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연주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및 유아행동특성 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옥순, 전예화 (2008). 어머니의 애착유형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인제학회, 23(1), 237-252.
- 강희경, 조복희 (1999).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 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2), 41-55.
- 기현옥 (2016).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특성연구: 양육스트레스, 성인애착,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기원 (2009). 어머니의 직업유무 및 취업과년 특성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배우자지지의중재적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동희 (2014). 미취학 아동의 미디어 사용과 아동의 기질,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22(4), 201-210.
-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8), 25-35.
- 김민희 (2015).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31-151. doi:10.14698/jkcce.2015.11.133
- 김민석,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분석 및 부모 관련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2(1), 77-99. doi:10.15284/kjhd.2015.22.1.77
- 김상림, 박창현 (2016).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심리특성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3), 451-464. https://doi.org/10.7856/kjcls.2016.27.3.451
- 김선진 (2020).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양육참여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란, 배성문, 박경숙 (2016). 어머니가 인식하는 영유아의 스마트폰 실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337-374.
- 김영은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정 (2014). 스마트폰 과다사용 아동의 대인관계 능력개선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 이지현 (200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245-262.
- 김종훈, 양소영, 성지현 (2013).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후속 출산계획에 미치는영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매개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4(1), 87-102. doi:10.5723/KJCS.2013.34.1.87
- 김지영 (2016).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지혜 (2013).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양육태도,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진경, 윤혜주 (2020).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6), 53-70. doi:10.14698/jkcce.2020.16.06.05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보도자료 2020.2.20). 세종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권미경, 박현숙, 유주희, 한경옥 (2016).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23(4), 121-138. doi:10.15284/kjhd.2016.23.4.121
- 권미영, 정윤주 (2018).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의존간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1(1), 153-169. doi:10.17641/KAPT.21.1.8
- 권민희 (2013). 유아의 터치스크린기기 사용과 문제행동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오진 (2015).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부모의 인식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나용선 (2013).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이용 유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3), 32-53.
- 류미향 (2014).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어머니 인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6, 307-329.
- 박미정, 엄정애 (2017). 유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2(3), 24-46. doi:10.16978/ecec.2017.12.3.002
- 박소영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옥순 (2018).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정아, 현은자 (2018).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의 공격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2), 219-248. doi:10.22154/JCLE.19.2.9
- 박지애 (2014). 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습관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은혜 (2014).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다사용: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주현, 김진경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3, 101-121.
- 서혜성, 김연하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결정요인 : 사회 인구학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5(5), 1-14. doi:10.5723/KJCS.2014.35.5.1
- 손수민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 도경민, 이희영 (2019).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20(4), 219-242. https://doi.org/10.15818/IHSS.2019.20.4.219
- 엄미지 (2014).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윤경, 이미현, 최혜순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1-22. doi:10.21183/kjcm.2016.12.15.4.169
- 유지현, 이경님 (2017).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1), 277-303. doi:10.22155/JFECE.24.1.277.303
- 이미라 (2017).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미정 (2013).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실태 및 유아발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미현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척도 개발 및 타당화.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수기, 이현경, 홍혜경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현황과 게임 과몰입 경향성. 유아교육연구, 34(3), 239-262. doi:10.18023/kjece.2014.34.3.012
- 이수미, 민하영 (2007).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19-225. https://doi.org/10.5934/KJHE.2007.16.2.219
- 이승은 (2013). 어머니의 애착 및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윤미 (2014). 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습관, 유아의 주의집중 및 자기조절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경 (2007.12). 유아 컴퓨터 게임중독의 실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논문, 경기.
- 이정숙, 두정일 (2008).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3(2), 1-17.
- 이정순 (2003).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3), 5-19.
- 이정주 (2014). 스마트폰 중독 이기는 아날로그 교육. 경기: 중앙워즈.
