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osition of Curriculums and Textbooks for Speed-Related Units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에서 속력 관련 단원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구성에 관한 논의

  • Received : 2022.08.16
  • Accepted : 2022.10.11
  • Published : 2022.11.30

Abstract

The unique teaching and learning difficulties of speed-related uni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are mainly due to the student's lack of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and procedural knowledge on speed measurement, and curriculums and textbooks must be constructed with these in min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composing a new science curriculum and relevant textbooks, this study reviewed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speed-related units of three curriculums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resulting textbooks and examined their relevance in light of the literatur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ent content carries the risk of making students calculate only the speed of an object through a mechanical algorithm by memorization rather than grasp the multifaceted relation between traveled distance, duration time, and speed. Findings also highlighted the need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o offer students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meaning of speed step-by-step by visualizing materials such as double number lines and dealing with simple numbers that are easy to calculate and understand intuitively. In addition, this paper discussed the urgency of improving inquiry performance such as process skills by observing and measuring an actual object's movement, displaying it as a graph, and interpreting it rather than conducting data interpretation through investigation. Lastly, although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emphasize the connection with daily life in their application aspects, they also deal with dynamics-related content somewhat differently from kinematics, which is the main learning content of the unit. Henc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ontents focusing on cases related to speed so that students can grasp the concept of speed and use it in their everyday lives. With regard to the new curriculum and textbooks, this study proposes that students be provided the opportunity to systematically and deeply study core topics rather than exclude content that is difficult to learn and challenging to teach so that students realize the value of science and enjoy learning it.

초등학교 과학에서 속력 관련 단원의 독특한 교수·학습 곤란은 주로 학생의 수학적 사고력 및 속력의 측정과 관련된 절차적 지식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는 이점을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속력 단원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구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3개 교육과정 및 이에 따른 교과서의 속력 관련 단원의 구성 체계와 내용을 살펴보고, 선행 연구에 비추어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현재의 내용 구성은 이동 거리와 시간 및 속력 사이의 입체적인 관계를 파악하기 보다는 암기에 의한 기계적 알고리즘을 통해 물체의 속력만을 계산할 위험이 있어 이중 수직선과 같은 시각화 모형 및 간단한 수를 활용하여 속력의 의미를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해석하는 활동보다는 실제 운동하는 물체의 이동 거리와 걸린 시간을 직접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고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과정 기능 등 탐구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 차시에서 현재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일상생활과의 연계를 강조하고 있지만 단원의 주된 학습 내용인 운동학과는 다소 다르게 동역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어 학습한 내용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속력과 관련된 사례를 중심으로 내용을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새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는 학습하기 어렵고 지도하기 까다로운 내용을 제외하기 보다는 과학의 가치를 깨닫고 과학 학습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핵심 주제를 체계적으로 깊이 학습할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9]
  2.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9]
  3.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 9]
  4. 고은성, 이경화(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비례 추론능력 분석: 2명의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7(4), 359-380.
  5. 국가표준기본법 시행령(2018). [별표 2] <개정 2021. 1. 5.> 국가표준기본법 [시행 2018. 12. 13.] [법률 제15643호, 2018. 6. 12., 일부개정]
  6. 김경선, 박영희(2007). 초등학생의 비례적 추론 지도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9(4). 447-466.
  7. 김정원, 방정숙(2013).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곱셈적 사고에 따른 비례 추론 능력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1), 1-16.
  8. 남지현, 장혜원(2017). 시각과 시간에 대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학교수학, 19(3), 513-531.
  9. 박상우, 장지은, 임성만, 김은애, 이소리, 송윤미, 김양희, 박세희, 김성운, 남지연, 김민경(2014). 초등과학교과서 비교 분석.연구. 2013년도 수학.과학교육 내실화 사업 연구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10. 박선영, 이광호(2018). 초등 수학 교과서 비와 비율 단원의 모델 비교 분석: 비례에 대한 곱셈적 사고 및 비례 상황의 구조를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1(2), 237-260.
  11. 박성선, 조영미(2002). 초등학교 수학수업에 나타난 수학교실문화 분석. 교육과학연구, 33(1), 65-83.
  12. 성창근(2015). 수학에서 과학으로의 전이학습프로그램의 효과. 초등수학교육, 18(1), 31-44.
  13.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해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4. 안병곤(2017).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에 따른 계산기의 활용 방안. 학교수학, 19(4), 713-729.
  15. 엄선영, 권혁진(2011). 학업성취도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및 전략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5(3), 537-556.
  16. 이범홍 외 12명(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5-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18. 이종욱(2006). 4학년 아동의 비와 비례 개념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2), 157-177.
  19. 임재훈, 이형숙(2015).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5(2), 189-206.
  20. 장영록 외 55명(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개발연구(I, II). 연구보고서 BD 15070002. 한국과학창의재단
  21. 정연준, 최은아(2017).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속력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4), 599-620.
  22. 정영옥(2015).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5(1). 21-58.
  23. 정영옥, 정유경(2016).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비례추론 능력 분석. 학교수학, 18(4), 819-838.
  24. 정은실(2003).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3), 247-265.
  25. 정하나, 전영석(2014).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느끼는 교수.학습곤란도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172-180.
  26. 정하나, 전영석(2015). 수학과 과학을 통합 지도한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 성취 분석. 초등과학교육, 34(4), 372-381.
  27. 조영미, 임선혜(2010). 시간 지도에 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21-220.
  28. 최은아, 정연준(2018).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 교과서에 제시된 속력 개념의 비교.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4), 453-473.
  29. Arons, A. B. (1997). Teaching Introductory Physics. New York: John Willey & Sons, Inc.
  30. Butterfield, H. (1965). The Origins of Modern Science: 1300-1800. New York :Free Press,
  31.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Shouse, A. W.,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2. Eichinger, J. (2009). Activities Linking Science with Mathematics, Grades K-4.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earson Education, Inc.
  33. Feynman, R. P. (1969). What is science. The Physics Teacher, 7, 313.
  34. Gould, D. L., Robles, R., & Rillero, P. (2021).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sing graphing as a tool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science. Innovation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6(1). https://innovations.theaste.org/preservice-elementary-teachers-using-graphing-as-a-tool-for-learning-teaching-and-assessing-science/ (2021. 10. 10. 접속) https://doi.org/10.10)
  35. Kali, Y., & Linn, M. C. (2008). Designing effective visualization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9(2), 181-198. https://doi.org/10.1086/590525
  36. Kamii, C., & Russell, K. A. (2012). Elapsed time: Why is it so difficult to teach?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3(3), 296-315.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43.3.0296
  37. Long, K., & Kamii, C. (2001). The measurement of time: Children's construction of transitivity, unit iteration, and conservation of speed.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1, 125-132.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1.tb18015.x
  38. Matsuda, F. (2001). Development of concepts of interrelationships among duration, distance, and speed.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5(5), 466-480. https://doi.org/10.1080/016502501316934905
  39.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Board on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0.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1. Sattler, B. (2020). The Concept of Motion in Ancient Greek Thought: Foundations in Logic, Method, and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