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vocation of beauty worker on job satisfaction and self-development

미용분야 종사자의 직업소명이 직무만족과 자기계발에 미치는 영향

  • 홍수남 (한성대학교 뷰티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0.06.29
  • Accepted : 2020.09.01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survey targeted 270 men and women in their from their 20s-50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vocation of beauty worker on job satisfaction and self-development.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rom January 5th to March 10th, 2020, and 243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27 unanswered or unfaithful questionnaires were disregarded. Using SPSS WIN 21.0 was appli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Firs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For validity verification, one-way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pon examining the hypothesis that vo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was shown,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determined vo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job satisfaction for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Second, upon examining the hypothesis that vo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self- development,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elf-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and job satisfaction. Third, upon examining the hypothesis that occupational vo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self- development,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elf-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of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옥. (2020). 헤어미용 산업 종사자들의 직업 가치관과 윤리의식이 조직신뢰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지선. (2014).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명실행과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윤태. (2012). 초등교원들의 여가활동이 교사 효능감과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4), 33-51.
  4. 김혜정, 이재은, 전해정. (2019). 미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소명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3(4), 19-34.
  5. 김형선. (2016). 교사 성과상여금 지급의 공정성, 피드백 수용도, 자기계발 동기, 조직 헌신 간의 구조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곽기숙, 송연숙(2014). 한국 헤어미용 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요인과 직업 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20(4), 583-589.
  7. 권선영. (2014) 한국형 직업소명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네이버 국어사전. 개발, 계발. 자료검색일 2020. 6. 15, 자료출처 https://ko.dict.naver.com/#/correct/korean/info?seq=265.
  9. 박숙자, 한채정. (2014). 뷰티 직영프랜차이즈 소속 관리사의 직업 정체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피부관리실 중심으로. 대한미용학회지, 10(3), 239-244.
  10. 박혜진, 진용미. (2019). 미용사의 목표설정과 목표몰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25(1), 173-179.
  11. 신미경. (2020). 헤어미용인의 직업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으로 하여. 웨스턴민스터 신학대학원.
  12. 신수경. (2013). 성인학습자들의 자기계발 학습 참여 과정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정숙, 소황옥. (2015). 패션기업 조직유형이 디자이너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3), 115-133.
  14. 송소진. (2009). 미용사의 자아존중감과 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송진호. (2016). 직장인의 소명의식, 일몰입, 일가치감, 직무만족 및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성태제. (2007).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17. 이지원, 이기학. (2015). 학생의 진로소명과 삶의 만족의 관계: 진로결정몰입과 전공 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7(4), 955-956.
  18. 이민화. (2017). 헤어미용인의 직업전문성 및 소명 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현지. (2014). 미용실 종사자의 직업전문성 인식과 사회적지지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임지윤, 신용환, 이창환, 손우, 하유진. (2014). 예술계 고등학생의 소명의식과 부정적 진로조언 수용성: 확인편향의 매개효과와 행동활성화체계 주관적 성적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학교, 11(1), 227-251. https://doi.org/10.16983/KJSP.2014.11.1.227
  21. 임영미. (2013). 미용실 CS교육에 따른 직무만족도, 서비스품질, 고객만족도 차이. 한국미용학회지, 19(1), 1-10.
  22. 유재선. (2018). 헤어미용인의 소명의식이 직무만족과 재교육 의지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유주희. (2019). 기업교육 명강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자기계발 사례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전진우. (2019. 12. 10). 장래희망 초등생 1위 운동선수.3위 크리에이터...중고생은 교사. 뉴시스. 자료검색일 2020. 6. 28, 자료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191210_0000855520&cID=10201&pID=10200
  25. 정희영. (2014). 헤어미용사의 성취동기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20(4), 688-695.
  26. 주성탁. (2015). 자기계발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소라, 정성지, 김나미, 김태은, 안시현, 이민지, 장미순. (2016). 국내 패션기업 종사자의 스포츠 활동참여에 따른 집단 간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8(1), 23-34.
  28. 최소라, 정성지, 김동건. (2016). 국내 패션기업 종사자들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조직 몰입, 이직의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8(2), 65-78.
  29. 최재영, 김윤정. (2014). 미용서비스산업 종사자의 가치관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대한미용학회지, 10(4), 253-260.
  30. 채서일. (2004).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학현사.
  31. 한현주, 박선민. (2019). 네일 미용 종사자들의 네일 제품 속 유해화학물질 인식과 건강자각증상,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 구조적 관계. 대한미용학회지, 15(1), 79-93.
  32. 한종국. (2015). 직무특성이 중고령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령친화적 인적자원 관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홍다미. (2017). 직장인의 소명실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력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황서현. (2015). 호텔 직원의 직업소명의식과 자기주도학습, 혁신행도 및 직무성과의 구조적 관계.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Dik, B. J. & Duff, R, D. (2009).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The Counseling Psychologist, 37(3), 424-450. https://doi.org/10.1177/0011000008316430
  36. Hoppock R: Job satisfaction. J of Applied Psychol, 3, 30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