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Instruction

초등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 조미헌 (청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 Received : 2020.07.27
  • Accepted : 2020.09.02
  • Published : 2020.11.28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ajor factors that constitute good instruction, and attempted to find way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157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senior students at a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main areas of good instruction and major factors for each area,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factor were answered on a 5-point scale. As the result of the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all 24 factors. In additi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3 factors to be concentrated for the improvement, 9 factors to be kept up because of their good work, 9 factors to have low priority, and 3 factors to avoid excessive effort.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 proposed issues to be considered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C대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예비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좋은 수업의 주요 영역 4가지와 각 영역별 주요 요소들로 구성되었으며, 각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t검정을 실시한 결과, 24가지 모든 요소들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한 결과, 우선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을 집중해야 할 요소가 3가지, 좋은 성과를 보이기에 유지해야 할 요소가 9가지, 우선순위를 낮게 두어야 할 요소가 9가지 그리고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할 요소가 3가지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초등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Keywords

I. 서론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지능형 로봇, 혼합현실,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기술이 융합되어 경제 활동과 산업은 물론 사회 전반적으로 초지능, 초연결, 초실감 등과 같은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1][2].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는 우리 사회에서 유별나게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또 다른 한 편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많은 관심은 급박하게 진행되는 변화 속에서 더 나은 사회를 구성하고, 교육 분야에서도 더 질 높은 교육 활동을 수행하는 계기로 삼으려는 절박함에서 비롯된 것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1].

그러한 노력을 교육부의 ‘2020 업무계획’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교육부는 모든 초·중·고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며, 온라인 협업학습과 같은 ICT 활용 교육이 가능하도록 기가급 무선 환경을 구축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준비함에 있어서 인공지능 교육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3].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와 학생 간에 이루어지는 수업이며, 그 수업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주체가 교사이기 때문이다[4-7].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이 되는 각종 테크놀로지가 발달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됨에 따라서 교사의 역할은 축소될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며 자신의 학습 활동을 스스로 관리하고 능동적인 존재로 성장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학습 상황을 다양하게 설계하고 실행하는 교사의 역할이 오히려 이전보다 더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8].

교사가 목표로 하는 최선의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칭할 때, 그 용어가 갖는 주관적이고 복합적인 특성 때문에 좋은 수업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이 공감하는 좋은 수업의 요소들을 추출하는 것은 가능하며, 그 요소들이 좋은 수업을 실행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중요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9][10].

많은 선행 연구들이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려 하였지만 중요하게 인식된 좋은 수업의 특징들이 실제로 얼마나 실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문제가 있다[4]. 또한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을 분석했던 소수의 연구도 현장교사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없다. 2020년 초에 교육부가 학교의 혁신을 위하여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제고하고자 교·사대 교육과정을 개편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3]. 이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 교육에서 가장 중시되어야 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의 중요도와 실행 수준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좋은 수업에 대한 시각

학교 교육 현장에서 수업이 갖는 중요성을 고려할 때, ‘좋은 수업’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그 개념을 정의하고 특성을 탐색하고자 노력을 기울여왔다. ‘좋은’이라는 단어가 갖는 주관성과 상대성 그리고 ‘수업’이라는 단어가 갖는 복합성으로 말미암아 ‘좋은 수업’에 대한 탐색은 쉽지 않다[10-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수업’이 추구하는 공통 요소들이 분명히 존재하며, 교사가 이 요소들을 잘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구성하여 실행할 때 좋은 수업은 실현될 수 있다[9][10].

좋은 수업이 갖추어야 하는 요소들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재해석되어 왔다. 이에 시대 변화에 따른 그 요소들의 변화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과거 오랜 기간 동안 전통적인 수업은 지식의 체계적인 전수를 통한 학생들의 지력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은 다양한 자료, 방법, 매체 등을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13][14].

