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pictions of Scientis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Authorized 3rd-4th Grad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살펴본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Chae, Heein ( Cheonga Elementary School) ;
  • Noh, Sukgoo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채희인 (평택청아초등학교) ;
  • 노석구 (경인교육대학교)
  • Received : 2022.09.21
  • Accepted : 2022.11.22
  • Published : 2022.11.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depictions of scientists and teachers' thoughts o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authorized 3rd-4th grad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2015 elementary school science authorized 5th-6th grade textbooks as well as a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data consist of representations of scientists found in seve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provided to 3rd- and 4th-grade students in 2022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responses from 32 teachers in Gyeonggi-do. Of the 23 scientists depicted in the textbooks, three (13.0%) are female and 10 (43.5%) worked in the inquiry domain, which was the largest group. When the teachers were asked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 gender ratio of scientists in the textbooks, their answers revealed that they had lower perceptions of female scientists compared to male scientists; moreover, they had no or very little teaching experience concerning female scientists. Furthermore, the teachers' thoughts on improving the gender ratio of scientists depicted in the textbooks differed considerably by the teachers' gender.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during the process of producing textbooks, writers and members of society need to agree on the gender ratio of scientists to be represented, and a social consensus is needed to identify and introduce the achievements of previously unknown female scientists towards gender equality.

본 연구는 학생들의 바람직한 성 역할 인식과 가치관 형성을 위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실태를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교교육 현장에 적용될 2015 초등학교 과학과 5~6학년군 검정 교과서와 새롭게 적용될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검정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2년에 초등학교 3~4학년군에 처음 적용된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 7종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자의 성별 제시 실태를 분석하고,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현직 초등학교 부장교사 3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32명의 교사에게 본 연구와 관련한 설문의 응답을 받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체 23명의 과학자 중 여성 과학자는 3명(13.0%)이었고, 단원별로 살펴보면 탐구 단원에 10명(43.5%)의 과학자가 제시되어 있어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자의 성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남성 과학자에 비하여 여성 과학자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교직 기간 중 여성 과학자와 관련된 지도 경험이 없거나 매우 적었다. 또한 교사의 성별에 따라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비율 개선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다른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제작 과정에서 과학자의 성비와 관련하여 집필진 및 사회구성원의 합의가 필요하고, 교과서의 경우 공교육 제도 내에서 사용되는 교재이기 때문에 보다 양성평등적인 측면에서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들의 업적을 발굴하고 소개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영, 허광희, 김유미(2004). 일개 농촌지역 초등학교 교사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양성평등의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7(2), 1-10.
  2. 강훈식, 이재원, 김현호, 노태희(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글과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35(4), 454-468.
  3. 공영주, 장현숙, 최경희(2006). 양성 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의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73-390.
  4. 김영신, 양일호(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초등과학교육연구, 24(3), 292-300.
  5. 김은정, 정숙진, 신명경, 신영준, 이규호(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비교 분석: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95-306.
  6. 김창환(2012). 교과서 검정 심사의 분류일치도 분석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5(1), 25-50.
  7. 나장함(2017). 교과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타당도 확보기법에 대한 고찰: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감사추적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70, 233-254. https://doi.org/10.17253/SWUERI.2017.70..009
  8. 노태희, 차정호, 왕혜남(2004). 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초등과학교육, 23(1), 85-91.
  9. 노태희, 최용남(1997). 초등학교 과학 관련 교재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초등과학교육, 16(1), 1-9.
  10. 박일우, 홍영식, 이규호, 주은정, 박지선, 이현숙, 우석민, 강원정, 김소린, 류미, 구슬기, 윤미영, 이용민, 이하은, 김지은, 김현익, 김선동, 이영진, 한우석, 김석갑, 장덕자, 박응식, 유지원, 정원진, 권순미(2022). 과학 4학년 교과서. 서울: 금성출판사.
  11. 성승민, 채희인, 임희준(2016).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분석: 2009개정 과학과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67-175.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67
  12. 성태제(2010).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13. 송나윤, 홍주연, 노태희(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서책형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39(1), 1-14.
  14. 신숙영, 박인숙(2002). 초등학생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충남대간호학학술지, 5(1), 54-65.
  15. 양찬호, 박재성, 김유진, 노태희(201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제시된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분석. 대한화학회지, 58(2), 210-220. https://doi.org/10.5012/JKCS.2014.58.2.210
  16. 유지연, 이지현, 조준모, 노태희(2012).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대한화학회지, 56(4), 509-517. https://doi.org/10.5012/JKCS.2012.56.4.509
  17. 이동규, 임희준(2019). 여성 과학자 역할모델 사례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8(4), 510-521.
  18. 이상원, 김지나, 문병찬, 신애경, 최도성, 권진희, 김보영, 김석주, 김진한, 김태훈, 박예선, 손준호, 심예지, 오정민, 유영석, 이병훈(2022). 과학 3학년 교과서. 서울: 천재교과서.
  19. 이수연, 안상수, 황정미, 김인순, 백기복(2006). 성별갈등해소를 위한 젠더 파트너십 구축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 정영란, 권혜영(2003).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 경험, 흥미 등에서의 성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학연구, 7(1), 19-33.
  21. 최정윤(2006). 사회 교과서 집필자의 성차별적 태도가 교과서 내용의 성차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10학년 '사회'교과서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8(2), 161-203.
  22. 현동걸, 양일호, 김영신, 임성만, 김성운, 임재근, 김동현, 백명주, 정미연, 박유정, 박서정, 문양희, 권석원, 정재훈, 양용철, 조현준, 한신, 박선옥, 심현섭, 이민하, 이봉석, 김창원(2022). 과학 교과서. 성남: 아이스크림미디어.
  23. The Nobel Prize. (2022). All nobel prizes. https://www.nobelprize.org/.
  24. Ball, D. L., & Feiman-Nemser, S. (1998). Using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A dilemma for beginning teacher and teacher educators. Curriculum Inquiry, 18, 401-423. https://doi.org/10.2307/1179386
  25. Chipman, S. F., & Thomas, V. G. (1985). Women's participation in mathematics: Outlining the problem. In S. F. Chipman, L. R. Brush,, & D. M. Wilson (Eds.), Women and mathematics: Balancing the equation (pp. 1-24). Hillsdale, NJ: Erlbaum.
  26. Hammersley, M. (1992). What's wrong with ethnography?: Methodological explorations. London: Routledge.
  27. Lloyd, C. V. (1990). The elaboration of concepts in three biology textbooks: Facilitating student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1019-1032. https://doi.org/10.1002/tea.3660271009
  28. Merriam, S. B. (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9. Morse, J. M., Barrett, M., Mayan, M., Olson, K., & Spiers, J. (2002). Verific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1(2), 1-19. https://doi.org/10.1177/160940690200100201
  30. Trepanier-Street, M. L., & Romatowski J. A. (1999). The influence of children's literature on gender role perceptions: A reexamin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6(3), 155-159. https://doi.org/10.1023/A:1022977317864
  31. Tyson, H. (1997). Overcoming structural barriers to good textbooks.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Goals Panel.
  32. Weiss, I. R., Pasley, J. D., Smith, P. S., Banilower, E. R., & Heck, D. J. (2003). Looking inside the classroom: A study of K-12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hapel Hill, NC: Horizon Research,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