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rofessors for Student Participation after Covid-19

Covid-19이후 학생 수업참여를 위한 교수자의 경험 연구

  • 이은주 (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민정 (동의대학교 광고홍보학전공) ;
  • 송연주 (동의대학교 평생교육.청소년상담학과)
  • Received : 2022.08.31
  • Accepted : 2022.10.07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As non-face-to-face classes have been adopted as an essential class method in universities after COVID-19, interest in ways to encourage student engagement is increasing. Class engagement is a prerequisit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o it is inevitably an even more important requirement in non-face-to-face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orts and concerns based on the teaching experiences of three professors of D University, which have been operated by mixing non-face-to-face or non-face-to-face classes since 2020. As a result,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went through trial and error in the early stages of non-face-to-face classes, but over time,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not only actively expressed their opinions but also voluntarily expanded the class act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und the possibility that professors-led classes can develop into learner-participating classes through appropriate harmony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and the use of various medi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autobiographical method.

Covid-19이후 대학에서 비대면 수업이 필수적인 수업방식으로 채택되면서 학생의 수업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수업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업참여는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선행 요건이기에 비대면 수업에서는 더욱 중요한 요건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 이후 비대면 혹은 비대면과 대면 수업의 혼용으로 운영되어 온 D대학의 교수자 3인이 학생의 수업참여를 높이기 위해 시도한 경험과 고민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비대면 수업 초기 교수자와 학생 모두 시행착오를 거쳤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뿐 아니라 자발적으로 수업활동을 확장시켜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수자 주도의 수업이 대면과 비대면의 적절한 조화와 다양한 매체의 활용으로 학습자 참여형 수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자서전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 D. Catalano and K. C. Catalano, "Transformation: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Vol.1, No.1, pp.95-100, 1997.
  2. D. Kember, "Promoting Student-Centered Forms of Learning Across an Entire University," Higher Education, Vol.58, pp.1-13, 2009. https://doi.org/10.1007/s10734-008-9177-6
  3. 오은진, 박순아,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참여 경험," 인문사회21, 제12권, 제3호, pp.2163-2178, 2021.
  4. 조승희, "대학생의 실시간 비대면 참여형 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제12권, 제4호, pp.1131-1143, 2021.
  5. 이소민, 김경리,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생 수업 참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33권, 제2호, pp.341-361, 2021.
  6. 김영식, 김진선, 장미소, "대학생들의 학습자 중심 수업 참여 효과성 분석," 지방교육경영, 제24권, 제3호, pp.51-71, 2021. https://doi.org/10.23196/TJLEM.2021.24.3.003
  7. 한혜정, "자아성찰과 교수방법으로서의 '자서전적 방법'," 교육과정연구, 제23권, 제2호, pp.117-132, 2005.
  8. J. D. Finn, "Withdrawing from School,"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59, No.2, pp.117-143, 1989. https://doi.org/10.3102/00346543059002117
  9. E. A. Skinner, T. A. Kindermann, and C. J. Furrer, "A Motivational Perspective on Engagement and Disaffection: Conceptualization and Assessment of Children's Behavioral and Emotional Participation in Academic Activities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9, No.3, pp.493-525, 2009. https://doi.org/10.1177/0013164408323233
  10. E. A. Skinner, J. G. Wellborn, and J. P. Gonnerll, "What It Takes Do Well in School and Whether I've Got It: The Role of Perceived Control in Children's Engagement and School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pp.22-32, 199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22
  11. 차민정, 박인우, 김창민, 권혜정, 조형대, 이주영, 정수정, 박은아, 문유, 왕몽, 서종원, 지종민, 장문, 박미선, 이예다나, 김규동, 이림, 박하식, 유세종, 김정주, "학습자의 수업 참여 측정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제22권, 제1호, pp.195-219, 2010. https://doi.org/10.17927/TKJEMS.2010.22.1.195
  12. 윤혜경, 박승재, "확장적 과학 탐구 활동에서 중학생의 인지적 참여도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684-695, 1999.
  13. 정은이, "대학생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2호, pp.355-378, 2012.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2.355
  14. 송수연, 김한경, "언텍트 시대의 대학교육," 아시아교육연구, 제21권, 제4호, pp.1099-1126, 2020.
  15. 성지현, "COVID-19로 인한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현황 및 만족도," 전인간호과학학술지, 제13권, pp.42-48, 2020.
  16. 김동원, 김향정, 한태구, "비대면 온라인 수업 만족 및 인식 변화 연구," 학교와 수업 연구, 제6권, 제1호, pp.73-101, 2021. https://doi.org/10.23041/JSST.2021.6.1.004
  17. 박경원,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실 재감과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175-181,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2.175
  18. 임이랑, 황지원, 김주연, 박다솜,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운영을 위한 교수전략 탐색," 교육혁신연구, 제30권, 제4호, pp.23-64, 2020. https://doi.org/10.21024/PNUEDI.30.4.202012.23
  19. 임철일, 김민지, 박주현, 배우진, 염지윤, "대학에서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 유형별 수업설계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공학연구, 제37권, 제2호, pp.459-488, 2021.
  20. 강인애, "효율적 화상강의를 위해 고려할 사항: 인디애나 대학교 대학원 수업 사례 연구,"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제1권, 제2호, pp.23-44, 1996.
  21. 임철일, 김혜경, 김성욱, 이효은, "공동화상강의에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9권, 제3호, pp.365-394, 2013.
  22. 이의길, "온라인교육에 대한 교수자 인식 및 수업전략,"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2권, 제1호, pp.87-105, 2006.
  23. 한형종,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의 상호작용 요소 탐색과 수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4호, pp.14-25,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4.014
  24. 이란, "토론식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의 참여적 차원과 상호작용 차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9호, pp.63-74,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9.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