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모두를 위한 플랫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기반 일상 아카이브 설계

Archival Platform for Everyone : Archival Design with Social Media Platform Based on User Experience Design

  • 양인호 ((주)크루메이트 공공사업본부)
  • 투고 : 2020.09.30
  • 심사 : 2020.10.13
  • 발행 : 2020.10.31

초록

본 연구는 공공기록의 전통적인 수집 프로세스에서 벗어나 일상기록의 수집과 소통의 방안으로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소셜 아카이브'를 제안하였다. 소셜 아카이브는 다양한 사람이 모여 소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광장'을 지향한다. '기록'을 매개체로 일상을 기록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기초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연구자와 연구자, 연구자와 생산자 등 다양한 이용자 간의 소통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일상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창의적인 방법론',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연구자를 위한 서비스', '지속성을 위한 유지방안'으로 정리하고,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중심으로 소셜 아카이브 플랫폼으로서 소셜미디어의 가능성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를 살펴보면서 소셜 아카이브의 일부 기능을 설계하고, UX 디자인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Shall we apply the existing record management method to our trivial daily records?" For the general public, we focus on media that thinks more about daily recordings and suggests a better method, suggesting a 'social platform' as a plan, and using the user's visual approach through UX design methodology. The social archive proposed in this study aims to be a 'square' where various people can gather and communicate and share. A space that can record daily life using 'record' as a basic body Purpose It aims to provide the basis for basic research in various fields, and aims to function as a space for communication of various research things such as researchers and researchers, researchers and producers. In order to maintain, focus on the prerequisites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the items to be researched when constructing the daily archive are 'creative methodology to change research items when building a paradigm', 'network with related organizations', 'service plans for persistence',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W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social media as a social archive platform. Finally, while looking at the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I designed some features of the social archive and suggested things to do in UX design.