이후 교육 분야에서 여러 변화들이 일어났으며, 그중에서 구성주의 패러다임의 도입, 지식정보사회와 4차 산업혁명의 영향 그리고 이에 따른 교육혁신 노력 등과 같은 세 가지 변화가 수업의 구성과 실행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에 따라서 교사들은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수업을 능숙하게 실행하기를 요구받아왔기에 이 세 가지 변화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구성주의 측면에서 좋은 수업이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지식을 탐색하고, 구성할 수 있도록 학습의 장을 제공하고 학습 활동을 촉진하는 것을 의미한다[10][11][13][14]. 학생 중심의 학습 활동들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토론토의 학습, 협동 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을 중시하며, 학교 교육 상황에서 학생 중심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립 러닝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교수-학습방법도 도입되었다. 평가에 있어서도 수행평가, 과정중심평가 등이 이전 보다 더 강조되고 있다. 구성주의 패러다임의 도입은 수업의 주체를 교사에서 학생으로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생 간의 신뢰에 기초를 둔 상호작용을 중시하고,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한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 변화 속에서 교육은 학생들이 지식대신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들을 신장하도록 주력을 기울이게 되었다[1][15]. 이에 따라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 및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게임기반학습,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활용 등 교수-학습 방법을 변화시키는 노력과 함께 개별화된 교육, 학생의 주문에 의한 교육 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다. 교육부가 발표한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 자료에서도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교육, 사고력·문제해결력·창의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교육, 학생 개인의 학습능력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등을 미래 교육의 방향으로 제시하였다[16].

이와 더불어서 시대적 변화 속에서 교육의 혁신적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져왔다. 한국 교육개발원에서 수행된 한 연구[17]는 교육 혁신과 관련하여 국내의 제도권 안(혁신학교, 자율학교, 일반학교), 제도권 밖(대안 교육기관) 그리고 ‘OECD 교육2030’을 포함한 해외의 교육 혁신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율과 책임의 실행, 관계 회복, 학생들의 선택권 확대,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실생활과 연계된 교육 내용, 과정 중심 평가, 학생 참여형 수업, 시간과 속도의 상대성을 인정 하는 학생 중심의 교육, 주체적인 교육 설계자로서의 학생 인정 등이 공통된 특징들로 발견되었다.

이상과 같이 시대적 변화 속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인식이 변화되어 온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변화된 요구가 전통적인 수업에 대한 요구보다 더 중요하다고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예를 들어서, 강의식 수업은 객관적인 정보를 제한된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에 학생이나 학습 내용의 특성에 따라서 충분히 중요한 수업 방식이다[10]. 시대의 흐름 속에서 좋은 수업이 갖추어야 할 특성이 달라졌다기 보다는 그 특성의 폭이 넓혀진 것이며, 이에 따라서 대상 학생이나 학습내용의 특성, 수업 상황 등에 맞게 주요 요소들을 선택하고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위에서 나열한 여러 변화 요소들을 설문 문항에 포함하여 그 요소들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 수준을 분석하였다.

