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US-China Trade Disputes on Korean Business Performance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한국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 Received : 2022.05.29
  • Accepted : 2022.06.27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Purpose - The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U.S.-China trade dispute affects a highly trade-dependent South Korea. Currently,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have issued a number of conflicting predictions that the trade dispute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ill have a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n South Korea.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analyze using actual data.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ctual import and export data from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actual import and export data from the United States and China from South Korea. The analysis measured the number and amount of imports and exports by year and month, and the rate of increase and decrease. We also looked at trade dispute days, import and export outcomes and what the impact wa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US-China trade dispute, the amount of change in Korea's imports and exports was analyzed. Findings -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South Korea's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ve increa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increased by 5.65% in 2018 and 6.45% in 2019 compared to 2017. Second, exports to China surged 12.34% in 2018 compared to 2017. This increase in South Korea's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and its mass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shows that South Korea has benefited from the trade disput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South Korea, which is highly trade-dependent, has been heavily affected by the U.S.-China trade dispute. Various predictions are made about this. The analysis showed that South Korea's export volume has increased. In the end, the effect of the trade transition to the 3rd country did not occur. Rather, the U.S.-China trade dispute appears to have helped South Korea.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5A07093396)

References

  1. 고종환(2008), "CGE모형을 이용한 한-아세안 FTA 서비스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분석", 국제지역연구, 12(3), 419-448.
  2. 권영민(2008), "한 . 미 FTA 이후 대일수입전환 미시적 무역구조에 의한 분석", 무역학회지, 33(2), 185-210.
  3. 김관옥(2018), "미중 무역전쟁 연구: 트럼프정부의 보호무역정책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21(1), 57-79.
  4. 김기흥(2008), "한 . 미 FTA의 경제적 효과 - 관세인하의 무역과 노동생산성 효과를 중심으로", 관세학회지, 9(1), 201-229.
  5. 김석태 . 김태인(2006), "수출입기업의 관세업무 리스크 관리기법과 관리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국제지역연구, 10(3), 713-736.
  6. 김영순(2015), "특수관계자간 수입거래시 이전가격을 이용한 관세회피 사례분석 및 입증책임에 있어서 시사점", 서울법학, 23(1), 385-417. https://doi.org/10.15821/SLR.2015.23.1.012
  7. 김종섭(2004), "대외관세의 차이가 무역전환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남미공동시장의 사례", 국제지역연구, 13(4), 77-92.
  8. 김창봉 . 윤여진(2013), "관세 업무 역량에 영향 요인과 기업 성과에 관한실증적 연구", 관세학회지, 14(4), 21-36.
  9. 김창봉 . 황문기(2018), "관세 환경 변화에 따른 중국 수출입제조기업의Green-SCM구축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실증 연구- 중국 주강삼각지 지역을 중심으로", 관세학회지, 19(3), 147-160.
  10. 김태영 . 안경애(2014), "공간중력모형을 이용한 국가간 관세효과 분석: 한미 자유무역협 정을 중심으로", 유통경영학회지, 17(4), 41-51.
  11. 민혁기 . 정재화(2012), "한 - 칠레 FTA의 무역효과 분석", 무역학회지, 37(4), 97-113.
  12. 윤상흠 . 이학노(2015), "우리나라 반덤핑조치의 무역축소 및 무역전환효과", 무역학회지, 40(5), 167-187.
  13. 서정경 . 원동욱(2019), "시진핑 시기 중국의 '강대국 외교(大國外交)'와 미중 무역분쟁", 국가전략, 25(1), 33-62. https://doi.org/10.35390/SEJONG.25.1.201902.002
  14. 송백훈 . 이창수(2018), "미-중 무역분쟁의 경제적 효과와 세계경제 함의", 무역학회지, 43(5), 47-66.
  15. 신지연(2019), "미중 무역전쟁의 해결: 국제질서의 사회화 효과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43(1), 7-40. https://doi.org/10.21196/APRC.43.1.201905.001
  16. 이병훈 . 송주호 . 정대희(2014), "한.칠레 FTA의 농업부문 무역창출.무역전환효과 수입량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농촌경제, 37(2), 1-18. https://doi.org/10.36464/JRD.2014.37.2.001
  17. 이성희 . 박진수(2019), "해외 소싱 전략에서 관세의 역할 및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전자무역연구, 17(1), 103-115. https://doi.org/10.17255/ETR.17.1.201902.103
  18. 이순철 . 이웅(2016), "한-인도 CEPA의 무역효과 분석: 한국의 대인도 수입중심으로", 관세학회지, 17(2), 149-167.
  19. 이왕휘(2018), "미중 무역전쟁: 미국 내에서 보호주의에 대한 저항과 중국의 대미 로비", 국방연구, 61(4), 77-116. https://doi.org/10.23011/JNDS.2018.61.4.004
  20. 이재득(2015), "한국-EU FTA 발효의 실현된 무역효과 연구", 관세학회지, 16(2), 319-342.
  21. 이재영(2019), "미중무역 분쟁과 시사점", 통상법률, (143), 3-9. https://doi.org/10.36514/ITL.2019..143.001
  22. 정창근 . 김태인(2007), "한국 수출입기업의 관세업무 리스크관리와 기업 성과 관계의 실증연구", 관세학회지, 8(3), 111-134.
  23. 제영광 . 최장우(2018), "우리나라 중소기업 FTA활용지원제도의 성과에 관한연구 - 관세청의 YES-FTA 컨설팅 사업을 중심으로", 관세학회지, 19(3), 3-25.
  24. 전영서 . 손정식(2003), "우리나라 보호무역정책의 후생효과분석-관세를 중심으로", 경제발전연구, 9(2), 77-95.
  25. 전윤용 . 김진섭(2011), "한.중 교역 추이와 지역무역협정의 효과분석", 관세학회지, 12(2), 197-219.
  26. 조승열 . 김진섭(2009), "무역구조 및 관세율 변동의 무역창출효과 분석", 관세학회지, 10(2), 79-106.
  27. 조홍석 . 이정윤(2017), "한.미 FTA의 무역창출효과 사례 및 시사점-대미 수입의 품목별 (HS 10단위) 교역 량 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상학, 32(1), 163-186.
  28. 지성태 . 이수환(2019),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농산물 수출입구조 변화 연구: 돼지고기와 대두를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22(2), 125-150
  29. 최봉호(2019), "한-인도 CEPA의 산업별 무역효과 패널분석", 관세학회지, 20(2), 159-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