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 and Difficulties of Science Teachers' Participation in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과학교사의 해외 교육봉사활동 참여 의의와 어려움 탐색

  • Received : 2022.03.23
  • Accepted : 2022.04.19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ies. Seven science teachers who had visited Timor-Leste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collected data including the teacher interview were analyzed. As a result, teachers visited Timor-Leste to fulfill social roles and to meet the expectations of others. After returning from Timor-Leste, the teachers regained their passion for teaching and gained confidence in taking on new challenges.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conducting seminars due to the unstable social situation and lack of awareness of Timor-Leste teachers, and experienced communication limitations due to language barriers. Nevertheless, teachers cooperate with local priest to improve these limitations. In addition, teachers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caused by the non-establishment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evaluation meeting.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expertise and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of Timor-Leste teachers, the seminar method was modified. The experience of volunteering in Timor-Leste made teachers think about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discussed ways to activate voluntary service.

이 연구는 해외 교육봉사활동에 참여한 과학교사의 참여 의의와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동티모르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과학교사 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사의 면담 결과를 포함하여 수집한 모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동티모르 관계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동티모르에 방문하였다. 교사들은 동티모르에서 돌아온 후 교사로서 수업에 대한 열정을 되찾고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데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동티모르 봉사 경험은 교사들이 협력의 중요성과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동티모르에 방문하는 동안, 교사들은 불안정한 사회적 상황과 세미나에 대한 동티모르 교사들의 인식 부족으로 세미나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언어적 문제로 인한 소통의 한계를 경험하였다. 그럼에도 교사들은 사제와 협력하여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미구축으로 인해 나타나는 한계를 평가회를 통해 보완해 나갔다. 동티모르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과 주체적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세미나 진행 방식을 수정하기도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NRF-2015S1A5A2A03048047)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권상철(2018). 해외봉사활동의 양면성과 도전: 봉사여행과 개발봉사 사이. 한국지리학회지, 7(3), 415-433.
  2. 김지혜(2015).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 향상을 위한 해외봉사활동 사례 연구: H 대학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15(3), 65-75.
  3. 김찬란, 이선미(2011). 글로벌 시민성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 해외자원봉사: A대학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연구. 시민사회와 NGO, 9(2), 33-56.
  4. 류민정(2017). 해외 교육봉사와 국내 학교현장실습(교생실습)을 통한 예비 체육교사의 역량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6(2), 243-257.
  5. 박인심(2019). 해외 교육봉사 프로그램 참여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과 인식. 글로벌교육연구, 11(4), 110-140.
  6. 서홍란, 김희년(2012).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자원봉사자들의 봉사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8(2), 1-27.
  7. 안지민(2014). 새마을 해외봉사 참여자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학생.결혼이주여성 공동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2), 209-235.
  8. 이계영(2006). 유네스코와 교육-유네스코 등 국제기구 교육사업과 한국의 참여전략. 서울: 오름.
  9. 이은승, 이성철(2016). 해외봉사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역량 분석.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0(3), 115-136.
  10. 이찬희(2009). 한국형 교육개발협력 모델 구축을 위한 정책세미나.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정보람(2013). 현직 교사들의 해외 자원봉사활동 참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한재영, 김의성, 박은미, 방미정, 서인호, 이선희, 정대홍, 홍준의(2015). 한국과 동티모르 과학교사 세미나: 봉사, 갈등, 그리고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55-463.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55
  13. 한재영, 서혜애, 차정호, 홍준의(2019). 해외 교육 봉사활동 체제에 대한 연구: 니카라과를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8(1), 65-80. https://doi.org/10.15812/TER.58.1.201903.65
  14. 한재영, 임성민(2017). 문화역사활동이론을 통한 과학교사의 해외 봉사활동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631-650.
  15. 한재영, 임성민(2018). 과학 교사의 해외 과학실험 봉사활동 발전 과정에 대한 분석. New Physics: Sae Mulli, 68(1), 103-116. https://doi.org/10.3938/npsm.68.103
  16. 허성호, 정태연(2010).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1(3), 143-164.
  17. Chen, J.(2018). Understanding development impact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volunteering: A relational approach. The Geographical Journal, 184, 138-147. https://doi.org/10.1111/geoj.12208
  18. Eyler, J., Giles, D., & Braxton, J. (1997). The impact of service-learning on college students. Michigan Journal of Community Service Learning, 4, 5-15.
  19. Giles, D. & Eyler, J.(1994). The impact of a college community service laboratory on student's personal, social, and cognitive outcomes. Journal of Adolescence, 17(4), 327-339. https://doi.org/10.1006/jado.1994.1030
  20.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and procedures for development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21. Williams, N. R., King, M., & Koob, J. J.(2002). Social work students go to camp: The effects of service learning on perceived self-efficacy. Journal of Teaching in Social Work, 22(3-4), 55-70. https://doi.org/10.1300/J067v22n03_05
  22. Wilson, J.(2000). Volunteering. Annual Review of Sociology, 26(1), 215-240. https://doi.org/10.1146/annurev.soc.26.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