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of Social Capital in Out-of-School Youths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투고 : 2022.07.19
  • 심사 : 2022.08.31
  • 발행 : 2022.10.28

초록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학교 밖 청소년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자본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들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심리·정서적인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회복탄력성에 초점을 맞춘 진로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in out-of-school youths upon career behavior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its relationship.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27 out-of-school youths who dwell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ilience appear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Seeing the outcomes of this study, a positive support seems to be necessary so that out-of-school youths can make good use of the social capital in local community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ut-of-school youths. Furthermor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grams must be developed that can enhance resilience in out-of-school youths. A career counseling with the focus on resilience will need to be carried ou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준, "사회적 스티그마의 청소년에 대한 영향과 대응,"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3호, pp.5-31, 2010.
  2. 한국청소년상담원, 학교밖청소년 길찾기 :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현판식 및 학술세미나,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18.
  3. 김재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적응 유연성의 매개효과 검증,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4. 여성가족부, 2018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8.
  5. 김지혜, 탁영란,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건강 수준의 관계: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32권, 제1호, pp.41-49, 2019. https://doi.org/10.15434/KSSH.2019.32.1.41
  6. 양미진, 지승희, 이자영, 김태성, "아동, 청소년상담: 학업중단청소년의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캠프프로그램 개발연구," 상담학연구, 제8권, 제4호, pp.1657-1675, 2007. https://doi.org/10.15703/KJC.8.4.200712.1657
  7. 이화명, 김영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549-56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549
  8. 조아미, 이진숙,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과 욕구,"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7호, pp.145-170, 2014.
  9. 최지연, 김현철,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3호, pp.103-132, 2016.
  10. 노지혜, 문성호,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특성 및 진로성숙 예측요인," 청소년문화포럼, 제58권, pp.61-86, 2019.
  11. 법제처,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2017.
  12. 김영희, 최보영, 이인회, "학교밖 청소년의 생활실태 및 욕구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4호, pp.14-29, 2013.
  13. 오은경,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4. 박동진, 김나연,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 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활동연구, 제5권, 제3호, pp.71-87, 2019. https://doi.org/10.36697/skya.2019.5.3.71
  15. 박현수, 박성훈, 정혜원,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비공식 낙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1호, pp.227-251, 2009.
  16. FU QIANCHAO, 자살 기사 댓글에 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유명인과 일반인 자살에 대한 낙인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17. A. J. Field, "The most technologically progressive decade of the century," American Economic Review, Vol.93, No.4, pp.1399-1413, 2003. https://doi.org/10.1257/000282803769206377
  18.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J. G. Rich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Sociology of Education (pp,241-258), New York: Greenwood, 1986.
  19. R.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Vol.13(spring), pp.35-42, 1993.
  20. 배은경, 최인숙,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 연구, 제27권, 제1호, pp.33-63, 2016.
  21. 서지원, "중년기 및 노년기 사회자본의 경제적 복지 효과 비교,"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1권, 제2호, pp.207-218, 2013. https://doi.org/10.6115/khea.2013.51.2.207
  22. J.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pp.94-121, 1988. https://doi.org/10.1086/229033
  23. 송한나, 한국 사회의 계급위치와 계층의식 격차에 미치는 경제, 문화,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부르디외의 자본의 형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4. 임언, 윤형한, "대학생용 진로개발준비도 검사 개발," 진로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pp.116-132, 2005.
  25. 진영선, 조아미,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유형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3호, pp.315-339, 2016.
  26. 김봉환, 김계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 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9권, 제1호, pp.311-333, 1997.
  27. 이경상, 조혜영, "사교육시간, 개인공부시간, 학교수업참여도의 실태 및 주관적 학업성적 향상 효과," 한국교육, 제32권, 제4호, pp.29-56, 2005.
  28. 윤철경, 류방란, 김선아, 학업 중단현황 심층분석 및 맞춤형 대책 연구, 교육과학기술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2010.
  29. 남기곤, "고등학교 단계 학업 중단의 경제적 효과 추정," 서강경제논총, 제40권, 제3호, pp.63-94, 2011.
  30. 최동선, 이상준,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서울: 한국직업증력개발원, 2009.
  31. 오은경, "학교 밖 청소년 유형별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배제 및 우울 간의 차이," 청소년시설환경, 제12권, 제2호, pp.65-80, 2014.
  32. 주영신, 보호관찰청소년의 재범 후 삶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3. 조선경,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34. 김주환,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Resilience, 서울: 위즈덤하우스, 2011.
  35. G. M. Wagnild and H. M. Young,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Vol.1, No.2, pp.165-178, 1993.
  36. N. Garmezy,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Interpersonal and Biological Processes, Vol.56, No.1, pp.127-136, 1993. https://doi.org/10.1080/00332747.1993.11024627
  37. 김현순, 청소년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정서.행동문 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38. 김은주, 중학생의 자아분화, 자아탄력성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9. 권사무엘,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 동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를 통한 회복탄력성의 조절 된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40. 권선형, 사회자본이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1. A. S. Masten and J. Obradovic, "Disaster preparation and recovery: Lessons from research on resilience in human development," Ecology and Society, Vol.13, No.1, p.9, 2008.
  42. 전경하, 송순, "가족내.외의 사회적자본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연구: 자아탄력성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8권, 제1호, pp.143-165, 2013.
  43. 최경옥,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4. 추병완, 회복탄력성, 서울: 도서출판 하우, 2017.
  45. 전혜숙, 전종설, "가족 및 학교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온라인.오프라인 비행 변화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제44권, pp.99-130, 2018. https://doi.org/10.20993/jSSW.44.5
  46. P. Blau, "Social mo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21, pp.290-295, 1956. https://doi.org/10.2307/2089282
  47. 김영애,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성산효도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8. 심경섭, 설동훈,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이 직업 포부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인구학, 제33권 제2호, pp.33-59, 2010.
  49. 김현주, 김준영, "청소년의 진로 이행과 청소년, 부모의 인적 및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12권 제2호, pp.23-52, 2010.
  50. C. R. Wicks, Resilience: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measurement, Doctoral Dissertation, Loma Linda University, 2005.
  51. 허지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 및 촉진적 의사소통 능력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2. 손산산,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53. 이진원,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4. 양혜주, 여인성, 원도연, "무용학과 대학생의 멘토링 관계가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2권, 제5호, pp.1089-1102, 2013.
  55. 장이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6. 신영식, 권오혁,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회복 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4권, 제1호, pp.343-353, 2018.
  57. 홍영란, 김태준, 현영섭, 소진광, 이승희, 사회적 자본지표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7.
  58.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9.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4호, pp.105-131, 2009.
  60. M. Baron an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1. 허성영,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건양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62. M. London and E. M. Mone, Career management and survival in the workplace, SanFrancisco, CA: Jossey-Bass,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