2. 선행 연구

선행연구들을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우선 좋은 수업의 특성을 분석함에 있어서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을 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의 대상과 연구 방법에 대한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미시적 접근을 했던 선행연구 사례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은희와 유준호[5]는 심층면담과 저널쓰기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과 예비초등교사들이 좋은수업의 공통 요건으로 ‘활동중심 수업’과 ‘학생중심 수업’을 중시한다고 밝혔다. 신재한[12]은 Q방법을 사용하여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유형으로 ‘학생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하는 수업’, ‘학생이 재미있게 참여하는 수업’, ‘학생이 자신감과 성취감을 경험하는 수업’,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 등과 같은 4가지를 제안하였다. 조규진, 김도기와 김명수[7]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조건을 탐색하고, ‘짜임새 있는 수업 설계’, ‘효과적인 언어적 전달력’, ‘효과적인 시청각적 전달력’, ‘적극적인 학생의 참여와 상호작용’,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와 수업목표 도달’ 등과 같은 5가지 조건들을 제시하였다. 김무길[9]은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풍부한 교수매체가 활용되는 수업’, ‘효율적 교수전략이 수립된 수업’, 그리고 ‘학생이 주도적으로 지식을 구성해가는 수업’과 같은 3가지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박희진, 성경환과 권동택[10]은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좋은 수업을 ‘교과 내용 전달을 위해 잘 구조화된 수업’, ‘일상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역량을 키워주는 수업’, ‘학생에게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키워주는 수업’, ‘학생을 고려하고 존중하는 학생중심수업’, ‘교사와 학생 간 소통이 활발한 수업’, ‘학생의 학습을 위해 교사의 적절한 지원이 있는 수업’, ‘학생의 학습을 위해 교사가 준비하고 노력한 수업’의 7가지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은 좋은 수업의 주요 요소들을 미시적 수준에서 찾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이와 비교할 때 수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영역들에 초점을 두고 거시적으로 접근하여 좋은 수업의 주요 요소들을 탐색한 연구들이있다. 서경혜[11]는 초·중등학교 교사들과 중·고등학교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하고, 교과내용과 관련한 ‘전달’, 학생들의 지식 구성 활동과 관련한 ‘구성’, 상호작용 및 상호 신뢰와 관련한 ‘관계’ 그리고 수업목표 달성과 관련한 ‘결과’를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4가지 주요 관점으로 제안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행된 조난심 외[18]의 연구는 ‘수업 내용’, ‘수업 방법’, ‘수업환경’과 ‘학생 평가’를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주요 영역으로 설정하고, 각 영역과 관련된 주요 조건들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정의하였다. 이 연구는 수업의 전 영역(내용, 방법, 환경, 평가)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다는 특성을 갖는다. 권성연[4]은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위의 조난심 외의 연구가 제안한 4가지 영역들 각각에 대해 좋은 수업의 주요 요소들을 도출하여 좋은 수업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체계화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 내용에 대한 6개 요소, 교육 방법에 대한 10개 요소, 교육 환경에 대한 5개 요소 그리고 교육 평가에 대한 3개 요소를 추출하여 모두 24개의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이상과 같이 선행연구는 미시적인 측면에서 좋은 수업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던 연구들과 거시적인 측면에서 좀 더 체계적으로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영역들을 분류하고 각 영역별 주요 요소들을 추출한 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는 거시적인 수준에서 여러 영역들과 각 영역별 주요 요소들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편, 학교 현장에서의 좋은 수업에 초점을 두었던 선행 연구들이 있다. 이 연구들은 교사들을 대상으로좋은 수업의 유형이나 조건을 분류하거나(예: [7][12]), 좋은 수업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거나(예: [13][14]),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예: [4][5][10][19])하거나, 또는 교과와 연계하여 좋은 수업의 특성을 분석(예:[6][20])하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좋은 수업의 특성을 모색하였다. 초등 교육과 관련하여 좋은 수업의 특성을 살펴본 대부분의 연구들은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되었으며,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소수(예: [5][6][10])에 제한된다. 예비교사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좋은 수업에 대한 연구들이 좀 더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연구 방법 측면에서 선행 연구를 분석하자면, 좋은 수업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현황을 파악할 뿐 아니라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기위하여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좋은 수업과 관련하여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연구들(예: [4][21][22])이 있으나 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했던 선행 연구들은 모두 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과 관련하여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연구는 수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의 실태 파악과 더불어서 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의 대상은 C대학교에 2020년 1학기에 컴퓨터 관련 과목을 수강하였던 4학년 7개 전공분야의 예비교사 157명이었다. 총 17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13명이 불성실하게 응답을 하여 연구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연구 대상의 성별 분포는 남학생이 34명(21.7%) 그리고 여학생이 123명(78.3%)이었다. 전공계열별로는 문과계열 47명(29.9%), 이과계열 48명(30.6%) 그리고 예체능계열 62명(39.5%)이었다.

2. 연구 도구

본 연구는 권성연[4]이 여러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24가지 주요 요소들을 추출하고, 조난심 외의 연구[18]가 제시한 수업의 주요 4가지 영역(내용, 방법, 환경 및 분위기, 평가)별로 정리하여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 문항에 대해 교육공학 전문가 1인, 교육평가 전문가 1인과 수석교사 2인의 검토를 받았으며, 문항의 명확한 전달을 위하여 표현의 일부를 수정하였다. 각 요소들에 대해 좋은 수업으로 규정할 수 있는 주요 특성으로 인식하는 정도(중요도)와 자신이 실제 수업에서 실행할 수 있는 수준(실행도)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중요도의 경우 ‘전혀 중요하지 않다(1)’에서 ‘매우 중요하다(5)’까지 그리고 실행도의 경우에는 ‘매우 못한다(1)’에서 ‘매우 잘한다(5)’까지의 Likert식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4가지 영역별 중요도 및 실행도와 관련한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한 결과, Cronbach’s α 값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표 1. 주요 영역별 설문 문항의 신뢰도