- 이주연 (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조사: 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모인식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한나, 한정원 (2017).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커플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이어논문지, 7(12), 807-817. doi:10.35873/ajmahs.2017.7.12.074.
- 이훈, 장수미 (2016).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36(3), 303-335. doi:10.15709/hswr.2016.36.3.303
- 임명희, 김성현 (2014). 유아의 스마트폰 태블릿 PC이용실태와 부모인식과 유아의 중독적 특성에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4(4), 237-260.
- 정경미, 이경숙, 박진아, 김혜진 (2008).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Korean-Parenting Stress Index: KPSI)의 표준화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3), 689-707. doi:10.15842/kjcp.2008.27.3.007
- 정미라, 김민정, 이방실 (2015). 어머니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행동 간의 관계: 부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 11(2), 355-373. doi:10.14698/jkcce.2015.11.2.355
- 장영애, 박정희 (2009). 어머니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유아 간 애착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17(2), 213-232. doi:10.21479/kaft.2009.17.2.213
- 조경서, 김은주 (2016).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53, 77-104.
- 최미경 (2021).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내면의 힘이 어머니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7(2), 47-68. doi:10.14698/jkcce.2021.17.02.047
- 최정숙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과 양육효능감의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항준, 조수경, 김미정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특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효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383-402.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2011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나와라, 스마트폰 세상밖으로.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 한누리, 문혁준 (2014). 유아의 문제행동, 아버지의 양육참여, 가정환경이 유아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9(3), 25-49. doi:10.16978/ecec.2014.9.3.002
- Abbott, G., Hnatiuk, J., Timperio, A., Salmon, J., Best, K., & Hesketh, K. D. (2016).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ers' physical activity and television viewing: The Happy study.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13(3), 269-274. doi:10.1123/jpah.2015-0136
-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doi:10.1207/s15374424jccp2104_12
- Ahn, J. J. (2011). The effect of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in early year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marital relationsh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5(1), 127-158.
- Atli, S., Gunuc, S., Kuss, D., & Baran, G. (2019). Impact of parents' technology use on 18-to 24-month-old infants' adaptive behaviors. Adaptive Behavior, 27(3), 197-219. doi:10.1177/1059712319845340
- Bamett, R. C., & Baruch, G. K. (1987). Deterrminant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9(1), 29-40. doi:10.2307/352667
-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doi.org/10.2307/1129836
- Carson, V., Stearns, J., & Janssen, I.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hysical activity and screen time behaviors and the behaviors of their young children. Pediatric Exercise Science, 27(3), 390-395. doi:10.1123/pes.2014-0214
-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1111/j.1467-8624.1990.tb02889.x
- Lamb, M. E., Pleck, J. H., Charnov, E. L., & Levine, J. A. (2017). A biosocial perspective on paternal behavior and involvement. In Parenting across the life span (pp. 111-142). London: Routledge.
- Levin, D. E. (2013). Beyond remote-controlled childhood: Teaching young children in the media age.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Lewis, C. N., & Lamb, M. E. (2003). Fathers' influences on children's development: The evidence from two-parent familie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18(2), 211-228. doi:10.1007/BF03173485
- Shiffman, S. (1982). Relapse following smoking cessation: A situational analysi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0(1), 71-86. doi:10.1037/0022-006x.50.1.71
- Tan, Q. Y. J., Hartanto, A., Toh, W. X., & Yang, H. (2019). Commentary: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of young children on problematic behavi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ing self-assessment effects of parents using smartphones. Frontiers in psychology, 10, 115. doi:10.3389/fpsyg.2019.00115
- You, H. Y. (2001). A study on the effect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social suppor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 Young, K. S. (2009).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1(3), 237-244. doi:10.1089/cpb.1998.1.237
- Zimmerman, F. J., & Christakis, D. A. (2007). Association between content types of early mediaexposure and subsequent attentional problems. Pediatrics, 120(5), 986-992. doi:10.1542/peds.2006-3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