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ultural Landscape Charactertistics of Traditional Temple Garden in China - Focusing on the Spatial Division of Buddhist Temples and the Value of Gardens -

중국 전통 사찰원림의 문화경관 특성 -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구획 및 원림의 가치를 중심으로 -

  • Shin, Hyun-Si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Lee, Hang-Lyoul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신현실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 이행열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21.08.01
  • Accepted : 2021.08.25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is study studied the value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temple and the form of the garden located in the Seojang area in the southwestern regions of China. The value of the Lama temple was looked into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maism and Lama temple through the spatial organiz ation, building arrangement, and garden of temples that served as the center of history, culture, and politics of the time in the process of converging Buddhism introduced through China's central districts and India with folk beliefs in Seojang through the poor environment. To this end, the value of the space and garden of the Lama temple was derived through the representative Lama temples, Potala Temple, Norbulingka Temple, and Dazhao Temple. First, due to the unique environment in which ice caps and green areas coexist, the representative Lama temples in Seojang, Potala Temple, Norbulingka Temple, and Dazhao Temple,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form of leaning against valleys and mountain ranges based on folk beliefs and Buddhism's Jatabuli(自他不二) and mandala. the target s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Second, the target sites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Buildings for worship are located in the upper space, and spaces for practice and garden are located in the lower space. The garden existed in two main forms. Third, the garden existed in two main form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ractice space, the garden had an ideal structure to plant bo tree to escape from the two false obsession and go to a world of truth that is with the Buddha behind the world through practice like Sakyamuni, and there was a garden around the temple where meditation and exchange took place.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are mainly planted in the forests.

본 연구는 중국 서남지역의 서장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원의 공간구성과 원림의 형태에 관하여 그 가치를 연구하였다. 중국의 중원과 인도를 통해 유입된 불교가 서장의 민간신앙과 열악한 환경을 통해 융합되는 과정을 당대의 역사, 문화,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던 사원의 공간구획, 건물배치 및 원림을 통하여 장전불교와 장전불교사원의 영향관계를 고찰하여 장전불교 사원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표적 장전불교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를 통해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과 원림에 대한 가치를 도출하였다. 첫째, 서장은 만년설과 녹지가 공존하는 독특한 환경으로 인해 서장의 대표적 장전불교 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사원은 토속신앙과 불교의 자타불이와 만다라에 근거하여 계곡과 산맥에 기대어 자연에 순응하는 형태로 넓게 분포되어 있다. 둘째, 대상지들은 크게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어 진다. 상부는 예불을 위한 건물들이 위치하고 하부는 수행을 위한 공간과 원림이 위치하고 있다. 원림은 크게 2가지 형태로 존재하였다. 셋째, 수행하는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고 보리수를 식재하여 석가모니와 같이 수행을 통해 이집의 분별에서 벗어나 배진합각의 진리의 세계로 벗어나자는 이상적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사원 주변 수림을 조영하여 명상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원림이 존재하였다. 수림들에는 상록 침엽수림이 주로 식재 되어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A2A2912252)

References

  1. 陆波(2018),北京的隐秘角落,社会科学文献出版社
  2. China's First Historical Archives(1750),The Complete Picture of Qianlong's Capital
  3. People's Government of Tibet Autonomous Region https://www.xizang.gov.cn/rsxz/lydt/,2021.09.01
  4. ICOMOS CHINA http://www.icomoschina.org.cn/,2021.09.01
  5. 郭亚男(2016),Research on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of Tibetan Buddhist culture and architectural space, Beijing Architecture University
  6. ICOMOS CHINA http://www.icomoschina.org.cn/,2021.09.01
  7. 拉毛杰(2018),<入菩萨行论>思想内容及其艺术特征研究 ,青海师范大学
  8. 康.格桑益希(2004),藏傳佛教密宗蔓荼羅藝術探秘,貴州民族研究
  9. 閔慶慈(2021),藏傳佛教擦擦造像造型語言解析,文物鑑定與鑑賞(7)
  10. 王浩(2013),藏北藏傳佛教寺院研究,南京工業大學
  11. 娘毛吉(2021),藏傳佛教聖僧圖創作背景及宗省略- 京雍和宮藏僧圖為考察對象-,傳統佛教
  12. 張麗(2018),寺廟園林景名取名方法探析,風景園林文史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