CCTHCV_2020_v20n11_435_t0001.png 이미지

3. 자료 분석 방법

초등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과 실행도를 비교·분석하고자 먼저 좋은 수업과 관련한 영역별 세부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요소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응답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x축에는 실행도를 그리고 y축에는 중요도를 놓고, 각 항목별 요소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를 그래프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그림 1]과 같이 그래프에서 위치한 영역에 따라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할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23].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에 위치하면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기에 현재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중요도는 높은데 실행도는 낮은 2사분면에 위치하면 집중적으로 노력하여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3사분면에 위치하면 우선순위를 낮게 부여하고, 중요도는 낮은데 실행도가 높은 4사분면에 위치하면 이미 지나치게 많은 노력이 투입되었기에 과잉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CCTHCV_2020_v20n11_43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중요도-실행도 좌표

IV. 연구 결과

1. 영역별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4개 영역에서 좋은 수업과 관련한 주요 요소들에 대해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먼저 ‘교육내용’ 영역과 관련한 6개 요소 모두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가장 큰 차이가 발견된 것은 ‘문제해결능력, 추론능력 등 고차원적 사고 개발에 중점을 두고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이었으며, 가장 작은 차이가 발견된 것은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이었다.

중요도에 대한 인식 점수가 가장 높았던 것은 ‘학생의(사전)지식수준에 맞게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이었으며, 중요도 점수가 가장 낮았던 것은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이었고, 그 다음으로 ‘문제해결능력, 추론능력 등 고차원적 사고 개발에 중점을 두고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에 대한 점수가 낮았다. 한편 실행도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문제해결능력, 추론능력 등 고차원적 사고 개발에 중점을 두고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교육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CCTHCV_2020_v20n11_435_t0002.png 이미지

***p<.001

‘교육 방법’ 영역의 10가지 주요 요소들에 대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요소들 모두에 대해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양한 학생의 특성, 능력과 스타일을 반영하는 수업’에 대해 가장 큰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수업의 목표와 학생에게 기대되는 바를 분명하게 제시하는 수업’에 대해 가장 작은 차이가 발견되었다.

중요도에 대한 인식 점수가 가장 높았던 요소는 ‘질문과 답변, 피드백 등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수업’이었으며, 이와 비교할 때 ‘학생에게많은 권한, 책임과 선택권을 주는 수업’에 대한 중요도인식이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다양한 교육 방법(강의. 토론, 협동학습, 프로젝트학습, 플립러닝, 실험 등)을 활용하는 수업’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한편, 실행도는 ‘수업의 목표와 학생에게 기대되는 바를 분명하게 제시하는 수업’과 ‘학생의 흥미와 동기를 자극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수업’에 대한 점수가 동일하게 가장 높았다. 이와 비교할 때, ‘다양한 학생의 특성, 능력과 스타일을 반영하는 수업’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다양한 교육 방법(강의. 토론, 협동학습, 프로젝트학습, 플립러닝, 실험 등)을 활용하는 수업’에 대한 실행도가 낮았다.

표 3. 교육 방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CCTHCV_2020_v20n11_435_t0003.png 이미지

***p<.001

교육 환경과 분위기’ 영역의 5가지 주요 요소들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요소들 모두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실 내 규칙을 통해 학생들의 관리가 잘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가장 큰 차이가 보였고, ‘물리적인 환경이 잘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해 가장 작은 차이가 발견되었다.

중요도에 대한 인식 점수가 가장 높았던 요소는 ‘교사와 학생 간에 신뢰하고 존중해 주는 분위기의 수업’이었으며, ‘물리적인 환경이 잘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았다. 실행 수준과 관련해서는 ‘교사와 학생 간에 신뢰하고 존중해주는 분위기의 수업’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았고, ‘교실내 규칙을 통해 학생들의 관리가 잘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았다.

표 4. 교육 환경과 분위기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CCTHCV_2020_v20n11_435_t0004.png 이미지

***p<.001

마지막으로 ‘교육 평가’ 영역과 관련하여, 3가지 주요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요소들 모두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식의 기억이 아닌 깊이 있는 수준의 지식 이해와 적용을 평가하는 수업’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가장 큰 차이가 발견되었다.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평소 수업 활동과 연계하여 수행평가를 하는 수업’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았다.

