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회균형 선발전형 학생들의 대학만족도와 대학생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Affirmative Action Program

  • 최윤희 (한밭대학교 교육품질관리센터) ;
  • 임준묵 (한밭대학교 창의융합학과)
  • 투고 : 2022.07.22
  • 심사 : 2022.09.08
  • 발행 : 2022.10.28

초록

본 연구는 H대학교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들의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기회균형 선발전형 수립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들의 입학성적과 대학성적간의 관계를 상관분석하였다. 둘째,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과 재학생들간의 만족도 비교를 위해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기회균형 선발전형 입학생의 대학적응 및 진로에 대해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회균형 전형 입학생들의 고교 내신 성적과 대학성적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통해 학업수준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회균형 전형 입학생들의 대학만족도가 전체 재학생 만족도 보다 높음을 통해 대학이 학생들에게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회균형 전형 입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실천 행동이 양극화되어 있었다. 대학에서는 이러한 성향을 극복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진로를 준비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한다면 대학만족도 등을 고려할 때 기회균형 선발전형에 대한 확대가 대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H University's students admitted through affirmative action progra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ffirmative action program enrollment students and all students were compar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tudents who entered the affirmative action program.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ntrance score, the higher the university score for students in the affirmative action program. Second, the college satisfaction of students entering the affirmative action program i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enrolled.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the affirmative action program students were both active and no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students can actively prepare for their careers in universities. Accordingly, the expansion of the affirmative action program is likel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우정민, 정다운, "입학 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을 통한 대학입학사정관제도 실효성 고찰," 입학전형연구, 제1권, pp.153-179, 2012.
  2. 이희원, "서울대학교 기회균형선발특별전형 입학생의 학업 성취 및 대학생활 분석 연구," 가르침과 배움, 제32권, pp.12-17, 2016.
  3. 전홍주, 권현조, 조미숙, "기회균형선발 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교육문화연구, 제23권, 제6호, pp.87-111, 2017. https://doi.org/10.24159/JOEC.2017.23.6.87
  4. 임진택, 조민경, 김효희, "대학입학전형에서 입학생의 다양성 연구," 입학전형연구, 제4권, pp.23-56, 2015.
  5. 김헌주, 김경미,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의 대학적응과 진로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169-178,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169
  6. 김미란, "사회통합전형 학생들의 대학생활에 관한 연구: 농어촌특별전형 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5호, pp.269-302, 2014.
  7. 양은목, 서창호, 홍도원, 김종훈, "대학입학전형유형별 신입생의 입학 후 대학생활 비교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4권, 제4호, pp.437-448,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4.437
  8. 강창동, "한국 대학입시제도의 사회사적 변천과 특징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제28권, pp.83-113, 2007.
  9. 김순남, 대학 입식 정책의 국제 비교 연구 : 고교내신 산출 및 대입 반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개발원 현안 보고 OR 2014-10, 2014.
  10. 이홍열, 한국의 대학입학 전형제도의 변천과정에 관한 분석적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1. 김혜원, 학생부종합전형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진학 담당 교사들의 인식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2. 강우진, "무엇이 기회균등 인식을 결정하는가?," 한국정당학회보, 제19권, 제2호, pp.37-61, 2020.
  13. G. Liu, "Interstate in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y," NYUL Rev., Vol.81, p.2044, 2006.
  14. 박병영, 김미란, 한준, 김기헌, 류기락, 이민주, 교육과 사회계층이동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8-18, 2008.
  15. 김위정, 김양분, "대학진학에 대한 가정배경의 누적 적 매개 효과 분석," 한국사회학, 제47권, 제4호, pp.263-302, 2013.
  16. 교육부(2021.12.29.). 사회통합전형 법제화에 따른 「고등교육법 시행령」일부개정안 입법예고, https://www.moe.go.kr/sn3hcv/doc.html?fn=ce65d6da9dc9de2d53e0d04574f222e8&rs=/upload/synap/202201/ 2022.01.04 검색
  17. 이제봉, "대학교육에서 기회균형선발제의 근거와 쟁점," 교육실천연구, 제8권, 제1호, pp.125-143, 2009.
  18. 대학알리미, https://www.academyinfo.go.kr/uipnh/unt/unmcom/RdViewer.do. 2022.1.5. 검색
  19. 남궁경현, 이승아, 정다운, "대학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K 대학 2009- 2014 학년도 입학생을 중심으로," 입학전형연구, 제4권, pp.57-91, 2015.
  20. 박소연, 이승아, 정다운,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계열별 학업성취도 추이 분석," 입학전형연구, 제6권, pp.99-124, 2018.
  21. 전경애,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508-51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508
  22. 이광현, 권용재, "대입제도 쟁점분석: 수시와 정시 입학생들의 소득수준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107-118,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2.107
  23. 정제영, 선미숙, 정민지,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수준 요인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57-76, 2015.
  24. 구성우, 문명현, 김병주,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기관 변인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5권, 제4호, pp.225-250, 2016.