키워드

참고문헌

  1. Jacques Derrida. Translated by Eric Prenowitz. 1996. Archive Fev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nasmedia. 2019. 글로벌 SNS 이용 및 매체별 오디언스 현황. GLOBAL TREND, Vol.295.
  3. WIRED. 2014. Ev Williams' Rules for Quality Content in the Clickbait Age. 검색일자 2020.9.2. http://asq.kr/5mWgAdr6iYeI
  4. WIRED. 2015. 出版界を飛び出しミディアムに集結した3人が語る, ウェブ時代のジャーナリズム. 검색일자 2020.8.2. https://wired.jp/2015/01/12/medium-2
  5.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https://doi.org/10.20923/kjas.2011.29.003
  6. 권순명.이승휘.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1, 41-84. https://doi.org/10.20923/kjas.2009.21.041
  7. 그레고리 번스, 김정미 역. 2009. 아이코노클라스트, 비지니스맵.
  8. 김덕묵. 2012. 마을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을기록관'을 제안한다. 기록학연구, 33, 39-84. https://doi.org/10.20923/kjas.2012.33.039
  9. 김덕묵. 2016. 마을기록물의 수집과 활용. 기록학연구, 49, 299-325. https://doi.org/10.20923/kjas.2016.49.299
  10. 김성현.김인철. 200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의의와 미래.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9, 241-260.
  11. 김왕배. 1999. 일상생활세계론. 경제와사회, 43, 175-204.
  12. 김익한. 2010. 마을 아카이빙 시론. 기록학연구, 26, 151-172. https://doi.org/10.20923/kjas.2010.26.151
  13. 김주관. 2012. 공동체의 기억을 담는 아카이브를 지향하며. 기록학연구, 33, 85-112. https://doi.org/10.20923/kjas.2012.33.085
  14. 김홍열. 2013. 디지털 시대의 공간과 권력. 한울 아카데미.
  15. 디지털타임스. 2020. "짧고 강렬하게 핵심만 전달"… '숏폼' 콘텐츠 전성시대. 검색일자 2020.8.29. http://asq.kr/JJS7kE7aU3VH
  16. 러스웅거.캐롤린 챈들러, 이춘희.이지현 역. 2010. UX 디자인 프로젝트 가이드. 위키북스.
  17. 매일경제. 2019. 베스트셀러 제조기 된 '브런치'. 검색일자 2020.8.17.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9/10/793969
  18. 미셜 마페졸리 외. 박재환 외 옮김. 2006.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9. 박준우. 2010. 온라인 브랜딩 강화를 위한 웹콘텐츠 경험요소 분석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3), 215-225.
  20. 설문원. 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103-149. https://doi.org/10.20923/kjas.2010.26.103
  21. 설문원. 2011.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07-230.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1.207
  22.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https://doi.org/10.20923/kjas.2012.32.003
  23. 설진아. 2011. 소셜 미디어와 사회 변동. 커뮤니케이션북스.
  24. 손동유. 2020.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의 의미와 과제. 기록학연구, 65, 89-108.
  25. 손동유.이경준. 2013.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기록학연구, 35, 161-206. https://doi.org/10.20923/kjas.2013.35.161
  26. 신동희. 2013. 휴머니타스 테크놀로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7. 심성보. 2011. 일상 아카이브즈를 통한 생활세계 연구의 가능성. 국제한국학연구, 5, 93-109.
  28. 안드리.송영랑 2020.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연구. 기록학연구, 65, 227-251.
  29. 안병직. 2006. 서양사에서의 일상사 연구 동향. 한국사 시민강좌, 39, 221-240.
  30. 알프뤼드케, 나종석 역. 2002. 일상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31. 오명진. 2017. 개인 기록의 특성과 기록화 전략. 기록학연구, 53, 79-1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079
  32. 오의경. 2017. 대학의 설립자 개인기록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1), 143-161.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1.143
  33. 윤용선. 1998. 독일 일상사의 이론적 논의. 외대사학, 8, 231-255.
  34.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https://doi.org/10.20923/kjas.2012.33.003
  35. 윤택림. 1996. 생활문화속의 일상성의 의미. 한국여성학, 12(2), 79-117.
  36. 이경남.이현정 2020. 서사 기반 수집 실행지침의 설계와 개발절차. 기록학연구, 65, 199-226.
  37. 이경래. 2013a.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기록학연구, 37, 3-39. https://doi.org/10.20923/kjas.2013.37.003
  38. 이경래. 2013b. 북미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논의와 비판적 독해. 기록학연구, 38, 225-264. https://doi.org/10.20923/kjas.2013.38.225
  39. 이경래. 2014. 호주 원주민 공동체 아카이브와 '평행출처주의'의 현재적 의미. 기록학연구, 40, 29-60. https://doi.org/10.20923/kjas.2014.40.029
  40. 이경래. 2015.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모델 연구. 기록학연구, 45, 51-82. https://doi.org/10.20923/kjas.2015.45.051
  41. 이경전. 2007. 비즈니스모델 관점에서의 웹2.0. 정보과학회지, 25(10), 16-22.
  42. 이귀영. 2015. 중앙행정기관의 소셜미디어 아카이브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3), 141-167.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3.141
  43. 이영남. 2008. '마을아르페' 시론. 기록학연구, 18, 221-254. https://doi.org/10.20923/kjas.2008.18.221
  44. 이영남. 2012. 공동체 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https://doi.org/10.20923/kjas.2012.31.003
  45. 이은주. 201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트위터. 언론정보연구, 48(1), 29-58. https://doi.org/10.22174/JCR.2011.48.1.29
  46. 이재현. 2012. 글쓰기 공간으로서의 SNS. 커뮤니케이션 이론, 8(1), 323-351.
  47. 이재현. 2014. SNS의 열 가지 얼굴. 커뮤니케이션북스.
  48. 이혜린.박주석. 2016. 온 카와라 작품에 나타난 개인의 일상기록 연구. 기록학연구, 49, 213-246. https://doi.org/10.20923/kjas.2016.49.213
  49. 이혜린.박주석. 2018. 앤디 워홀의
  50. 임진희 2011. 일상 아카이브즈 구축방안. 국제한국학연구, 5, 111-128.
  51. 장원순. 2004. 사회문화교육방법으로서의 '일상생활'분석. 사회과교육, 43(4), 167-187.
  52. 전우용. 2019. 역사는 승리한 자의 기록이다. 검색일자 : 2020.8.24 https://www.facebook.com/wooyong.chun/posts/3098446130227655?notif_id=1570757911429100¬if_t=feedback_reaction_generic
  5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가상성과 일상성의 컨버전스에 관한 연구. 디지털 컨버전스기반 미래연구(I), 09-25.
  5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4. 소셜미디어의 이용 유형과 사회적 순기능.역기능.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4-55-03.
  55. 조화순.김정연. 2012. 소셜미디어의 매체 특성과 참여의 커뮤니케이션.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0(2), 95-130.
  56. 최유리.임진희. 2016. 개인기록 관리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47, 5-49. https://doi.org/10.20923/kjas.2016.47.005
  57. 최인혁.이영학. 2015. 생애사 연구에 기반을 둔 개인 기록화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49-76.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049
  58. 최효진.임진희. 2017.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기록학연구, 46, 95-152. https://doi.org/10.20923/kjas.2015.46.095
  59. 카를로 진즈부르그, 김정하.유제분 옮김. 2001. 치즈와 구더기. 문학과지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