표 5.교육 평가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CCTHCV_2020_v20n11_435_t0005.png 이미지

***p<.001

2. 중요도-실행도 분석

예비교사들이 좋은 수업을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해야 할 요소들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균점수를 중심으로 중요도를 y축으로 하고 실행도를 x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리고, 나뉘어진 사분면에 각 영역별 세부 요소들의 점수들을 위치시키고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한 결과는 [그림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CCTHCV_2020_v20n11_43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좋은 수업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그래프에서 점수가 분포된 위치에 따라서 세부 요소들의 개선 방안을 4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6.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따른 4가지 개선 방안 구분

CCTHCV_2020_v20n11_435_t0006.png 이미지

4가지로 구분된 개선 방안들 중에서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2사분면에 위치한 요소들로서, 이 요소들에 대해서 예비교사들이 중요도는 높게 인식하지만 실행도가 낮기에 개선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교육 내용 영역에서 학생의 지식수준에 맞게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수업과 교육 평가 영역에서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수업 및 절대평가와 개인의 발전 정도에 따른 평가를 실시하는 수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우선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실행도 역시 높은 1사분면에 위치한 요소들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실제적인 내용 구성, 학생의 흥미와 동기 자극, 민주적이고 허용적인 분위기 등을 포함하여 3개 영역에서 모두 9가지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요소들은 현재 중요성도 높게 인식되고, 좋은 실행도를 보이기에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음으로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이 모두 낮아서 3사분면에 위치한 요소들은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개념과 원리를 다루는 수업, 다양한 학생들의 특성, 능력과 스타일을 반영하는 수업, 규칙을 통해 학생들에 대한 관리가 잘 되는 수업, 심화 수준의 지식 이해와 적용을 평가하는 수업 등 4개 영역에서 총 9가지 요소들이다. 이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덜 인식되고 그에 따라 실행 수준도 낮기에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가 낮다.

마지막으로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낮지만 실행도가 높아서 4사분면에 위치한 요소들은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한 수업 내용 구성, 수업 목표를 분명하게 제시하는 수업, 물리적인 환경이 잘 갖추어진 수업과 같이 3개 영역에서 3개 요소들이었다. 이 요소들은 중요도와 비교할 때 실행도가 더 높기에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한다.

V. 결론 및 제언

학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업이며, 이에 따라서 좋은 수업에 대한 고민은 지속되어 왔다[5][6][10]. 교육부[3] 역시 미래 교육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교원의 수업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교·사대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교원 종합대책(‘(가칭)교원정책 2030’)을 수립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동향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고, 예비교사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중요도와실행도 차이 분석’과 ‘중요도-실행도 분석’의 2가지 측면에서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몇 가지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4가지 영역의 주요 요소들 모두에 대해서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 결과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전반적으로 실행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사실을 밝혀주며, 각 영역별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파악하여 대처하는 노력이 필요 하다.

먼저 교육 내용과 관련하여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몇가지 시사점들을 살펴보자면, ‘학생의 지식수준에 맞게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에 대한 중요도 점수가 가장 컸다는 결과에서 예비교사들이 교사 중심의 전달식 수업을 중시하고 있고, 그 인식이 교육 현장에서 구성주의적 실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의 수준에 맞는 내용 구성은 학습 분석(Learning Analytics)을 통해 개별화된 적응형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테크놀로지 기반의 지원이 가능하며[1][16][24][25], 교육부[16] 역시 이를 고려하여 지식정보사회에 대처한 교육 전략 중 하나로 개인의 학습 능력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시스템 구축을 주요 전략으로 명시한 바 있다. 향후 교육은 테크롤로지가 융합된 수업을 중시할 것이기에 교사역할에 대한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서 최근 사회 변화에 따라 학생 중심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활동과 고차원적인 사고를 중시하는 구성주의 교수-학습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중시하게 되었다[13][16][26]. 이러한 경향과 관련하여, ‘문제해결능력, 추론능력 등 고차원적 사고 개발에 중점을 두고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응답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고차원적 사고 개발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는 모두 낮게 나타났고,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구성주의 패러다임으로의 교육 변화와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교육 방법과 관련하여 ‘질문과 답변, 피드백 등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지적한 결과는 선행연구들(예: [7][12][18])의 결과와 일치된다. 또한 ‘수업의 목표와 학생에게 기대되는 바를 분명하게 제시하는 수업’에 대한 실행도 점수가 높았던 것은 예비교사들이 교사가 주도하는 방법에 대한 실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다양한 학생의 특성, 능력과 스타일을 반영하는 수업’에 대한 실행도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점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교육부[16]가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을 미래교육을 위한 주요 전략으로 제안하였던 것과 대조된다. 교육부의 정책방향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해 예비교사들의 실행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서 ‘다양한 교육 방법(강의. 토론, 협동학습, 프로젝트학습, 플립러닝, 실험 등)을 활용하는 수업’과 관련한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게 나타난 결과에도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교육의 변화를 다룬 많은 연구들은 프로젝트기반학습, 게임기반학습, 협동학습, 플립러닝 등 다양한 교육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1][17][27]. 따라서 예비교사교육을 통해 다양한 교육 방법 도입의 필요를 인식하고, 구체적인 도입 방법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겠다.

