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ho took Blended Learning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투고 : 2022.07.04
  • 심사 : 2022.08.22
  • 발행 : 2022.10.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1, 2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133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3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차이검증은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간호학과 선택동기 순이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44.3%이었다. 결론적으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일수 있도록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who received blended learning classes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3 first and second year nursing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2th to december 3th. 2021.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WIN 26.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and meen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a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Nursing and admissions motivation were impact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level of nursing students.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was 44.3%. In conclusion, a strategy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needed so that nursing students who have received blended learning can adjustment to college life.

키워드

참고문헌

  1. 하윤주, 우상준, 서남숙,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509-517,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509
  2. 권회림, 문은경, 박인우,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 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1권, 제3호, pp.333-359, 2015.
  3. 백영균, 한승록, 박주성, 김정겸, 최명숙, 변호승, 박정환, 강신천, 윤성철, 스마트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4판, 학지사출판사, 2015.
  4. 이상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2호, pp.135-159, 2007.
  5. 구현영,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존감과 불안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제17권, 제3호, pp.444-453, 2011. DOI:https://dx.doi.org/10.5977/JKASNE.2011.17.3.444
  6. 박신영,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척도 도구개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7. 차남현,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24-131, 2016. DOI:http://dx.doi.org/10.12799/jkachn.2016.27.2.124
  8. 한미현,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제42권, 제1호, pp.36-43, 2017. DOI:https://doi.org/10.21032/jhis.2017.42.1.36
  9. 윤향숙, 황윤미, 김덕범, 장성화,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 제10권, 제2호, pp.1-25, 2011.
  10. 이민선, 채규만,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 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제12권, 제1호, pp.63-75, 2012. DOI:https://www.earticle.net/Article/A178119
  11. 임승주, 박은영, "사티어 의사소통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변화 경험", 한국 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51-162, 2013. DOI: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151
  12. D. Howe, The power of empathy: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The forest of knowledge, 2013.
  13. 이한우, 염동문, 이미희, "대학생의 정서인식이 대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행동장애연구, 제30권, 제2호, pp.415-433, 2014.
  14. 김수미, "간호학 전공수업에 적용한 블렌디드러닝이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330-338,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330
  15. 최지혜, 박미정,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339-349, 2013. DOI:http://dx.doi.org:10.5392/jkca.2013.13.07.339
  16. M. J. Papa, "Communicator competence and employee performance with new technology: A case study,"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Vol.55, No.1,pp.87-101, 1989. DOI:http://dx.doi.org/10.1080/10417948909372779
  17. 오은정, 고성희, 김지영, 김성렬, "간호대학생의 자기 인식, 타인인식 및 의사소통 능력,"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4호, pp.426-434, 2015. DOI: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4.426
  18. 박정원, 최명숙, "간호대학생의 자의식,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성향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51-360, 2009.
  19. 이현숙, 김종경,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의사소통 유형, 조직몰입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16권, 제4호, pp.488-496, 2010. DOI:https://dx.doi.org:G704-001695.2009.18.3.008
  20. 이광자, 의사소통과 간호, 신광출판사, 2013.
