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Female Body Types in Their 20s and 30s for Modeling Korean Standard Avatar

한국인 표준 아바타 모델링을 위한 20-30대 여성 체형 분석

  • Eun-Hee, Ho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Ji-Won, Yoon (Dept. of Textiles Business & Fashion Design, Bucheon University)
  • 홍은희 (경상국립대학교 의류학과) ;
  • 윤지원 (부천대학교 섬유패션비지니스학과)
  • Received : 2022.10.06
  • Accepted : 2022.12.05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body types of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30s using 3D human measurement data from the 8th Size Korea, and intended to construct body shape and dimension data necessary for modeling Korean standard avatars. Data analysis considered data from 1302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a total of 49 index values, drop values, and angle items were subjected to factor analysis and one-way ANOVA to categorize the body type, and Duncan test to post-verify significant differences by type. As a result of conducting factor analysis, 13 factors were extracted and were categorized into 4 body types. Type 1 is short in the upper torso, long in the lower torso, long in the arms and legs, and has a upright body shape and sagging shoulder. Type 2 is short in the torso, arms and legs, and has large torso flexion and lower body circumference. Type 3 has abdominal obesity with small torso flexion and lower body circumference. Type 4 is a small body bending forward type. For the distribution of body types by age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the highest appearance rate was Type 1 and was therefore selected as the represntative body type. The body type information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tandard avatar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2R1F1A107534311).

References

  1. 김수아. (2003). 지수치를 이용한 노년 여성의 상반신 체형 분류와 판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수아, 이경미, 최혜선. (2003). 지수치를 이용한 노년 여성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에 관한 연구. 복식. 53(6), 117-130.
  3. 김인미, 김소라. (2008). 20대 전반 여성의 체형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28 (2), 35-55. https://doi.org/10.5143/jesk.2009.28.2.035
  4. 김은희. (2005). 중국 성인여성의 인체프로포션에 의한 체형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효숙, 이소영, 김지민, 이준혁. (2012). 50- 60대 여성의 체간부 체형분석. 대한의류섬유학회지. 36(3), 311-323.
  6. 김효숙, 이소연. (2004). 의류제품의 전자상거래를 위한 20대 여대생의 체형 및 3D 인체모형.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8(4), 94- 103.
  7. 국가기술표준원. (2021). 제8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 보고서. Size Korea. 자료검색일 2022. 08. 08, 자료출처 https://sizekorea.kr/
  8. 이민정, 손희순. (2012). CLO 3D 아바타 사이징과 실제인체간의 치수 및 형태 차이 비교 분석. 패션 비즈니스. 16(4), 137-151.
  9. 이예리, 장정아. (2020). 성인여성 버츄얼 패션 3D 아바타와 Size Korea 인체형상의 형태 차이 비교.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2(1), 87-93. https://doi.org/10.5805/SFTI.2020.22.1.87
  10. 임지영. (2020). 복부비만 성인여성의 하반신 체형 분석에 따른 하의류 치수체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4(2), 310-320. https://doi.org/10.5850/JKSCT.2020.44.2.310
  11. 정선영, 남윤자. (2015). 두신지수별 정면체형과 인체비례 모듈러 연구 - 한국 성인남성 20~30대를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9 (2), 217-232. https://doi.org/10.5850/JKSCT.2015.39.2.217
  12. 윤지원. (2013). 3차원 인체형상데이터를 이용한 성인여성의 체형유형별 타이트 핏 토르소원형 개발: 가상착의시스템을 이용하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차수정. (2017).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한 중년 여성의 체형분류. 한국트렌드학회. 56, 83 -92.
  14. 하희정, 성옥진. (2005). 지수치를 이용한 Plus-size 여성의 하반신 체형 연구. 복식문화연구. 13(1), 6-17.
  15. 한현정. (2014). 성인여성 체형별 3D표준아바타 구축. 울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홍은희. (2019). 3D 스캔 데이터에 의한 성인 남성의 체간부 형태 유형화.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1(4), 165-179. https://doi.org/10.30751/KFCDA.2019.21.4.165
  17. 홍은희. (2020). 3차원 인체형상을 재현한 3D아바타 제작을 위한 가상착의시스템의 활용성 검증-CLO3D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2(1), 1-13. https://doi.org/10.30751/KFCDA.2020.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