교육 환경과 분위기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생 간에 신뢰하고 존중해 주는 분위기의 수업’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상호 존중하는 분위기는 다른 연구들(예: [5][10][11])에서도 좋은 수업과관련한 주요 요소로 제안된 바 있다. 또한 ‘교실 내 규칙을 통해 학생들의 관리가 잘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한 실행도가 가장 낮았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요소는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생들과 실제 상호작용을 하는 가운데 그 실행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 대상 교육에서 이론에 그치지 말고, 시뮬레이션, 사례 연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해야 하겠다.

교육 평가와 관련해서는 ‘평소 수업 활동과 연계하여 수행평가를 하는 수업’에 대해서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현 교육의 문제를 전문가들이 진단한 결과, 학교교육의 문제들 중에서 객관식평가에 의해 경쟁적 서열화를 강조하는 교육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 바 있다[1]. 이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 변화와 미래를 전망한 교육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많은 연구들(예: [11][17][26])이 수행평가의 중요성을 지적한 바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실행도가 높은 것은 긍정적인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고, 예비교사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1사분면과 3사분면에 위치한 요소들이 많았다. 이 결과는 예비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한 만큼 실행 수준도 갖추게 된다는 경향을 보여주기에 좋은 수업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예비교사의 중요성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밝혀준다.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향후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각 영역별로 우선순위를 분류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 내용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일상생활과 관련된 실제적인 교육 내용으로 구성한 수업(C3)’이 좋은 성과를 보이기에 유지해야 할 요소이며, ‘학생의(사전)지식수준에 맞게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C1)’이 개선 노력을 집중해야 할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한 수업(C4)’,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C5)’, ‘문제해결능력, 추론능력 등 고차원적 사고 개발에 중점을 두고 교육 내용을 구성한 수업(C6)’과 같은 3가지 요소들이 낮은 중요도와 실행도로 우선순위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한 수업’은 중요도 인식은 낮지만 실행도가 높기에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 방법과 관련해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개선 노력을 집중해야 할 요소는 없었으며, ‘다양한학생의 특성, 능력과 스타일을 반영하는 수업(M4)’, ‘다양한 교육방법(강의, 토론, 협동학습, 프로젝트학습, 플립러닝, 실험 등)을 활용하는 수업(M5)’, ‘다양한 교구, 매체와 수업 자료를 활용하는 수업(M6)’, ‘학생에게 많은 권한, 책임과 선택권을 주는 수업(M7)’ 등의 4가지 요소들에 대해서는 우선순위가 낮은 것으로, 그리고 ‘수업의 목표와 학생에게 기대되는 바를 분명하게 제시하는 수업(M1)’에 대해서는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비교할 때, ‘질문과 답변, 피드백 등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수업(M9)’을 포함한 나머지 5가지 요인들에 대해서는 좋은 성과를 보이기에 유지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 환경과 분위기 측면에서도 개선 노력을 집중해야 할 요소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비교할 때, ‘교실 내 규칙을 통해 학생들의 관리가 잘 이루어지는 수업(E2)’은 우선순위가 낮은 것으로, 그리고 ‘물리적인 환경이 잘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수업(E1)’은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사와 학생 간에 신뢰하고 존중해 주는 분위기의 수업(E4)’, ‘민주적이고 허용적인 분위기의 수업(E3)’, ‘학생에게 균등하고 공평한 기회가 주어지는 수업(E5)’과 같은 3가지 요소들은 좋은 성과를 보이기에 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 평가의 측면에서는 좋은 성과를 보이기에 유지해야하는 요소와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요소는 발견되지 않았다. ‘평소 수업 활동과 연계하여 수행평가를 하는 수업(A1)’과 ‘상대평가보다는 절대평가나 개인의 발전 정도에 따른 평가를 실행하는 수업(A2)’ 요소들은 개선 노력을 집중해야하는 것으로, 그리고 ‘지식의 기억이 아닌 깊이 있는 수준의 지식 이해와 적용을 평가하는 수업(A3)’은 우선순위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2019년 교육부 정책 추진 성과에 대한 평가 결과, 다양한 테크놀로지, 교육수요 등에 맞춘 교육 방법 및 평가방법 혁신, 교원 역량 제고 등을 위해 노력을 하였으나 그 추진 속도가 부진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 학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좋은 수업을 하기 위하여 교육 방법과 교육 평가를 포함하여 다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통해 발견된 개선 노력을 집중해야 할 요소들에 우선순위를 두고, 좋은 상태를 보이는 요소들에 대해서는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하며,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도록 하는방향으로 예비교사 교육이 개선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예비교사 교육에 반영함에 있어서 좋은 수업의 주요 요소들은 