  21. K. S. Kesten, "Role-playusing SBAR technique to improve observed communication skills in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of Nursing Education, Vol.50, No.2, pp.79-87, 2011. DOI:http://dx.doi.org/10.3928/01484834-20101230-02
  22. 손행미, 김현숙, 고문희, 유수정, "간호대학 학부과정 의사소통 교과목 현황 및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26-434, 2011. DOI: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3.424
  23. 최효진, 이은주,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61-268, 2012. DOI:https://dx.doi.org/10.7739/jkafn.2012.19.2.261
  24. S. Hurtado, D. F. Carter, and A. Spuler, "Latino Student Transition to College: Assessing Difficulties and Factors in Successful College Adjustment," Vol.37, No.2, pp.135-157, 1996. DOI:https://dx.doi.org/10.1007/BF01730113
  25. 양남영, 문선영,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1호, pp.33-42, 2013. DOI:https://dx.doi.org:10.5977/jkasne.2013.19.1.33
  26. 박현태,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5권, 제3호, pp.1576-1583, 2014. DOI:https://doi.org/10.5762/KAIS.2014.15.3.1576
  27. 박은선, 김광현, "학업중단요인 및 대학생활적응 요인이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지, 제23권, 제10호, pp.361-384, 2016. DOI:https://dx.doi.org/10.21509/KJYS.2016.10.23.10.361
  28. 이난희, 유소연,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형, 스트레스 대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건강학회지, 제20권, 제2호, pp.58-66, 2017.
  29. 최숙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148-156, 2018. DOI:https://dx.doi.org/10.5762/KAIS.2018.19.11.148
  30. 오윤희, 박명숙,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8호, pp.331-341, 2020. DOI:https://dx.doi.org/10.14400/JDC.2020.18.8.331
  31. 임미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자아분화가 대학생황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pp.225-233, 2018. DOI:https://dx.doi.org/10.5762/KAIS.2018.19.9.225
  32. 성지현, "간호대학생의 성평등의식, 진로정체감,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제22권, 제6호, pp.2443-2456, 2020. DOI:https://dx.doi.org/10.37727/jkdas.2020.22.6.2443
  33. 김중경, 김원종, 이선주,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7호, pp.120-126, 2020. DOI:https://dx.doi.org/10.5762/KAIS.2020.21.7.120
  34. 서유진, 한은경,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을 기반으로 한 정신간호학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 효능감 및 학습전이 동기에 미치는 효과," 산업융합연구, 제20권, 제2호, pp.61-70, 2022. DOI:https://doi.org/10.22678/JIC.2022.20.2.061
  35. 이외선, 노윤구, "블렌디드러닝 융합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전략,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9권, 제11호, pp.373-379, 2021. DOI:https://www.earticle.net/Article/A403107 107
  36. 송열매, "온라인 기반 정신간호학실습 교육이 사회정서적 역량, 정신간호역량, 학습 자기효능감, 전이동기,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11호, pp.289-303, 2021.
  37. 원효진, 박선향,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복지학회, 제20권, 제4호, pp.159-177, 2018. DOI:https://doi.org/10.23948/kshw.2018.12.20.4.159
  38. 우종정, 김보나, 이옥형, "대학에서 면대면 수업 대안으로서의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pp.219-225, 2009.
  39. 차현수,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0권, 제8호, pp.381-391, 2019. DOI:https://doi.org/10.5762/KAIS.2019.20.8.381
  40. F. Franz,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Vol.41, No.4, pp.1149-1160, 2009. DOI:https://doi.org/10.3758/BRM.41.4.1149
  41. S. Schlein, B. Guerney, and L. Stov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Pennsylvania Stata University, Philadelph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71.
  42. 문선모, 이형득, "인간관계 훈련집단 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논문집, 제19권, pp.195-204, 1980.
  43. R. B. Rubin, Communication competence. Speech communication: Essays to commemorate the 75th anniversary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pp.94-129, 1990.
  44.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6호, pp.380-408, 2003.
  45. 이정은, 양승희,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19권, 제4호, pp.1049-1077, 2018. DOI:https://doi.org/10.15753/aje.2018.12.19.4.1049
  46. 김혜옥, 소현진, 정세윤, 변성옥, 백민지, 박준우, "시뮬레이션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155-166, 2021. DOI:https://dx.doi.org/10.5392/JKCA.2021.21.12.155
  47. J. C. De. Gagne, P. D. Koppel, S. S. Kim, and S. Rushton, "Pedagogical foundations of cybercivilit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scoping review," BMC Medical Education, Vol.21, No.1, pp.1-11, 2021. https://doi.org/10.1186/s12909-020-024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