 가족의 기능이 약화하여 독립적인 생활이 어려워지면 우리의 인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부모와 가족에 대한 애정, 그리고 의무감과 책임감으로 인간의 마음속 에서 어떤 모습이건 효의식과 노인에 대한 긍정적 이미 지를 통한 직무만족을 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효의식은 노인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김미혜, 류주연 그리고 김수진의 노인의 대한 이미지와 노인 학대 인식은 노인과의 동거경험으로 형성된 효의식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와 일부분 일치하며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효의식이 함께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26]. 그리고 김경호의 연구에서도 효의식과 노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같은 태도는 요양보호사가 노인을 돌보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가치이고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을 연결하는 접점으로 요양보호사들의 효의식과 관련한 양성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부분 지지해 주고 있다[27].

셋째, 효의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노인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효의식과 노인이미지 등에 대한 긍정적 심리가 간접 적으로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무만 족의 향상을 가져오고, 다시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개입요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보험공단에서 의무적으로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효의식 및 노인에 대한 인식의 관한 문제는 다루지 않고 있으므로 이러한 교육기회를 활용하여 효의식과 노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함양하고 요양보호사의 내재적 직무기회로 삼는 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관점에서의 결과 도출을 통해 요양보호사들의 효인식과 노인에 대한 이미지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선행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는 향후 보다 정교한 심리자본 이론의 발전과 실증적 연구 확대에 다소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 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조사 대상지역이 서울, 경기도지 역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임의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지역의 범위를 확대하고 표집대상을 다양하게 하여 좀 더 포괄 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효의식, 노인이미지, 직무만족에 대한 여러 가지 상황 변인을 단일적인 접근형식으로 분석하였지만, 이들 변인 간의 영향력 정도와 방향성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좀 더 구체적이고 복합적인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요양보호사 양성 표준교재, 사람과 경영, p.15, 2014.
  2. 보건복지부, 요양보호사 양성 표준교재, 사람과 경영, p.24, 2014.
  3. 한은정, 강임옥, 권진희,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이용자의 시설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제31권, 제2호, pp.259-276, 2011.
  4. 최성부, 요양보호사의 화석화된 효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 고재욱, "효문화의 특성 고찰," 지역사회, 제70권, pp.101-105, 2014.
  6. 배문조, 박세정, "대학생의 효에 대한 인식과 가족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75-28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75
  7. 유계숙, 유행, "한국과 중국 대학생 자녀의 효의식 비교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9권, 제3호, pp.43-65, 2014.
  8. 이현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홍세영,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돌봄노동의 의미와 특성," 노인복지연구, 제51권, pp.165-190, 2011.
  10. 이현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 홍세영,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돌봄노동의 의미와 특성," 노인복지연구, 제51권, pp.165-190, 2011.
  12. 최종천, "학생들이 지각하는 노인에 한 이미지와 성공적인 노화에 한 인식간의 관계," 대한케어복지학회, 제2권, 제2호, pp.70-87, 2006.
  13. 전상남, 신학진, "노인의 이미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제26권, pp.165-187, 2009.
  14. 박영숙, 노인의 이미지와 가족주의 가치관이 부양의 식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5. 함은미, 노인이미지에 대한 세대간 차이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6. 서용숙, 대학생들의 부모자녀관계가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7. 정진경, "노인 이미지 연구 경향 분석," 한국노년학, 제35권, 제4호, pp.1115-1134, 2015.
  18. 조희선,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이 노인돌봄서비스 환경을 매개변수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9. 김미혜, 원영희, "새로운 노인 이미지 정립을 위한 노인광고:신문매체를 중심으로," 한국 노년학, 제19권, 제2호, pp.193-214, 1999.
  20. 황규회, 요양기관 요양보호사들의 효의식과 직무환경이 직무 만족도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1. 서종희, 요양보호사의 돌봄노동 경험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2. G. F. Sanders, J. E. Montgomery, J. F. Pittman Jr, and C. Balkwell,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3, No.1, pp.59-70, 1984. https://doi.org/10.1177/073346488400300107
  23. 한정란,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0권, 제3호, pp.115-127, 2000.
  24. R. B. Kline,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2005.
  25. 조희선, 요양보호사의 효의식이 노인돌봄서비스 환경을 매개변수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6. 김미혜, 류주연, 김수진, "성인의 노인인권의식과 노인이미지가 노인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층과 노인동거경험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제6권, 제2호, pp.369-370, 2016.
  27. 김경호,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이 효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314-33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