상호 배타적이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특성을 갖기에[10], 좋은 수업과 관련된 요소들에 대해 복합적이며 유기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중요도에 가중치를 주어 요구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Borich의 요구도 분석방법과 Locus for Focus 모델을 함께 사용하는 등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좋은 수업 운영과 관련한 요구 분석을 수행하고 개선 방안을 파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학년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학년에 따른 예비교사 교육의 세부적인 지도 방안을 교육 실습과 연계하여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서 올해 대두되고 있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 교육과 관련한 좋은 수업의 특성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교사 교육의 방향과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안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류방난, 김경애, 이상은, 한효정, 이윤미, 이종태, 최항섭,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한국의 미래, 한국교육개발원, 2018.
  2. 장상현, 미래 사회 변화에 대비하는 주요국의 소프트웨어 교육 동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3. 교육부, 2020 업무계획: 국민이 체감하는 교육혁신, 미래를 주도하는 인재양성, 2020.
  4. 권성연, "'좋은 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26권, 제1호, pp.185-215, 2017.
  5. 김은희, 유준호,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111-131, 2020.
  6. 승윤희, "좋은 수업과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7호, pp.333-356, 2014.
  7. 조규진, 김도기, 김명수, "좋은 수업의 조건 탐색: 5G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제24권, 제4호, pp.325-350, 2011.
  8. 이혁규,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나 잘 모르는 수업, 교육공동체 벗, 2013.
  9. 김무길, "좋은 수업의 조건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듀이의 성장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철학연구, 제33권, 제3호, pp.25-47, 2011. https://doi.org/10.15754/JKPE.2011.33.3.002002
  10. 박희진, 성경환, 권동택,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한 좋은 수업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1419-1440, 2020.
  11.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교육과정연구, 제22권, 제4호, pp.165-187, 2004.
  12. 신재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 유형에 대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제16권, 제1호, pp.81-106, 2013.
  13. 이대용, "구성주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295-312, 2016.
  14. 임유나, 홍후조, "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교육학연구, 제56권, 제2호, pp.1-31, 2018.
  15. 김대식,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교육사상연구, 제31권, 제4호, pp.23-45, 2017. https://doi.org/10.17283/JKEDI.2017.31.4.23
  16. 교육부,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 2016.
  17. 황은희, 최수진, 임종헌, 박희진, 이재덕, 김성기, 이길재, 김훈호, 교육 혁신 사례 분석을 통한 미래교육 실행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9.
  18. 조난심, 양종모, 유정애, 정미경, 장연자, 학교 교육내실화 방안 연구(I):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19. 백경미, "Hilbert Meyer의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제24권, 제1호, pp.1-26, 2017.
  20. 이봉우,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6권, 제1호, pp.103-112, 2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03
  21. 김중형, 강효영,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체육수업의 중요도와 실행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18권, 제3호. pp.95-107, 2012.
  22. 정한호,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탐색," 교육방법연구, 제31권, 제3호, pp.555-579, 2019. https://doi.org/10.17927/TKJEMS.2019.31.3.555
  23.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77-79, 1977. https://doi.org/10.2307/1250495
  24. 유재욱, 손정은, 학습분석 데이터 수집 체계 표준 동향 Ver.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9.
  25. A. Freeman, S. Adams Becker, M. Cummins, A. Davis, and C. Hall Giesinger, NMC/CoSN Horizon Report: 2017 K-12 Edition. The New Media Consortium, 2017.
  26. 성태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교육학연구, 제55권, 제2호, pp.1-21, 2017.
  27. S. W. Kang, Korea's Endeavor for Innovative Digital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Presented at the KAIST GSI International Forum,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